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908년 창덕궁 인정전 일곽의 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modeling of Injeongjeon Area at Changdeokgung Palace in 1908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3 no.2, 2014년, pp.53 - 64  

우동선 (한국예술종합학교 건축과) ,  기세황 (한국예술종합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ring the Joseon Dynasty, Injeongjeon area at Changdeokgung Palace was a core space in which major state affairs took place. Since founded in 1405, the Injeongjeon area's spatial composition has been changed while it was repeatedly burned down and rebuilt several times. However, despite many studi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조 이후 인정전은 어떻게 바뀌었는가? 개조 이후 인정전은 폐쇄적인 구조로 바뀌었고, 실외 공간에 가까웠던 월랑은 실내공간이 되었으며, 인정문도 역시 폐쇄적인 구조의 실내공간이 되어서, 이 공간들이 모두 연결되었다. 게다가 전정이 정원으로 바뀜에 따라, 과거 인정전과 인정문 전면의 문을 모두 열어 성대하게 거행하던 행사는 더 이상 불가능하게 되었다. 인정전에는 실내행사에 적합한 마룻바닥이 깔리긴 하였지만, 한일병합을 거치며 전통적으로 치르던 행사들이 점점 축소되었다. 결국에는 인정전의 행사들을 동행각이나 희정당에서 열어야만 했었다.
인정전의 행사들을 동행각이나 희정당에서 열어야만 했던 이유는 무엇인가? 개조 이후 인정전은 폐쇄적인 구조로 바뀌었고, 실외 공간에 가까웠던 월랑은 실내공간이 되었으며, 인정문도 역시 폐쇄적인 구조의 실내공간이 되어서, 이 공간들이 모두 연결되었다. 게다가 전정이 정원으로 바뀜에 따라, 과거 인정전과 인정문 전면의 문을 모두 열어 성대하게 거행하던 행사는 더 이상 불가능하게 되었다. 인정전에는 실내행사에 적합한 마룻바닥이 깔리긴 하였지만, 한일병합을 거치며 전통적으로 치르던 행사들이 점점 축소되었다. 결국에는 인정전의 행사들을 동행각이나 희정당에서 열어야만 했었다.
인정전 일곽의 개조 공사에서 통감부가 처음부터 메이지 궁전의 알현소를 일종의 전범으로 삼았다고 추측 가능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상에서 신문기사들, 도면들, 사진들의 검토를 통하여 1908년 인정전 일곽의 개조를 살펴보았다. 1908년에 통감부가 주도한 인정전 일곽의 개조 공사는 일본인만을 참여시켰던 점과 계획 도면에서부터 ‘알현소’라고 표기하고 있는 점, 이토 히로부미가 관련하였다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 통감부는 처음부터 메이지궁전의 알현소를 일종의 전범으로서 염두에 두었던 것이라고 추측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Injeongjeon jungsudogam uigwe (仁政殿重修都監儀軌), 1857 

  2. Chosen koseki zufu (朝鮮古蹟圖譜), Seoul; Government General Office, 1916-1935 

  3. Changdeokgung album owned by the Imperial Household Agency in Japan, Daejeo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6 

  4. Gelatin Dry Plates in Custody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Royal palaces of Joseon (國立中央博物館所藏琉璃乾板宮闕), Seoul; National Museum of Korea, 2008 

  5. Modern Architectural Drawings (近代建築圖面集), Seongnam;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Jangseogak Archives, 2009 

  6. Survey Report on the Changdeokgung's Injeongmun, Daejeo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0 

  7. Choi, Jongdeok,Changdeokgung: The True Palace of Joseon, Seoul; Nulwa, 2006 

  8. Gondo, Shirosuke, Yi Eonsuk trans.,The Secret History of the Great Han Empire, Seoul; Imago, 2007 

  9. Kim, Dong-uk,Palaces of Korea, Seoul; Hollym, 2006 

  10. Kim, Dong-uk et al., Deep Readings of Changdeokgung Palace, Seoul; Geul-hang-ari, 2012 

  11. Lee, Geau-Chul, Reorganization of Urban Spaces in Seoul During the Great Han Empire Period, Ph. 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0 

  12. Lee, Geau-Chul, Building Surveys and Nationalization on Royal Facilities During the Residency-General Period (1906-1910),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ol.22 No.4, Seoul; KAAH, August, 2013 

  13. Lee, Yoon-sang, The Status of 'Royal-Family of Joseon' and the role of 'Office of Yi Royal-Family'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Korean Culture, Vol.40, Seoul;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2007 

  14.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Changdeokgung, The Palace of Flourishing Virtue, Seoul;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2011 

  15. Nishi, Kazuiko, Nihon no bizutsu #450 kindai wafu kenchiku (日本の美術450 近代和風建築), Tokyo; Shibundo, 2003 

  16. Osawa, Asae, Meiji no koushitsu kenchiku (明治の皇室建築), Tokyo; Yoshikawa kobunkan, 2008 

  17. Park, Hi-Yong, Choi, Jong-Chul, Hong, Dae-Hyung, The Change of Spatial Composition of In-J eong-J eon in Chang-Deuk-Gung Palac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21, No.11, Seoul; AIK, November, 2005 

  18. Park, Hi-Yong, A Study on the Foam and Spatial Role of Dangga in J eongjeon Space of Joeson Dynasty Royal Palaces, The Journal of Seoul Studies Vol.33, Seoul; The Institute of Seoul Studies, 2008 

  19. Suzuki, Hiroyuki ed., Koushitsu kenchiku takumiryou no hito to sakuhin (皇室建築 內匠寮の人と作品), Tokyo; Kenchikugahousya, 2005 

  20. Woo, Don-son et al., Tears of the Palaces, Silence of One Hundred Years, Paju; Publisher Hyohyeong, 2009 

  21. Yamazaki, Taisuke, The Characteristics in the Design Meanings of the Meiji Palace's Ceremonial Section, Journal of Architecture, Planning, AIJ, No.578, Tokyo; AIJ, April, 2004 

  22. http://www.wikipedia.org 

  23. http://royal.must-reading.info/ 

  24. http://meiji.sakanouenokumo.j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