$\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업체 조직의 협력역량 요인에 대한 팀장과 팀원들의 인식을 통한 타당화 연구
Validation Through Perceptions between Leader and Team Members on Collaborative Competencies in Corporate Organization 원문보기

水産海洋敎育硏究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26 no.2 = no.68, 2014년, pp.284 - 295  

이유나 (창신대학교) ,  하유란 (동서대학교) ,  이상수 (부산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validate the components of practical collaborative competencies by analyzing the perceptions of corporate personnel on practical collaborative competencies. The study reviewed the theories of collaborative intelligence, collective intelligence, cooperative learning,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협력역량을 도출하기 위해서 협력지능에 대한 연구와 집단의 협력을 통해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고 시너지 효과를 발현하려는 목적 아래에 협력지능과 직결되는 특성을 지닌 기존의 이론들을 기초로 하여 협력역량이 구체적으로 어떤 능력을 의미하여 그것에 합당한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밝혔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협력지능과 관련 이론들에 근거하여 기업체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실천적 협력역량들을 규정해 내고 이들 역량 요소들에 대한 타당화의 한 방법으로 실제 협력적 업무를 실천하고 있는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그들에게 필요로 하는 협력역량 요소들이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는 팀장과 팀원들에게 동일하게 구성된 문항내용을 조사하였는데 이는 업무와 역할에 구분되지 않고 공통적으로 반드시 필요로 하는 필수 협력역량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다만, 협력역량에 대한 타당화를 위한 방법으로 팀장과 팀원들 간의 인식차이를 통해서 협력역량 중, 각 직위에서 보다 더 강조하게 되는 역량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는 일차적으로 협력지능과 관련하여 이론적 검토를 통해 도출된 협력역량 구성요인들에 대해서 기업체 인력들인 팀장급과 팀원들이 각각 인식하고 있는 실천적인 핵심역량을 파악하여 도출된 협력역량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차후 보다 의미 있는 타당화를 위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뒤따라야 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첫째, 협력역량이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협력지능, 집단지성, 협동학습, 그리고 학습공동체에서 연구된 협력역량의 주요요소를 중심으로 이론적 검토를 하였다. 둘째, 실천적 협력역량 요인에 대한 기업체 인력 들의 인식에 대해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협력지능이 가지고 있는 효과는 무엇인가? 이는 본질적으로 우리가 살아가면서 상호작용하는 환경과 관계 맺는 사람들로부터 생성된 시너지의 능력으로 개인으로서는 불가능해왔던 통합적 사고를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즉, 협력지능은 단순한 개인들의 집합의 합에서부터 나오는 지능이 아니라 조직이 지니게 되는 조직의 능력을 통해 개인 지능의 합 이상의 결과를 가져오게 하고 또한 개인의 능력을 향상시키게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기업 차원에서 협력을 강조한 이론들은 어떤것들이 있는가? 기업 차원에서 협력을 강조한 이론들은 여러가지가 있다. 예를 들어 조직의 규모와 관련하여 소집단 수준에서는 팀 학습(Perkins, Tivnan & Edmondson, 2007) 관련한 연구가 있으며, 기업체 차원의 조직 수준에서는 학습조직(Senge, 1990)과 학습공동체(Shrivastava, 1999) 등이 있다. 최근 들어 테크놀로지의 발달과 함께 물리적 환경의 제한을 극복한 소통이 가능해 지면서 조직 수준을 넘어서 국가나 글로벌 사회 수준에서 집단지성의 개념이 강조되면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Lévy, 1994; Lee & Lee, 2009; Maithili, Kumari, & Rajamanickam, 2012).
협력적 기술이란 무엇인가? Lee와 Lan(2007)은 협력지능을 한 집단의 협력적 능력을 측정한 것으로 보고 협력적 기술, 지능적 협동, 집합된 지식으로 설명한다. 협력적 기술은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등 인간간의 협력과 의사소통을 지원하는 도구나 기술들을 말하며 지능적 협동은 개인 간, 그룹간의 상호작용을 의미하는데 이는 사회적 네트워크를 통해 확장 개발되며 가치 있는 새로운 지식을 창조할 수 있게 한다. 집합된 지식은 개인과 집단의 참여로 인해 지식과 가치가 축적되어 지는 것을 의미하는데 지금 우리 사회의 경향이 그러한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데 초점을 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yun, Yungkye & Kim, Kwang-Hui(1999). Theory and practices of cooperation learning, Seoul: Hakjisa. 

  2. Cohen, E. G.(1994). Restructuring the classroom: Conditions for productive small group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4(1), 1-35. 

  3. Gan, Y. & Zhu, Z.(2007). A Learning Framework for Knowledge Building and Collective Wisdom Advancement in Virtual Learning Communities,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10(1), 206-226. 

  4. Garvin, D. A..Edmondson. A. C. & Gino. F. (2008). "Is yours a Learning organization?", Harvard Business Review, 86, 109-116. 

  5. Hackman, J. R.(2011). Collaborative intelligence: Using teams to solve hard problems, San Francisco: Berrett-Koehler. 

  6. Hughes, M. M. & Terrell, J. B.(2007). The emotionally intelligent team, San Francisco: Jossey-Bass. 

  7. Hughes, M. M. & Terrell, J. B.(2009). Team Emotional & Social Intelligence, San Francisco: Pfeiffer. 

  8. Hughes, M. M..Thompson, H. L. & Terrell, J. B.(2009). Handbook for developing emotional and social intelligence: Best practices, case studies, and strategies, San Francisco: Pfeiffer. 

  9. Hsiao, H. Wu, C. F. & Huang, T.(2008). Developing a Leadership Competency Model through the Distinguished Vocational School Principals by the Job Competence Assessment Method, Presentation at the 1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earning. Chicago, Illinois. 

  10. Johnson, D. W. & Johnson, R. T.(1991). Learning together and alone: cooperative, competitive, and individualistic learning(3rd edition),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1. Joo, Yong-Kook & Kim, Su-Won(2003). Cultivating Communities of Practice for Developing Employees' Expertise in Organizations,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Bisic Research 03-04. 

  12. Joyce, S. J.(2007). What is CQ-Collaborative tools, Retrieved March 11, 2010, from http://www.stephenjamesjoyce.com/content/what-cq-collaborative-tools 

  13. Kim, Jin-ho(2002). Study on the effect that team competence has on team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Yonsei University master thesis. 

  14. Kouzes, J. M. and Posner, B. Z.(2007). The leadership challenge (4th ed.), San Francisco: Jossey Bass. 

  15. Leadbeater, C.(2008). We-think: Mass innovation, not mass production, London: PROFILE BOOKS LTD. 

  16. Lee, Ae Kyung(2011). A study on the successful busuness application of collective intelligence. Kyonggi University, Master theis. 

  17. Lee, Kyu-Man & Choi, Jun-Hee(2012). The Effect of Leader-Member Exchange o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review, 31(4), 339-362. 

  18. Lee, Maria R, & Lan, Yi-Chen.(2007). From Web 2.0 to conversational knowledge management: Towards collaborative intelligence, Journal of Entrepreneurship Research, 2(2), 47-62. 

  19. Lee, Sang Soo & Kim, Hoi Soo(2003). Focusing on an area of Gwangju and Chonnam -The Strategies of Building an Online Learning Community as the Practical Paradigm of Educa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9(3), 97-117. 

  20. Lee, Yuna & Lee, Sang Soo(2009). Conceptual Design Principles of Collective Intelligenc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5(4), 213-239. 

  21. Levy, P.(1994). L'intelligence Collective: Pour une anthropologie de cyberspace, Paris: La Decouverte. 

  22. Maithili1, A..Kumari, V. & Rajamanickam, S. (2012). An Open Innovation Business Model Based on Collective Intellig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Modern Engineering Research. 2(2), 245-252. 

  23. Newell, G..Wilsman, M..Lngenfeld, M. & Mclntosh, A.(2002). Online professional development: sustained learning with friends. Teaching Children mathematics, 8(9), 505-508. 

  24. Park, Yeoun Im, & Park Kye Hong(2012). A Study on the Modulating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and Self Efficacy on Leader's Coaching Behavior and Team Performance. The journal of Training and Development. 26(4), 153-182. 

  25. Perkins, D..Tivnan, T. & Edmondson, A.(2007). Team learning in learning in action-an analysis of the sense making behaviors in adventure racing teams as they preform in fatiguing and uncertain context. Harvard university Doctoral thesis. 

  26. Rhee, J. H..Yoon, J. H..Kang, Y. M.(2010).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inter-team characteristics, team Conflict, and inter-team cooperation: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team efficacy, Korean Business Education Review, 62, 363-396. 

  27. Segaran, T.(2007). Programming collective intelligence, Sebastopol, CA: O'Reilly Books. 

  28. Senge, P. M. (1990). The fifth discipline: the art and practice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New Youk: Doubleday. 

  29. Shrivastava, P.(1999). Management classes as online learning communities. Journal of Management Education, 23(6), 691-702. 

  30. Slavin, R. E.(1987). Cooperative learning: Where behavioral and humanistic approaches to classroom motivation meet, Elementary School Journal, 88, 9-337. 

  31. Spencer, S. M. and Spencer, L. M.(1993).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32. Surowiecki, J. (2004). The wisdom of crowd, New York: Anchor Books 

  33. Yang, B..Watkins, K. E. & Marsick, V. J. (2004). The construct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Dimensions, measurement, and validation, Human Resources Development Quarterly, 15(1), 31-5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