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 정의읍성 벽면식생에 근거한 벽면식재용 식물 선정에 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the Selection of Plants for the Walls of Fortresses in the Case of the Jeongyi Town Wall in Jeju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2 no.2, 2014년, pp.33 - 40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오현경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한반도생태연구소) ,  최영현 (우석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김영숙 (우석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제주도를 비롯하여 온대남부지방 성벽 벽면녹화에 적절한 식물종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 제시를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제주 정의읍성 외곽 성벽의 식생을 조사 분석하여, 그 벽면식생의 가치특성과 문제점을 진단한 본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성벽에 자생하는 식물은 총 52분류군이며, 이 중 방가지똥, 약모밀, 주홍서나물, 개망초, 자주광대나물 등 5분류군은 귀화식물로 분류되었다. 한편, 조사구별 출현종수는 3~14분류군이며, 평균 자생식물은 7.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상재도 III등급 이상의 식물은 말똥비름, 하늘타리, 송악, 모시풀이었으며, 종조성표 조작 결과, 정의읍성 성벽에 자생하는 식물종은 군락구분종 11분류군, 수반종 41분류군으로 총 52분류군으로 밝혀졌다. 자료 고찰 결과, 성벽 벽면식재를 위해 활용성이 높은 식물은 송악, 왕모람, 줄사철나무 등의 상록성 만경식물과 담쟁이덩굴, 하늘타리, 계요등 등의 낙엽성 만경식물로 밝혀졌다. 특히 왕모람은 남향의 성벽에 더욱 유용한 법면식생 재료로 추천한다. 이밖에 으름덩굴, 푼지나무, 가새잎개머루, 장딸기, 사위질빵 등의 목본식물과 각시마, 단풍마, 부채마, 거지덩굴 그리고 좁은잎계요등 등의 초본식물은 남부지방의 성벽을 비롯한 벽면식재용 재료로 활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밖에 콩짜개덩굴을 비롯하여 봉의꼬리, 도깨비 쇠고비, 실고사리 등의 양치식물은 제주도를 비롯하여 남부지방 성벽 고유의 지역성 반영을 위해 매우 유용한 식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vegetation of the outer walls of the Jeongyi Town Wall in Jeju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identified, for suggesting preliminary data for selecting species of plants appropriate for the greening of the walls in the southern temperate climat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제주시 성읍민속마을 정의읍성 외곽의 식생을 조사 분석하여 그 특성과 문제점을 진단하는 한편, 제주도를 비롯하여 온대남부지방 성벽 벽면녹화에 적절한 식물종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 제시를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 그러나 현재까지 국내에서 성벽 녹화의 필요성이나 그 식생현황 등을 파악하고자 시도된 연구는 발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성벽의 식생분석을 바탕으로 한 성벽 벽면녹화를 위한 소재 개발 또한 조경분야에서 관심을 가져야 할 대상이자 연구 분야이다.
  • 제주특별자치도를 비롯하여 온대남부지방 성벽 벽면녹화에 적절한 식물종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 제시를 목적으로 제주시 성읍민속마을 정의읍성 성벽 외곽의 식생을 조사 분석하여 그 가치특성과 문제점을 진단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읍성이란 무엇인가? 당시 집현전 직제학 양성지의 지적은 조선의 성곽이 759개소나 되었던 상황을 염두에 둔 발언이었다. 읍성은 ‘성안’과 ‘성 밖’을 규정짓고, 영역성을 확실히 하는 물리적 구조물일 뿐 아니라, 성안의 장소성을 공고히 하여 행정력을 결속시키는 중요한 방어시설이기도 하였다. 현재 국내 대부분의 읍성은 예전의 기능은 대부분 소멸되고, 단지 사적 등의 문화재로서 보존 및 보호의 대상으로 이해되고 있다.
현재 국내의 읍성의 취급은 어떠한가? 읍성은 ‘성안’과 ‘성 밖’을 규정짓고, 영역성을 확실히 하는 물리적 구조물일 뿐 아니라, 성안의 장소성을 공고히 하여 행정력을 결속시키는 중요한 방어시설이기도 하였다. 현재 국내 대부분의 읍성은 예전의 기능은 대부분 소멸되고, 단지 사적 등의 문화재로서 보존 및 보호의 대상으로 이해되고 있다. 따라서 옛 문화를 상고(尙古)하고 지역의 역사문화경관을 보다 고풍스럽고 자연성 높게 유지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성벽식생에 대한 관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양성지가 우리나라를 성곽의 나라라고 표현한 이유는? kr). 당시 집현전 직제학 양성지의 지적은 조선의 성곽이 759개소나 되었던 상황을 염두에 둔 발언이었다. 읍성은 ‘성안’과 ‘성 밖’을 규정짓고, 영역성을 확실히 하는 물리적 구조물일 뿐 아니라, 성안의 장소성을 공고히 하여 행정력을 결속시키는 중요한 방어시설이기도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hoi, Jae-Kwun(2004)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patial structure of town wall in Korea: With focus on Jeong Yi city wall and Nagan city wall. Jeju Tourism College Collection of Dissertations 10: 253-26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Kim, Jong-Won and Yul-Kyung Lee(2006)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Plant Communities. World Science. (in Korean) 

  3. Kim, Young-Don(1973) Jeong Yi City Wall. The Office of Cultural Properties. (in Korean) 

  4. Kim, Chul-Hwan(2000)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 I: selection of plant tax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Biology 18(1): 163-19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Kim, Sun-Hae(2005) A method for greenary by the wall greening type of building.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Reference of Ecological Architectural Lectures Class: 23-25. 

  6.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in Korean) 

  7. Lee, Hyung-Sang writing,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Edit(1979) Tamnasullyeokdo?Namhwanbakmul(耽羅巡歷圖?南宦博物). 

  8. Lee, Tchang-Bok(2003) Illustrated Flora of Korea. Seoul: Hyangmunsa. (in Korean) 

  9. Lee, Woo-Tchul(1996)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Seoul: Academy Press. (in Korean) 

  10. Lee, Yong-No(2006) New Flora of Korea. Seoul: Kyohaksa. (in Korean) 

  11. Lee, You-Mi, Soo-Hyun Park, Su-Young Jung, Seung-Hwan Oh and Jong-Cheol Yang(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1(1): 87-10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Melchior, H.(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Berlin: Gebruder Bornteaeger. (in German) 

  13.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2007) A study on the measures for the introduction of the direct payment regarding rural landscape conservation for the utilization of a stone-wall as a cultural resource at rural regions in Jeju-Do. 

  14. Numata(1975) Naturalized Plants. Tokyo: Japanese Books (in Japanese) 

  15. Park, Soo-Hyun(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Seoul: Ilchokak. (in Korean) 

  16. http://www.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1008&nttId5809 

  17. http://web.kma.go.kr/aboutkma/intro/jeju/oneclick/current_seogwi.html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