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역경지수(Adversity Quotient Profile) 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 -종합병원 간호사 중심으로-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dversity Quotient Profile for Measuring Overcoming of Adversity among Nurse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4, 2014년, pp.2285 - 2294  

안지연 (경인여자대학교 간호과) ,  우해영 (한양대학교 간호학부) ,  송정희 (전주대학교 간호학과) ,  김혜진 (한양대학교 간호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AQP는 Stoltz(1997)가 개발한 역경지수 측정도구로 본 연구의 목적은 AQP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방법론적 연구로 상급종합병원 간호사(297명) 대상으로 2013년 8월~10월까지 자료수집을 실시하였다. 준거도구로 Wagnild와 Young(1993)의 Resilience Scale을 이용하였고, 분석방법으로 Cronbach's alpha 계수, item total correlation계수,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ANOVA test가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전체 20문항의 Cronbach's ${\alpha}$는 .840으로 나타났으며 KMO 값(.804)과 Bartlett's test of sphericity 결과(${\chi}^2$=2271.915, p=.000)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요인 추출 결과, 4개가 추출되었고, 총 누적 변량은 56.256%였고 제1요인(개인의 통제력) 10.7%, 제2요인(개인의 주도성) 13.7%, 제3요인(상황의 영향범위) 17.4%, 제4요인(상황의 지속성)이 14.9%의 설명력을 보였다. 준거타당도 검증에서 준거도구와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개인의 역경 극복력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AQP가 보다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oltz's AQP is a tool to estimate the level of adversity. The purpose of study is to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QP. The participants were 297 nurses of tertiary hospital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Aug. to Oct. 2013. Resilience Scale was used as criterion of AQP. Cronbach's alph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조직적응 여부를 평가하는 도구로 국외에서 활용되고 있는 역경지수(Adversity Quotient, AQ)에 관한 국내 연구는 고등학생이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업, 진로 및 취업영역에서의 위기대처능력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있을 뿐 간호사를 포함한 보건의료인을 대상으로 자신의 전문영역에의 조직적응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연구는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15, 16]. 따라서 본 연구는 Stoltz(1997)[17]가 개발한 Adversity Quotient Profile(이하 AQP)를 한국형으로 번안하여 한국 간호사를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검증된 역경지수(AQP)는 향후 간호사의 조직 적응 및 이직의도의 예측 등에 활용하여 간호 인력관리 및 간호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 개발에 기초를 마련할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는 Stoltz(1997)가 개발한 AQP를 한국형으로 번안하고 역번안을 거쳐 한국 간호사를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추후 간호사의 조직적응 및 이직 의도 예측을 위한 연구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는 Stoltz(1997)가 개발한 역경지수 도구인 AQP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한국어판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이직 결정요인으로 평가되며 현대사회 속 성공 여부를 판별하는 중요한 개인 속성으로 간주되고 있는 역경지수를 측정하기 위해 국외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AQP의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을 위해 시도되었다. AQP은 1997년 Paul 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의 이직률이 높아지는 현상은 어떤 문제를 야기하는가? 대한간호협회의 간호사 이직 및 근로실태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간호사의 평균 이직률은 20%,병원급 의료기관의 1년 미만 간호사의 이직률은 34%에 달한다[2]. 간호 인력의 수급문제를 발생시키는 간호사의 높은 이직률 특히 신규 간호사의 높은 이직률은 잦은 인력교체,반복되는 재교육,경력간호사와 신규간호사의 업무 및 능력 괴리,간호조직의 불안정 등의 문제를 가져오고 이러한 문제는 결국 환자만족도 저하와 간호서비스의 질 저하의 악순환으로 연결된다.뿐만 아니라 간호사를 포함한 보건의료인의 이직은 양질의 인력확보에 위협을 받게 됨은 물론 새로운 인력 채용 및 훈련에 따른 막대한 비용이 지출되어 조직에 큰 손실을 가져오게 된다[3].이러한 중요한 이유로 오늘날까지 많은 연구결과를 통해 이직을 설명할 수 있는 예측인자가 규명되었지만 간호사의 높은 이직률은 여전히 사회적 문제로 남아있으며 병원마다 특히 신규 간호사의 이직을 예방하기 위한 다각적인 해결 방안을 마련해두고 있다[4].
오늘날 병원경영의 방향의 급속한 전환은 어떠한 명제 하에서 이루어지는가? 병원은 지난날 의료서비스 공급자 위주의 핵심적 제공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해 왔으나,21세기를 맞아 급격한 의료 환경 변화에 직면하고 있는 오늘날은 수요자를 중심으로 환자를 정점으로 하여 고객을 위해 존재하는 병원이 되어야 한다는 커다란 명제 하에 병원경영의 방향이 급속히 전환되어지고 있다[1].이에 병원의료서비스질 향상이 강조되었고 이를 위한 인적,재정적,시간적 자원 등의 차원에서의 체계적인 관리가 중요시 되고 있으며 병원의료서비스의 질을 위한 평가지표로 조직관리 및 경영의 효율성이 강조되고 있다.
대한간호협회의 간호사 이직 및 근로실태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간호사의 이직률은 어떠한가? 대한간호협회의 간호사 이직 및 근로실태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간호사의 평균 이직률은 20%,병원급 의료기관의 1년 미만 간호사의 이직률은 34%에 달한다[2]. 간호 인력의 수급문제를 발생시키는 간호사의 높은 이직률 특히 신규 간호사의 높은 이직률은 잦은 인력교체,반복되는 재교육,경력간호사와 신규간호사의 업무 및 능력 괴리,간호조직의 불안정 등의 문제를 가져오고 이러한 문제는 결국 환자만족도 저하와 간호서비스의 질 저하의 악순환으로 연결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W. J. Park, Guideline for quality improvement(2nd ed.), p.414, Korea Medical Book Publisher, 2009. 

  2. Korean Nurses Association. Survey reports of nurse's turnover and work. Seoul: Korean Nurses Association. 2010[cited 2010 Nov., 15], Available from: http://www.koreanurse.or.kr. (assessed March, 24, 2013) 

  3. J. H. Song & J. Y. An, "A path analysis of variable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among healthcare provider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19, 2, pp142-151, 2012. DOI: http://dx.doi.org/10.5953/JMJH.2012.19.2.142 

  4. J. K. Kim & M. J. Kim, "A review of research on hospital nurses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 4, pp.538-550, 2011.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1.17.4.538 

  5. M. S. Joung & K. J. Kim, "A study on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and leader's emotional intelligence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nurse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Hospital Administration, 11, 4, pp1-17, 2006. 

  6. I. S. Kim, "The role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 out, turn over intention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 4, pp515-526, 2009. 

  7. J. Grandy, Psychometric properties and analysis of the AQ profile(online version 8.1). 2009[cited 2009 Oct., 10], Available from: http://www.peaklearning.com. (accessed May, 16, 2013) 

  8. Phoolka, S. & Kaur, N. "Adversity quotient: A new paradigm to explore",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mporary Business Studies, 3, 4, pp.67-78, 2012. 

  9. P. L. Chin & M. L. Hung,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and turnover intention: The moderating roles of adversity quotient and gender",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41, 5, pp.843-860, 2013. DOI: http://dx.doi.org/10.2224/sbp.2013.41.5.843 

  10. S. Lee,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stress of clinical nurses in local public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6, 4, pp.466-474, 2010.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0.16.4.466 

  11. S. Min, H. S. Kim, Y. J. Ha, E. A. Kim, H. Y. Kim, H. J. Kim, & Y. J. Kim, "The Controlling Effect of the Self-Efficacy in the Job Stress of Hospital Nurse on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Korean Journal of Business, 24, 1, pp.1-21, 2011. 

  12. S. K. Hong, "Concept development of resilience-focusing on cancer patients-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5, 1, pp109-119, 2009.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09.15.1.109 

  13. G. M. Kim, E. Y. Park, Y. S. Lee, & J. N. Lee, "Resilience of families with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21, 3, pp.197-209, 2012. 

  14. M. H. Yang, & G. J. Yoon,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a program designed to strengthen family resilience of inpatients with cancer and their familie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50, 1, pp.121-139, 2012. DOI: http://dx.doi.org/10.6115/khea.2012.50.1.121 

  15. B. C. Kim, The effects of Adversity quotient on str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2005. 

  16. Park, W. C., Adversity quotient, stress and coping with stress about career of weight lifters in high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Seoul, Korea. 2008. 

  17. Stoltz, P., Adversity Quotient: Turning Obstacles into Opportunities, pp.101-144, New York: John Wiley & Sons, 1997. 

  18. Wagnild, G. & Young, H. M.,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resilience scale.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1, 2, pp.165-178, 1993. 

  19. Y. S. Song, Determinants of resilience of the physically disabled at hom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Korea. 2004. 

  20. Angelopoulos, P. A., Houde, S., Thompson, M. M.. McCreary, D. R., Blais, A. & Pasto. L, Canadian Forces training and mental preparation for adversity: empirical review of Stoltz Adversity Quotient (AQ) training for optimal response to adversity, a review of the AQ literature and supporting studies(Technical report 2002-147), pp.1-46, Canada: Defense Research and Development Canada, 2002. 

  21. Phoolka, S. K., "Adversity quotient: a new paradigm in management to explore", Research Journal of Social Science and Management, 2, 7, pp.109-117, 2012. 

  22. Jackson, D., Firtko, A., & Edenborough, M., "Personal resilience as a strategy for surviving and thriving in the face of workplace adversity: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0, 1, pp.1-9, 2007. DOI: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7.04412.x 

  23. Miller, T. W., "Advances in understanding the impact of stressful life events on health", Hospitals and Community Psychiatry, 39, 6, pp.615-622, 1988. 

  24. Jacelon, C. S., "The trait and process of resilienc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5, pp.123-129, 1997. DOI: http://dx.doi.org/10.1046/j.1365-2648.1997.1997025123.x 

  25. Judge, T. A., Erez, A., Bono, J. E., & Thoresen., "Are measures of self-esteem, neuroticism, locus of control, and generalized self-efficacy indicators of a common core constru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3, pp.693-710, 2002 DOI: http://dx.doi.org/10.1037/0022-3514.83.3.693 

  26. Welles, E. O., Sure, IQ is important, but maybe it's really the AQ-adversity quotient-of an individual or an organization that determines entrepreneurial success. Inc, 22, 10, pp.43-48, 2000. 

  27. Santos, M. C,.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the adapted adversity quotient program in a special education school", Journal of Arts, Science, & Commerce, 4, 2, pp.2231-4172, 2012. 

  28. Li, B. Q.,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dversity quotient scale in Chinese students", Chinese Mental Health Journal, 22, 8, pp.605-607, 2008 

  29. Pangma, R., Tayraukham, S., & Nuangchalerm, P., "Causal factors influencing adversity quotient of twelfth grade and third-year vocational students". Journal of Social Sciences, 5, 4, pp.466-490, 2009. DOI: http://dx.doi.org/10.3844/jssp.2009.466.470 

  30. S. S. Chun, The relationship of weight lifters adversity quotient, stress, and stress cop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g-in University, Yong-in, Korea.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