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덕궁 선정전의 의례 공간적 건축 구조
The Architectural Structure of Seonjeong-jeon in Changdeok Palace as a Ceremonial Hall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9 no.2, 2020년, pp.39 - 52  

이종서 (울산대학교 역사.문화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onjeong-jeon, the semi-great hall in Changdeok Palace, was constructed in a highly formal and conservative style and accommodated official ceremonies. However, the contemporary modification of the building has distorted or eliminated features including the two side doors on the front, the floor co...

주제어

표/그림 (14)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정전의 의미는 무엇인가? 1) 인정전은 수차의 화재로 인해 1805년에 최종적으로 중건한 반면, 선정전은 1647년(인조 25)에 인경궁의 광정전을 철거한 재목으로 지어 지금까지 유지하고 있다.2)따라서 선정전은 국가와 왕실의 핵심적인 의례 공간으로서의 건축적 특성과 더불어 조선전기 이전으로 소급되는 건축 법식이나 양식을 가장 뚜렷하게 간직하고 있는 건물이라고 볼 수 있다.
창덕궁 언제 중건 되었는가? 이러한 점에서 임진왜란 직후에 중건한 창덕궁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창덕궁은 1608년경 중건한 이래1867년에 이르기까지 나라를 대표하는 법궁(法宮)이었다. 특히 선정전은 인정전과 함께 ‘법전(法殿)’으로 칭해지며, 중요한 의례를 거행하는 장소가 되었다.
선정전은 창건 당시와 비교하여 구조가 많이 변형된 부분은 어디인가? 그런데 현재 선정전은 창건 당시와 비교하여 구조가 많이 변형되었다. 기둥과 보 등의 기본 가구와 천정의 설비는 비교적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고 보이나, 창호와 바닥 설비, 어좌(御座)는 심각하게 변형되거나 훼손되었다. 변형이나 훼손은 일제시기에 시작되어 1999년에 이르기까지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선정전은 의례 공간으로서의 건축 특성과 조선전기적인 건축 양식을 상당 부분 상실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변형되거나 훼손되기 이전 선정전의 의례 공간으로서의 건축구조와 특징을 규명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영접도감사제청의궤, 1608 

  2. 영접도감군색의궤, 1637 

  3. 숙종대왕혼전도감의궤, 1674 

  4. 인경왕후빈전혼전도감의궤, 1680 

  5. 태조영정모사도감의궤, 1688 

  6. 국조상례보편, 1752 

  7. 인원왕후부묘도감의궤, 1759 

  8. 춘관통고, 1788 

  9. 문희묘영건청등록, 1790 

  10. 정종대왕빈전혼전도감의궤, 1800 

  11. 인정전영건도감의궤, 1805 

  12. 순종대왕빈전혼전도감의궤, 1834 

  13. 흥선대원군 여흥부대부인 예장청등록, 1898 

  14. 경운궁중건도감의궤, 1907 

  15. 승정원일기 

  16. 영조실록 

  17. 후계집 (이이순) 

  18. 조선총독부, 조선고적도보 10, 1930 

  19. 문화재청, 창덕궁인정전행각중건공사보고서, 1999 

  20. Percival Lowell, Choson;The Land od Morning Calm, Ticknor and Company, 1886 

  21. 김동욱, 순조즉위년의 창덕궁 선정전 혼전활용에 대해,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5 

  22. 신지혜, 조선 숙종대 왕실 상장례 설행공간의 건축 특성 : 빈전.산릉.혼전을 대상으로,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23. 역사건축기술연구소, 우리 궁궐을 아는 사전1, 돌베개, 2015 

  24. 역사건축기술연구소, 방화수류정 창호 원형고증 연구용역, 수원시 화성사업소, 2016 

  25. 윤정현, 조선시대 궁궐 중심공간의 배치형식과 공간관계의 구조,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9 

  26. 이정국, 15세기 궁궐 정전 영역의 내부 공간 이용 방식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13-3, 2004 

  27. 이종서, 창덕궁 성정각의 건축 시기와 건축 구조, 건축역사연구 28-2, 2019 

  28.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103쪽 '위위곡(爲位哭.)' 참조 

  29. 대한건축사협회, 한국전통건축 제2집 창덕궁, 대한건축사협회, 1994 

  30. 장재혁, 조선전기 경복궁의 건축 형식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31. 정유진, 조선시대 궁궐 월랑(月廊)과 복도각의 용례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2 

  32. 조재모, 조선시대 궁궐의 의례 운영과 건축 형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33. 조재모, 영.정조대 국가의례 재정비와 궁궐 건축,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1(12), 2005 

  34. 조재모, 조선시대 궁궐의 편전 건축형식, 건축역사연구 12-4, 2003 

  35. 조재모, 좌식공간관습의 건축사적 함의, 건축역사연구 21-1,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