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하수위 자료를 이용한 제주도 지하수계의 가뭄 영향 평가
Evaluation of Drought Effect on Groundwater System using Groundwater Level Data in Jeju Island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3 no.4, 2014년, pp.637 - 647  

송성호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이병선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최광준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김진성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김기표 (제주특별자치도 수자원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Quantitative assessment of groundwater level change under extreme event is important since groundwater system is directly affected by drought. Substantially,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reveals to be delayed from several hours to few months after raining according to the aquifer characteristics. 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2013년 제주도에 발생한 여름가뭄이 지하수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제주특별자치도 수자원본부에서 운영 중인 115개 관측정 중 강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류한 4개 권역별 관측정(Song 등, 2013a)의 과거 월별 가뭄지수와 월평균 강수량 변화에 따른 지하수위 변동 특성으로부터 가뭄이 지하수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 특히 1980년 중반 이후부터는 연간 강수량의 변동폭이 커지는데 이는 극한 강수사상의 증가와 연관되며, 연평균 강수량의 50% 이상이 6∼9월 기간 중 장마 및 태풍과 연관되어 집중되는 특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계절적인 강수량 분포 특성을 기초로 2013년 여름가뭄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과거 30년(1981-2010) 기간 중의 월평균 강수량에 대한 2013년 월평균 강수량의 차이를 계산하였다(Table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뭄이란 무엇인가? 가뭄은 기상학적으로 강수량이 평균 이하의 상태를 지속하는 경우로, 가뭄이 지속되는 경우 지하수 수문계는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Song 등, 2013a). 전국적으로 광범위하게 발생된 2012년 봄 가뭄의 경우, 5월과 6월의 전국 62개 기상관측소의 강수량은 30년 월평균 강수량(1971-2000)에 비해 각각 41%와 50% 감소하였다.
지하수위 변화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방법은? 일반적으로 강수에 의한 지하수위 반응은 수시간에서 수개월까지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가뭄과 같은 강수량의 급격한 감소에 따른 지하수위 변화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표준강수지수(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또는 파머가뭄 지수(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PDSI) 등 가뭄지수를 활용한 분석이 효과적이다(Kim 등, 2006). 특히 국가지하수관측정을 대상으로 로지스틱 회귀 모형을 이용하여 월평균 지하수위와 SPI 가뭄지수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봄철인 3월∼5월의 지하수위 기울기와 SPI 가뭄지수의 상관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하수위의 심도가 깊을수록 가뭄의 강도가 증가되는 것으로 분석된 바 있다(Kim 등, 2012).
30년간 제주도에서 파머가뭄 지수를 분석한 결과는? 제주도의 경우 과거 30년간의 평균기온과 강수량을 활용한 SPI와 PDSI로 가뭄을 분석한 결과, SPI는 봄과 겨울철 가뭄이 상대적으로 나타난 반면 PDSI는 9∼11월 기간 중에 낮아 상대적으로 가을철에 가뭄이 극심했던 것으로 제시된 바 있다(Song 등, 2013b). 이는 SPI가 강수량만을 고려하는 반면 PDSI는 온도를 통해 산정되는 증발산량을 고려하고 있어서, 제주지역의 지형적 특성으로 겨울철 강수량이 많아 봄가뭄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Freeze, R. A., Cherry, J. A., 1979, Groundwater. Prentice- Hall. 

  2. Kim, G. B., Lee, S. H., 2012, Applicability of logistic regression model of groundwater levels to drought forecast,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8(3), 275-284. 

  3. Kim, G. B., Yun, H. H., Kim, D. H., 2006, Relationship between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and groundwater levels: a proposal for establishment of drought index wells,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11(3), 31-42. 

  4. Kim, S. S., Jang, S. M., Baek, H. J., Choi, H. Y., Kwon, W. T., 2006, Climatological variability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 Jeju,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7(2), 188-197. 

  5. McKee, T. B., Doesken, N. J., Kleist, J., 1993,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of time scales, 8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January, Aneheim, CA, 179-184. 

  6. Segye Daily News, 2013, http://www.segye.com/content/html/2013/08/06/20130806003849.html 

  7. Sherif, M. M., Singh, V. P., 1999, Effect of climate change on sea water intrusion in coastal aquifer, Hydrological Processes, 13, 1277-1287. 

  8. Song, S. H., Choi, K. J., Kim, J. S., 2012, Correlation between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and climate change with spring drought in 2012, Proceeding of workshop for 6th Jeju water resources management advancement, 47-68. 

  9. Song, S. H., Choi, K. J., Kim, J. S. 2013a, Evalua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s using time-series data of groundwater level in Jeju Island,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2(5), 609-624. 

  10. Song, S. H., Yoo, S. H., Bae, S. J., 2013b, Regional drought assessment considering climate change and relationship with agricultural water in Jeju Island,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2(5), 625-638. 

  11. Song, S. H., Zemansky, G., 2012, Vulnerability of groundwater systems with sea level rise in coastal aquifers, South Korea, Environmental Earth Sciences, 65(6), 1865-1876. 

  12. Song, S. H., Zemansky, G., 2013,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in the Waimea Plains, New Zealand: changes in a coastal aquifer within the last 30 years, Environmental Earth Sciences, 70(5), 2167-2178. 

  13. Todd, D. K., 1980, Groundwater hydrology, second edition. John Wiley & Sons Inc. 

  14. Yoo, S. H., 2009, Analyzing agricultural drought affected by climate change.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