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2003년 개봉된 공포영화 <장화, 홍련>은 약 314만 관객을 동원하며 흥행에 성공했다. 당시 일부에서는 영화의 내용을 이해하기 어렵다는 의견도 있었으나, 이 영화는 2003년을 전후로 개봉된 공포영화 중 가장 큰 호평을 받았다. 영화 속 4명의 주인공은 한 가족이고, 아빠의 외도로 가족 간 갈등이 시작된다. 무현(아빠)의 외도는 아내의 자살로 이어지고, 아내이자 엄마의 자살은 수연(동생)의 죽음으로 또다시 이어지는데, 이때 수연의 죽음에 은주(새엄마)가 관련되어 있다. 수미(언니)는 수연이 죽은 후 은주가 수연의 죽음을 그대로 방치한 사실로 큰 상처를 받지만, 동시에 그런 은주의 행동에 자신도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을 깨달으며 동생을 죽게 한 죄의식도 느낀다. 은주 역시 수미의 독설로 상처를 받았지만 그에 대한 복수로 수연을 죽게 한 사실에 죄의식을 느낀다. 김지운 감독은 개봉당시 인터뷰에서 "이 영화는 가족 간 상처와 죄의식에 관한 영화"라 밝혔는데, 영화 속에서 가족이 주고받은 상처와 죄의식은 가상과 실재 이미지가 뒤섞인 공포 이미지로 그려진다. 상처는 가상 이미지로, 죄의식은 실재 이미지로 표현된다. 이 글에서는 가상과 실재 이미지를 설명해주는 영화 속 스틸사진을 제시하면서 상처와 죄의식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 주인공 간 갈등을 유발하는 매개체 3가지가 지닌 상징적 의미도 서술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horro movie which was released in 2003, was a box office hit drawing audiences totaling 3,140,000 people. Then, there were partial opinions that it wa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content of the movie. However, it was most favorably received in the horror movies which were released before and 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화, 홍련> 속 주인공들의 관계는 어떠한가? 당시 일부에서는 영화의 내용을 이해하기 어렵다는 의견도 있었으나, 이 영화는 2003년을 전후로 개봉된 공포영화 중 가장 큰 호평을 받았다. 영화 속 4명의 주인공은 한 가족이고, 아빠의 외도로 가족 간 갈등이 시작된다. 무현(아빠)의 외도는 아내의 자살로 이어지고, 아내이자 엄마의 자살은 수연(동생)의 죽음으로 또다시 이어지는데, 이때 수연의 죽음에 은주(새엄마)가 관련되어 있다. 수미(언니)는 수연이 죽은 후 은주가 수연의 죽음을 그대로 방치한 사실로 큰 상처를 받지만, 동시에 그런 은주의 행동에 자신도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을 깨달으며 동생을 죽게 한 죄의식도 느낀다. 은주 역시 수미의 독설로 상처를 받았지만 그에 대한 복수로 수연을 죽게 한 사실에 죄의식을 느낀다. 김지운 감독은 개봉당시 인터뷰에서 "이 영화는 가족 간 상처와 죄의식에 관한 영화"라 밝혔는데, 영화 속에서 가족이 주고받은 상처와 죄의식은 가상과 실재 이미지가 뒤섞인 공포 이미지로 그려진다.
김지운 감독은 <장화, 홍련>을 어떤 영화라고 하였는가? 은주 역시 수미의 독설로 상처를 받았지만 그에 대한 복수로 수연을 죽게 한 사실에 죄의식을 느낀다. 김지운 감독은 개봉당시 인터뷰에서 "이 영화는 가족 간 상처와 죄의식에 관한 영화"라 밝혔는데, 영화 속에서 가족이 주고받은 상처와 죄의식은 가상과 실재 이미지가 뒤섞인 공포 이미지로 그려진다. 상처는 가상 이미지로, 죄의식은 실재 이미지로 표현된다.
<장화, 홍련>의 흥행 성적은 어떠하였는가? 2003년 개봉된 공포영화 은 약 314만 관객을 동원하며 흥행에 성공했다. 당시 일부에서는 영화의 내용을 이해하기 어렵다는 의견도 있었으나, 이 영화는 2003년을 전후로 개봉된 공포영화 중 가장 큰 호평을 받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송아름, "1990년대의 불안과 의 공포", 한국극예술연구, 제34집, p.293, 2011. 

  2. 허문영, "공포영화가 안된다고?예상 밖의 흥행, 신드롬 분석", 씨네 21, 1998. 

  3.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3nom&no7875&page 

  4. 임유경, "공포와 죄의식의 이중주: , , 을 중심으로", 문학과 영상, 제11권, 제3호, p.745, 2010. 

  5. 황혜진, "공포영화에 나타난 가족서사 연구: 과 에 나타난 기억의 문제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제29호, 한국영화학회, p.381, 2006. 

  6. 유운성, "감독의 장르적 상상력", 씨네 21, 2003. 

  7. 정성일, "기이하고 불안한 반(反)페미니스트 영화", 월간 말, 7월호, p.206, 2003. 

  8. 김훈순, 이소연, "한국 현대 공포영화와 장르 관습의 변화", 미디어.젠더&문화, 제4호, p.21, 2005. 

  9. 정승훈, "공포의 형이하학을 넘진 못했지만 눈을 뗄 수 없는 ", 씨네 21, 제408호, 2003. 

  10. 이효인, " 전래동화와는 아무 상관없네...반칙이다", 씨네 21, 제408호, 2003. 

  11. 정재형, "상상력, 환상, 기억 그리고 일탈의 공간정치", 문화예술, 8월호, pp.54-55, 2003. 

  12. 심영섭, "수미의 내면 대신 다리에 탐닉하는 <장화, 홍련", 씨네 21, 제409호, 2003. 

  13. 여형옥, 캐릭터 분석을 통해 본 과 콘텐츠,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논문, pp.45-49, 2010. 

  14. 김지영, "오형근 초상사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3호, 2014. 

  15. 류은영, "비평에서 리터러시로:영화 스토리텔링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세계문학비교연구, 제38집, p.357, 2012. 

  16. 시드 필드, 박지홍 역, 시나리오 워크북, 경당, 2001. 

  17. 김시무, "라캉의 주체개념 연구:상상적 기표에서 실재의 틈입까지", 미학.예술학연구, 제26집, pp.131-132,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