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린인프라스트럭처의 의미구조 - 기존문헌의 정의문 분석을 중심으로 -
Meaning Structure of Green Infrastructure - A Literature Review about Definitions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2 no.2, 2014년, pp.65 - 76  

이은석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협동과정조경학) ,  노초원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성종상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한국 조경분야는 도시 물 순환능력회복을 위한 새로운 개념적 대안으로 그린인프라스트럭처(GI)를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를 통해 그린인프라스트럭처의 본질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인터넷 검색과 학술지 데이터베이스 문헌수집과정을 통해 최근 5년간 발간된 47편의 해외 학술지논문을 선별하고 분석하였다. 각 논문에서 연구에 활용한 그린인프라스트럭처의 정의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각 문장에 포함된 동사와 목적어의 의미구조를 통해 해석하여 5대 목적성, 4대 대상요소, 3대 계획공간의 유형을 파악하였다. 5대 목적성은 '제공', '개선', '생산', '보전', '저감'이며, 4대 대상요소는 '인문', '환경', '생태', '수문'이다. 3대 계획공간은 '도입할 수 있는 대상이 되는 공간', '기술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공간', '도입대상이 될 수 있으면서, 기술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공간' 등이 해당한다. 각각의 대상 요소들은 목적성에 단수 혹은 2~3개가 직접 연결되며, 이는 그린인프라스트럭처의 본질적 의미연결망이다. 종합적으로 조경계획과 도시계획 수립에 활용가능 한 의미연결망의 수는 83개가 있음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reen Infrastructure(GI) is suggested to recover urban water circulation system as a newly conceptual alternative methodology by Korean landscape field in recent years. In this context, the study considers the essential meaning of GI.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literature review with 47 publ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바탕으로 각 분야에서 직접 언급된 정의를 메타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나아가 그린인프라스트럭처를 통해 지향하고자 하는 목적성과 그 대상 간의 관계성을 밝혀내고, 향후 그린인프라스트럭처의 공간계획에 대한 개념적 틀을 정립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국가와 학문분야에서 연구되고 개념이 발전하면서 그린인프라스트럭처가 실제 다양한 스케일의 공간에 적용과 평가가 지속적으로 논문을 통해 나타나고 있음을 착안하고, 이제 막 연구가 시작된 우리나라보다 앞서 나간 해외 학술지 논문을 위주로 수집하여 정의에 중점을 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 분야에서 직접 언급된 정의를 메타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문헌분석연구로서 최근 5년 동안 발간된 47편의 해외학술논문에 명시된 정의문의 의미 파악을 중심으로 한 정성적 분석을 통해 그린인프라스트럭처에 대한 최근 통용되고 있는 의미와 경향성을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그린인프라스트럭처는 어떤 개념인가? 이미 영미-유럽권 국가에서 그린인프라스트럭처는 논의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계획기법 중에 하나이다. 그린인프라스트럭처는 기존 그린웨이(Greenways)의 개념인 물리적 녹색공간의 네트워크를 만들어 도시 내 레크레이션 기능의 연속적 활용을 한다는 점과 생태계 서비스의 자연 생태계가 인간에게 주는 혜택에 대한 개념이 더해져 1999년에 최초로 공식화 된 신조어로서(Anderson and Lash, 1999), 도시사회문제의 해법을 제시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기도 하면서, 구체적으로 다양한 스케일의 물리적 공간을 만들어내는 기술이 상존한다는 점이 특징이다(Allen, 2012). 지난 10여 년간 그린인프라스트럭처를 연구한 해외문헌들에 의하면 그린인프라스트럭처는 도시 물 순환성 향상에 대한 기능적 측면뿐 아니라, 삭막한 도시공간에 생태적 가치를 부여하여 인간의 복리(福利)를 증진시키는데 목적이 있다고 의견을 모으고 있다(McMahon and Benedict, 2000; Saha and Paterson, 2008; van Dijk, 2009; Li et al.
그린인프라스트럭처의 공간유형은 어떻게 나누어지는가? 그린인프라스트럭처의 공간유형은 크게 그린인프라스트럭처를 도입할 수 있는 대상이 되는 공간, 그린인프라스트럭처를 완성하기 위해 기술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공간, 도입대상이 될 수 있으면서, 기술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공간 등,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인 공간요소들은 Table 4~Table 6과 같다.
‘도입할 수 있는 대상이 되는 공간’의 구성요소는 어떤식으로 유형화 시킬 수 있는가? Table 4에 유형화하여 정리 한 ‘도입할 수 있는 대상이 되는 공간’은 규모가 있으면서 지리적으로 고정되어 있고, 사람과 자연이 밀접하게 관계된 공간들로서 그린인프라스트럭처를 통해 해결 가능한 쟁점이 존재하는 바탕공간이라 할 수 있다. 이를 구성하는 공간요소들은 위치별 다른 특징을 지닌 부지, 수 체계와 직접 연계된 공간, 야생 및 서식처 공간, 오픈스페이스, 도로 및 철도망으로 유형화가 가능하다. 각각의 공간은 독립적으로 그린인프라스트럭처의 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 쟁점의 특성에 따라 단일유형을 대상으로 하거나, 복수의 유형을 동시에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1)

  1. Allen, W. L. III(2012) Environmental reviews and case studies: Advancing green infrastructure at all scales: From landscape to site. Environmental Practice 14(1): 17-25. 

  2. Anderson, Ray C. and J. Lash(1999) Toward a Sustainable America the President's Council. USA. pp. 64-65. 

  3. Antrobus, D.(2011) Smart green cities: From modernization to resilience? Urban Research & Practice 4(2): 207-214. 

  4. Benedict, M. A. and E. T. McMahon(2006) Green Infrastructure: Linking Landscapes and Communities. Island Press. p.1. 

  5. Bowler, D. E., L. Buyung-Ali, T. M. Knight and A. S. Pullin(2010) Urban greening to cool towns and cities: A systematic review of the empirical evidence.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97(3): 147-155. 

  6. Breuste, J., J. Niemela and R. P. H. Snep(2008) Applying landscape ecological principles in urban environments. Landscape Ecology 23(10): 1139-1142. 

  7. Cameron, R. W. F., T. Blanusa, J. E. Taylor, A. Salisbury, A. J. Halstead, B. Henricot and K. Thompson(2012) The domestic garden - Its contribution to urban green infrastructure.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11(2): 129-137. 

  8. Carter, J. G.(2011)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European cities. Current Opinion in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3(3): 193-198. 

  9. Carter, T. and C. Butler(2008) Ecological impacts of replacing traditional roofs with green roofs in two urban areas. Cities and the Environment (CATE) 1(2): 9-9. 

  10. Carter, T. and L. Fowler(2008) Establishing green roof infrastructure through environmental policy instruments. Environmental Management 42(1): 151-164. 

  11. Chang, Q., X. Li, X. Huang and J. Wu(2012) A GIS-based green infrastructure planning for sustainable urban land use and spatial development. Procedia Environmental Sciences 12: 491-498. 

  12. Chon, J. and C. Scott Shafer(2009) Aesthetic responses to urban greenway trail environments. Landscape Research 34(1): 83-104. 

  13. Coutts, C.(2010) Green infrastructure and public health in the Florida communities trust public land acquisition program. Planning, Practice & Research 25(4): 439-459. 

  14. Douglas, I.(2012) Urban ecology and urban ecosystems: Understanding the links to human health and well-being. Current Opinion in Environmental Austainability 4: 385-392 

  15. Dunn, A. D.(2010) Siting green infrastructure: Legal and policy solutions to alleviate urban poverty and promote healthy communities. BC Envtl. Aff. L. Rev. 37: 41-41. 

  16. Eckert, R. and U. Schinkel(2009) Liveable city TP. Ho Chi Minh-Adaptation as response to impacts of climate change. Proceedings REAL CORP 2009: 313-323. 

  17. Everard, M. and H. L. Moggridge(2012) Rediscovering the value of urban rivers. Urban Ecosystems 15(2): 293-314. 

  18. Francis, R. A., J. Lorimer and M. Raco(2012) Urban ecosystems as 'natural' homes for biogeographical boundary crossings. Transactions of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37(2): 183-190. 

  19. Greca, P. L., L. Barbarossa, M. Ignaccolo, G. Inturri and F. Martinico (2011) The density dilemma. A proposal for introducing smart growth principles in a sprawling settlement within Catania metropolitan area. Cities 28(6): 527-535. 

  20. Hirokawa, K.(2011) Sustainability and the urban forest: An ecosystem services perspective. Natural Resources Journal 51: 233-233. 

  21. Hollander, J. B.(2011) Can a city successfully shrink? Evidence from survey data on neighborhood quality. Urban Affairs Review 47(1): 129-141. 

  22. Horwood, K.(2011) Green infrastructure: Reconciling urban green space and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Lessons learnt from experience in England's north-west region. Local Environment 16(10): 963-975. 

  23. Jaffe, M.(2011) Environmental reviews & case studies: Reflections on green infrastructure economics. Environmental Practice 12(4): 357-365. 

  24. Keeley, M.(2011) The green area ratio: an urban site sustainability metric. Journal of Environmental Planning and Management 54(7): 937-958. 

  25. Kim, S.-H.(2012) A study on the reduction strategy for stormwater runoff in cities through green infrastructure: Focus on the green infrastructure plan of New York city.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7(4): 293-292 김승현(2012) 녹색기반시설에 의한 도시 강우유출 저감방안 연구. 국토계획 47(4): 283-292. 

  26. Kim, Y.-G. and Y.-H. Son(2012) Study on the green infrastructure application with planning system: Focused on green infrastructure planning and policy in the U.K..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7(5): 69-86 김용국, 손용훈(2012) 도시계획체계와 연계한 그린 인프라 적용 사례연구. 국토계획 47(5): 69-86. 

  27. Kitha, J. and A. Lyth (2011) Urban wildscapes and green spaces in Mombasa and their potential contribution to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mitigation. Environment and Urbanization 23(1): 251-265. 

  28. Kleerekoper, L., M. van Esch and T. B. Salcedo(2012) How to make a city climate-proof, addressing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Resources, Conservation and Recycling 64: 30-38. 

  29. LaCroix, C. J.(2010) Urban agriculture and other green uses: Remaking the shrinking city. Urb. Law. 42: 225-225. 

  30. Lee, H.-S., M.-H. Lee and Z.-H. Yun(2010) Application of green infrastructure to recover the urban water cycle. Korean Water Congress 2010 autumn pp. 223-224 이한샘, 이민호, 윤주환(2010) 그린인프라를 활용한 도시 물순환계 건강성 회복. 대한상하수도학회.한국물환경학회 공동 추계학술발표회2010. pp.223-224. 

  31. Li, Y., Y. Li, H. Zhang, Y. Liu, W. Xu and X. Zhu(2011) Canadian experience in low carbon eco-city development and the implications for China. Energy Procedia 5: 1791-1795. 

  32. Llausas, A. and M. Roe(2012) Green infrastructure planning: Crossnational analysis between the North East of England(UK) and Catalonia (Spain). European Planning Studies 20(4): 641-663. 

  33. Lubbe, C. S., S. J. Siebert and S. S. Cilliers(2010) Political legacy of South Africa affects the plant diversity patterns of urban domestic gardens along a socio-economic gradient. Sci. Res. Essays. 5(19): 2900-2910. 

  34. McLain, R., M. Poe, P. T. Hurley, J. Lecompte-Mastenbrook and M. R. Emery(2012) Producing edible landscapes in Seattle's urban forest.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11(2): 187-194. 

  35. McMahon, Edward T., and M. A. Benedict(2000) Green infrastructure. Planning Commissioners Journal 37: 4-7. 

  36. Mees, H.-L. P. and P. P. J. Driessen(2011)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urban areas: Climate-greening London, Rotterdam, and Toronto. Climate Law 2(2): 251-280. 

  37. Mell, I. C.(2008) Green infrastructure: concepts and planning. FORUM Ejournal 8: 69-80. 

  38. Newell, J. P., M. Seymour, T. Yee, J. Renteria, T. Longcore, J. R. Wolch and A. Shishkovsky(2012) Green alley programs: Planning for a sustainable urban infrastructure? Cities 31: 144-155. 

  39. Park, J.-C., H.-M. Yang and B.-K. Jang(2012) Policy for establishment of green infrastructur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0(5): 43-50. 박재철, 양홍모, 장병관(2012) 녹색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정책. 한국조경학회지 40(5): 43-50. 

  40. Qureshi, S., S. J. Hasan Kazmi and J. H. Breuste(2010) Ecological disturbances due to high cutback in the green infrastructure of Karachi: Analyses of public perception about associated health problems.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9(3): 187-198. 

  41. Saha, D. and R. G. Paterson(2008) Local government efforts to promote the "Three Es" of sustainable development survey in medium to large cities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Planning Education and Research 28(1): 21-37. 

  42. Schilling, J. and J. Logan(2008) Greening the rust belt: A green infrastructure model for right sizing America's shrinking cities.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4(4): 451-466. 

  43. Solecki, W.(2012) Urban environmental challenges and climate change action in New York city. Environment and Urbanization 24(2): 557-573. 

  44. Song, H.-H.(1998) Meta Analysis for Medical Science, Nursing, Social Science. Seoul: Chungmoongak. 송혜향(1998) 의학, 간호학, 사회과학연구의 메타분석법. 서울: 청문각. 

  45. Stoney, C. and R. Hilton(2009) Sustainable cities: Canadian reality or urban myth? Commonwealth Journal of Local Governance (4): 46-76. 

  46. Stubbs, M.(2008) Natural green space and planning policy: Devising a model for its delivery in regional spatial strategies. Landscape Research 33(1): 119-139. 

  47. Sung, J.-S.(2012) Constructing landscape as an operational multi-environmental control utility and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 design for national marine biology resource institute.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5(2): 41-50. 성종상(2012) 작동하는복합환경조절장치및녹색기반시설로서조경.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5(2): 41-50. 

  48. Tappendorf, J. A. and B. O. Denzin(2010) Turning vacant properties into community assets through land banking. Urb. Law. 43: 801-801. 

  49. Thomas, K. and S. Littlewood(2010) From green belts to green infrastructure? The evolution of a new concept in the emerging soft governance of spatial strategies. Planning, Practice & Research 25(2): 203-222. 

  50. Vairavamoorthy, K.(2008) Cities of the future and urban water management. Thematic Week 2: 1-13. 

  51. van Dijk, T. (2009) Who is in charge of the urban fringe? Neoliberalism, open space preservation and growth control. Planning, Practice & Research 24(3): 343-361. 

  52. Vandermeulen, V., A. Verspecht, B. Vermeire, G. Van Huylenbroeck and X. Gellynck(2011) The use of economic valuation to create public support for green infrastructure investments in urban area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03(2): 198-206. 

  53. Walmsley, A.(2006) Greenways: Multiplying and diversifying in the 21st centur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6(1): 252-290. 

  54. Wendel, H. E. W., J. A. Downs and J. R. Mihelcic(2011) Assessing equitable access to urban green space: Yhe role of engineered water infrastructure.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45(16): 6728-6734. 

  55. Werner, P.(2011) The ecology of urban areas and their functions for species diversity. Landscape and Ecological Engineering 7(2): 231-240. 

  56. Wickham, J. D., K. H. Riitters, T. G. Wade and P. Vogt(2010) A national assessment of green infrastructure and change for the conterminous United States using morphological image processing.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94(3): 186-195. 

  57. Wolch, J., J. Newell, M. Seymour, H. B. Huang, K. Reynolds and J. Mapes(2010) The forgotten and the future: Reclaiming back alleys for a sustainable city. Environment and Planning. A, 42(12): 2874-2874. 

  58. Yli-Pelkonen, V.(2008) Ecological information in the political decision making of urban land-use planning. Journal of Environmental Planning and Management 51(3): 345-362. 

  59. Young, R. F.(2011) Planting the living city: Best practices in planning green infrastructure-Results from major US cities.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7(4): 368-381. 

  60. http://scholar.google.com 

  61. http://www.korean.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