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 국내의 농경지 내 생태계교란식물의 분포를 알아보고자 한다. 생태계교란식물 9종의 지역적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분포지도를 작성하였다. 단풍잎돼지풀돼지풀은 전국적인 분포를 보였으나 단풍잎돼지풀은 경기북부에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었고, 돼지풀은 경우에는 강원 및 전라 지역을 제외한 전국에 고르게 분포하고 있었다. 미국쑥부쟁이는 경기도 및 강원도 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었으며, 가시상추의 경우 서북-동남 방향으로 분포하고 있었다. 서양금혼초는 제주도에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었고, 도깨비가지는 주로 경기 동부 지역에 분포하고 있었다. 애기수영과 가시박의 경우 전국에 산발적으로 발생하고 있었으나 경기도 지역에 상대적으로 많은 비율로 발생하고 있었으며, 서양등골나물은 경기도 연천군의 과수원 및 밭작물 재배지에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경지 내 생태계교란식물의 분포는 비농경지와 거의 같은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농경지의 생태적 지위가 비농경지와 다르지 않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작물의 수량 및 품질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잡초를 관리해야한다는 인식에서 더 나아가 주변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제거해야 한다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또한, 각 생태계 교란식물의 효율적인 방제를 위해 제초제 약효/약해 연구나 발아생리 연구와 같은 다양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vasive alien species (IAS) can affect agricultural ecosystem negatively and critically.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s of nine IAS plants in Korean orchards and uplands were investigated. Ambrosia artemisiifolia distributed widely in Korean peninsula and Ambrosia trifida distributed intensively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2015)의 연구와 같이 국내 생태계교란식물에 대한 연구는 연구범위가 지역단위였고, 농경지에 분포하는 외래잡초의 수와 종류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실질적으로 농경지 내 생태계교란식물의 분포, 특히 전국적인 분포에 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논을 제외한 국내 농경지 내 생태계교란식물의 지역적 분포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태계교란생물이란 무엇인가? 생태계교란생물(invasive alien species; IAS)이란 생태계의 균형을 교란하거나 교란할 우려가 있는 생물로 환경부장관이 지정한다. 1998년에 황소개구리, 큰입배스 및 파랑볼우럭을 최초로 지정한 이래, 2017년 5월 현재까지 총 20종의 생물이 생태계교란생물로 지정되어 있다(Table 1).
생태계교란생물로 지정된 식물은 어떤게 있는가? 1998년에 황소개구리, 큰입배스 및 파랑볼우럭을 최초로 지정한 이래, 2017년 5월 현재까지 총 20종의 생물이 생태계교란생물로 지정되어 있다(Table 1). 이 중 식물은 단풍잎돼지풀(Ambrosia trifida L.) 등을 포함하여 총 14종이다.
생태계교란생물로 지정된 것에는 어떤게 있는가? 생태계교란생물(invasive alien species; IAS)이란 생태계의 균형을 교란하거나 교란할 우려가 있는 생물로 환경부장관이 지정한다. 1998년에 황소개구리, 큰입배스 및 파랑볼우럭을 최초로 지정한 이래, 2017년 5월 현재까지 총 20종의 생물이 생태계교란생물로 지정되어 있다(Table 1). 이 중 식물은 단풍잎돼지풀(Ambrosia trifida 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arssen L.W. 1981. The biology of Canandian weeds.: 50. Hypochoeris radicata L. Can. J. Plant Sci. 61:365-381. 

  2. Bassett I.J. and Crompton C.W. 1975. The biology of Canadian weeds.: 11. Ambrosia artemisiifolia L. and A. psilostachya DC. Can. J. Plant Sci. 55:463-476. 

  3.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skunde. 3rd edn. Springer-Verlag. Wein, Austria. 

  4. Choi B., Song D.Y., Kim C.G., Song B.H., Woo S.H. et al. 2010. Allelopathic effects of common ragweed (Ambrosia artemisifolia var. elatior) on the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crops and weeds. Kor. J. Weed Sci. 30:34-42. (In Korean) 

  5. Cowbrough M.J., Brown R.B. and Tardif F.J. 2003. Impact of common ragweed (Ambrosia artemisiifolia) aggregation on economic thresholds in soybean. Weed Sci. 51:947-954. 

  6. Esbenshade W.R., Curran W.S., Roth G.W., Hartwig N.L. and Orzolek M.D. 2001a. Effect of establishment date and crop competition on burcucumber fecundity. Weed Sci. 49:524-527. 

  7. Esbenshade W.R., Curran W.S., Roth G.W., Hartwig N.L. and Orzolek M.D. 2001b. Effect of row spacing and herbicides on burcucumber (Sicyos angulatus) control in herbicide-resistant corn (Zea mays). Weed Technol. 15:348-354. 

  8. Hager A. and Renner K. 1994. Common ragweed (Ambrosia artemisiifolia) control in soybean (Glycine max) with bentazon as influenced by imazethapyr or thifensulfuron tank-mixes. Weed Technol. 8:766-771. 

  9. Kil B.S., Kim Y.S., Yoo H.G., Shin S.E. and Baik S.O. 1997.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troduced species, Rumex acetosella. J. Ecol. Environ. 20:413-421. 

  10. Kil J.H., Koh K.S., Kim J.M., Lee J.Y., Kim W.H. et al. 2006. Spread and management scheme of Solanum carolinense as an ecosystem distrubance wild plant. National I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Korea. 

  11. Kil J.H., Shim K.C., Park S.H., Koh K.S., Suh M.H. et al. 2004. Distributions of naturalized alien plants in South Korea. Weed Technol. 18:1493-1495. 

  12. Kim C.S., Chung Y.J., Lee I.Y., Lee J., Song H.K. et al. 2015. Distribution of exotic weeds on crop fields in Jeju-do. Weed Turf. Sci. 4:236-242. (In Korean) 

  13. Kim C.S., Lee I.Y., Lee J., Hong S.H. and Oh Y.J. 2014. Distribution of exotic weeds on upland crop field in Gyeonggi-do. Weed Turf. Sci. 3:284-291. (In Korean) 

  14. Kim H.Y., Choi H.J., Kim D.S., Heo S.J. and Kim S. 2003. Isolation of new herbicidal compound chrysophanic acid from Red Sorrel (Rumex acetosella L.). Kor. J. Weed Sci. 23:301-309. (In Korean) 

  15. Kim H.Y., Kim J.S. and Kim S. 2004. Herbicidal action mechanism of catechol from red sorrel (Rumex acetosella). Kor. J. Weed Sci. 24:129-137. (In Korean) 

  16. Kim J.M., Shin H.C., Kil J.H. and Lee D.B. 2008. Distribution and ecological impact of Aster pilosus Willd in South Korea. Proc. Kor. Soc. Water Environ. Conf. 2008:471-472. 

  17. Kim O.Y., I. P.S., Jung I.M. and Ha S.Y. 2005. Composition of phenolic compounds in Hypochaeris radica L. extracts and their allelopathic effects on gramineous forage crops. Kor. J. Environ. Agric. 24:391-397. 

  18. Kim S., Hur J.H., Han D.S., Hwang K.H., Kim Y.H. et al. 1999. Response of red sorrel (Rumex acetosella L.) to several soil- and foliar-applied herbicides. Kor. J. Pest. Sci. 3:45-53. 

  19. Kim S., Joo J.H., Hur J.H. and Han D.S. 2001. Response of red sorrel (Rumex acetosella) to sequential application of dicamba and mecoprop in Kangwon alpine grassland. Kor. J. Weed Sci. 21:253-258. 

  20. Kim S.H., Kim D.E., Lee D.H., Kim N.Y., Kim Y.C. et al. 2016. Nationwide survey of non-native species in Korea (II).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Korea. 

  21. Kim Y.H., Kil J.H., Hwang S.M. and Lee C.W. 2013. Spreading and distribution of Lactuca scariola, invasive alien plant, by habitat types in Korea. Weed Turf. Sci. 2:138-151. (In Korean) 

  22. Koh K.S., Suh M.H., Kil J.H., Ku Y.B., Oh H.K. et al. 2001. Research on th effects of alien plants on ecosystem and their management (II).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Seoul, Korea. 

  23. Koh K.S., Suh M.H., Kil J.H., Ku Y.B., Oh H.K. et al. 2004. The effect of alien plants on ecosystem and their management (V).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Korea. 

  24. Kong C.H., Wang P. and Xu X.H. 2007. Allelopathic interference of Ambrosia trifida with wheat (Triticum aestivum). Agric., Ecosyst. Environ. 119:416-420. 

  25. Lee H., Kim S.H., Eon K.D., Lee D.H., Kim Y.C. et al. 2015a. Nationwide survey of non-native species in Korea (I).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Korea. 

  26. Lee I.Y., Oh S.M., Moon B.C., Kim C.S., So J.S. et al. 2007. Weeding effect of troublesome exotic weeds, Sicyos angulatus and Amaranthus spinousus, by several herbicides. Kor. J. Weed Sci. 27:195-201. (In Korean) 

  27. Lee I.Y., Oh Y.J., Hong S.H., Choi J.K., Heo S.J. et al. 2015b. Weed flora diversity and composition on upland field of Korea. Weed Turf. Sci. 4:159-175. (In Korea) 

  28. Lee I.Y., Oh Y.J., Hong S.H., Heo S.J., Lee C.Y. et al. 2017. Occurrence of weed flora and changes in weed vegetation in orchard fields of Korea. Weed Turf. Sci. 6:21-28. (In Korean) 

  29. Lee W.T. and Yim Y.J. 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 J. Plant Tax. 8(Suppl.):1-39. 

  30. Mallory-Smith C.A., Thill D.C. and Dial M.J. 1990. Identification of sulfonylurea herbicide-resistant prickly lettuce (Lactuca serriola). Weed Technol. 4:163-168. 

  31. Moon B.C., Oh S.M., Kim C.S., Lee I.Y. and Park J.E. 2002.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ontrol of horsenettle (Solanum carolinense L.). Kor. J. Weed Sci. 22:327-333. (In Korean) 

  32. Moon B.C., Oh S.M., Lee I.Y., Kim C.S., Cho J.R. et al. 2008. Change of weed species in burcucumber (Sicyos angulatus L.) community and domestic distribution aspect. Kor. J. Weed Sci. 28:117-125. (In Korean) 

  33. Moon B.C., Park T.S., Cho J.R., Oh S.M., Lee I.Y. et al. 2007. Characteristics on emergence and early growth of burcucumber (Sicyos angulatus). Kor. J. Weed Sci. 27:36-40. (In Korean) 

  34. NAIST 2008. Integrated manangement system of noxious Ambrosia trifida L.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ion. Suwon, Korea. 

  35. Oh B.Y., Ko S.H., Kang S.H., Paik W.K., Yoo K.O. et al. 2016.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36. Park S.H. 2001. Colored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Korea. 

  37. QGIS Development Team 2017. Q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Open Source Geospatial Foundation Project. http://qgis.osgeo.org. 

  38. Sun B.Y., Kim C.H. and Kim T.J. 1992. Naturalized weed and new location of plant to Korean flora. Kor. J. Plant Tax. 22:235-240. 

  39. Vidotto F., Tesio F. and Ferrero A. 2013. Allelopathic effects of Ambrosia artemisiifolia L. in the invasive process. Crop Protect. 54:161-167. 

  40. Webster T.M., Loux M.M., Regnier E.E. and Harrison S.K. 1994. Giant ragweed (Ambrosia trifida) canopy architecture and interference studies in soybean (Glycine max). Weed Technol. 8:559-564. 

  41. Yim Y.J. and Jeon E.S. 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 Botany 23:69-83. 

  42. Yoo J.H., Oh S.M., Kim C.S., Kim C.S., Moon B.C. et al. 2008. Control of Ambrosia trifida L by soil application herbicides in corn field. Proc. Kor. Weed Sci. Soc. Conf. 28(1):31-32.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