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중치 분석을 적용한 지역공동형 훈련성과 평가지표 개발
The Development of Key Performance Indicators for Regional Co-Training Programs,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Techniqu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4, 2014년, pp.160 - 167  

이영민 (숙명여자대학교 여성인적자원개발대학원)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가중치 분석을 통해 지역공동형 훈련성과를 효과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지표를 개발하기 위하여, 1단계에서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예비지표 목록을 구성하였고, 2단계에서는 전문가 검토를 통해 지표의 적절성과 대표성을 점검하였으며, 3단계에서는 현장 훈련기관 전담자 검토를 통해 지표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파악하였고, 최종 성과 평가지표를 산출하였다. 4단계에서는 최종지표를 바탕으로 가중치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협약기업 발굴 및 관리실적 영역(협약기업 참여율, 근로자 훈련참여율 등), 훈련실적 영역(수료율, 취업률 등), 비용효과성 영역(1인당 훈련비용), 만족도 영역(협약기업 만족도, 훈련생 만족도), 지역공동 훈련활성화 영역(지역인적자원개발협의체 운영, 지자체의 인력개발 의지 등)별 지표들을 개발하였다. 가중치는 지역산업의 훈련수요 대응, 협약기업 만족도, 지역인적 자원개발협의체 운영 순으로 높았다. 또한 지역공동형 훈련성과 지표에 대한 지속적인 개선과 분석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develop the key performance indicators of regional co-training programs,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 Firstly, we pooled indicators by reviewing the literatures. The researcher checked the properness and representative of them and then, the training prof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성과 평가지표가 구체적으로 제시될 수 있다면, 사업의 내용이나 지원방안을 수정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공동형 훈련사업의 효과성을 높이고자 성과 평가지표를 도출하고, 각 지표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제시하고자 한다[24]. 연구문제는, 첫째, 지역공동형 훈련의 성과 평가지표는 무엇인가? 둘째, 각 성과지표의 가중치는 어떠한가?
  • 정부에서는 경제 활성화와 국민소득 증대를 위해 일자리 창출과 지원에 국가적인 재정투입을 확대하고, 고용정책을 국정의 최우선 과제로 설정하여 추진하고 있다[3]. 또한 직접적인 재정투입과 맞춤형 훈련제공을 통해 일자리의 양적 창출과 유지를 촉진하고 고용서비스 지원제도 개선과 보조금 지원을 통해 일자리의 질적 수준 제고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정부에서는 기존의 실업자 훈련이나 재직자 훈련이 일자리 창출과 유지에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다양한 분석결과들을 토대로 훈련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편하고 있다.
  • 끝으로, 현재 제시된 지표에서 가중치 외에도 지역별 편차, 훈련 직종 차이, 훈련 관련 업종 등의 편차를 보정할 수 있는 보정치를 반영하는 것도 필요하다. 보정치는 가중치와 달리, 특정 변인의 영향으로 인해 초기성과 자체부터 차이가 나타나는 현상을 제어하기 위한 방안이다. 지표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추출하여 누적 하면서, 보정이 가능한 부분이 있는지 파악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본 논문에서는 의사결정에 있어 가중치 설정을 위한 계층분석법(Analytic Hierarchical Process)의 중요도 분석을 실시하였다[24]. Expert Choice프로그램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고, 일관성 지수(CR: consistency ratio)는 모두 .
  • 본 연구에서는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 사업중 지역공동형 직업훈련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였다. 지역공동형 훈련성과의 평가지표 개발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 담당자 5인은 직업훈련 관련 경험이 최소 5년 이상인 실무전문가들로서, 사업에 대한 이해가 매우 높았다. 이 간담회를 통해 1, 2차 개발과정에서 간과하였거나 중요도가 낮았던 지표들에 관해 질문하였다. 특히 참여중소기업 확대 노력, 장비활용률, 훈련과정의 특화 영역을 통합하여, 지역공동형 훈련에 적합한 지역공동훈련 활성화 영역을 새롭게 구조화하였다.
  • 전문가들의 검토 결과, 1차 개발된 지표들중 취업 지원 영역의 경우, 성과 측정의 한계가 제기되어 삭제하였고, 협약기업 관리 및 교육훈련 실적 영역에서 협약기업 수에서 신규 협약기업 수로 측정내용을 보다 명확하게 조정하였으며, 훈련실적의 양성훈련 실적지표를 취업률과 고용유지율로 이원화하였다. 이 외에도 각 지표의 측정내용과 방법들을 보다 구체화여 측정의 간명성과 측정내용의 대표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표 6]은 2차로 개발된 성과 평가지표이다.
  •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 사업의 운영목적과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7][8]. 첫째, 중소기업 근로자들에게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훈련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자체 교육팀이나 연수원 등의 인프라가 부재한 중소기업들에게 대기업과 사업주단체 등 훈련 역량이 뛰어난 기관들이 자신들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훈련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중요한 특징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기 컨소시엄 사업은 훈련 운영기관의 특성에 맞게 어떠한 유형들로 운영되었는가?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 사업은 초기 중소기업 직업훈련 컨소시엄사업이란 명칭으로,2001년 대우조선해양 등 6개 기관을 대상으로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직업훈련 참여 활성화와 유관 중소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처음 실시되었다.초기 컨소시엄 사업은 훈련 운영기관의 특성에 맞게 대기업형,사업주단체형,대학 형의 3개 유형으로 운영되었다.대기업형은 대기업의 유관 협력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직업훈련을 실시하고, 사업주단체는 협회를 중심으로 관련 중소기업들에게 협회 차원의 주요 전략훈련을 제공하며,대학형은 주로 지역소재 대학을 중심으로 대기업과 사업주단체가 없는 소외된 지역의 중소기업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직업훈련을 제공하였다.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 사업이란 무엇인가?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 사업은 초기 중소기업 직업훈련 컨소시엄사업이란 명칭으로,2001년 대우조선해양 등 6개 기관을 대상으로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직업훈련 참여 활성화와 유관 중소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처음 실시되었다.초기 컨소시엄 사업은 훈련 운영기관의 특성에 맞게 대기업형,사업주단체형,대학 형의 3개 유형으로 운영되었다.
초기 컨소시엄 사업의 각 유형들은 어떻게 실시되는가? 초기 컨소시엄 사업은 훈련 운영기관의 특성에 맞게 대기업형,사업주단체형,대학 형의 3개 유형으로 운영되었다.대기업형은 대기업의 유관 협력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직업훈련을 실시하고, 사업주단체는 협회를 중심으로 관련 중소기업들에게 협회 차원의 주요 전략훈련을 제공하며,대학형은 주로 지역소재 대학을 중심으로 대기업과 사업주단체가 없는 소외된 지역의 중소기업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직업훈련을 제공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배용호, 하태정, 김병우, 장병영, 성장과 고용 촉진을 위한 혁신정책의 방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6. 

  2. 강경종, 윤여인, 최병학, 지방자치단체 주도형 지역인적자원개발 정책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2. 

  3. A. Burton-Jones and J. C. Spender, Oxford Handbook of Human Capita, Oxford:Oxford. University Press, 2011. 

  4. C. Secolsky and B. D. Denison, Handbook of measurement, assessment, and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Florence, KY: Routledge, Taylor& Francis Group, 2012. 

  5. M. Pilz, The Future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Changing World, Wiesbaden:VS Verlag& Springer, 2012. 

  6. 고용노동부,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 사업 매뉴얼, 고용노동부, 2013. 

  7. 고용노동부, 2013년 업무보고, 내부자료, 2013. 

  8. 산업인력공단, 지역.산업 맞춤형 인력양성체계 운영매뉴얼 초안, 산업인력공단, 2013. 

  9. 김수원, "중소기업훈련컨소시엄 사업의 평가 및 분석", 직업과 고용서비스연구, 제3권, 제2호, pp. 21-45, 2008. 

  10. 권순원, 장홍근, 김성재, 컨소시엄 운영기관 평가시스템 개발 연구, 컨소시엄허브사업단, 2008. 

  11. 이영민, 최영섭, 홍성민, "CIPP평가모형 구성요소에 기초한 중소기업 훈련 컨소시엄 운영기관담당자의 인식조사", 산업교육연구, 제11권, 제2호, pp. 91-113, 2009. 

  12. 이찬, 컨소시엄 사업의 지원제도 분석 및 효율적 제도개편 방향연구. 컨소시엄허브사업단, 2011. 

  13. 이찬, 정철영, 최영준, 문예원, "논리모형을 활용한 국가인적자원개발컨소시엄 사업 성과분석", 직업교육연구, 제31권, 제1호, pp. 195-216, 2012. 

  14. 이상준, 이수경, 이지은, 김한준, 국가기간 전략산업직종훈련 운영실태 분석 및 성과평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2. 

  15. 황승록, "교육훈련 투자와 기업성과", 패널 브리프 3월호, 2012. 

  16. 전명숙, 김주섭, 최형재, 직업능력개발사업의 효과성 측정을 위한 통계지표 정비방안-실업자 훈련을 중심으로, 노동부, 2009. 

  17. 지역인적자원 평가지표개발 및 투자실적분석 연구진, 지역인적자원개발관련사업의 평가지표개발 및 투자실적분석방안, 광주전남발전연구원, 2005. 

  18. 임세영 원상봉 조세형 조은정, 기업.공고 연계맞춤훈련 평가모델 개발, 중소기업청, 2006. 

  19. 오영훈 김미숙 김수원, 직업훈련기관 인증제 연구, 직업능력개발원, 2009. 

  20. 조준모, 박상일, 나영선, 안준기, 이재성, 직업능력개발계좌제 시범사업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노동부, 2010. 

  21. 유경준, 이철인, "실업자 직업훈련의 효과 추정", 노동경제논집, 제31권, 제1호, pp. 59-103, 2008. 

  22. 오영균, 고경훈, "지역인적자원개발정책의 평가를 위한 지표의 설계에 관한 연구", 지방행정연구, 제21권, 제3호, pp. 269-294, 2007. 

  23. 김주섭, 장혜정, 강순희, 장홍근, 이규용, 직업능력개발훈련사업 평가 개편방안 연구, 노동부, 2011. 

  24. 박용성, AHP에 의한 의사결정, 교우사, 2009. 

  25. 김순호, 정혜영, 이명훈, "연령별 가중치 분석을 통한 도시의 삶의 질 지표 선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7호, pp. 453-462, 2012. 

  26. 김삼철, 김일태, "광주 문화산업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평가지표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 677-689, 2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