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정간호에 대한 돌봄만족도 측정도구 개발 - Watson의 돌봄개념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the Tool for Measuring the Care Satisfaction of Home Health Nursing based on Watson's Theory of Human Caring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8 no.1, 2014년, pp.57 - 70  

전연숙 (삼육대학교 대학원) ,  강경아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s a methodological research study for development of a tool for measurement of care satisfaction of home health nursing in patients who have received care through home health nursing and to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tool. Method: Based on Watson's theory of car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Jean Watson은 돌봄을 ‘간호의 중심’이라고 하였으며 돌봄은 본질적으로 치유와 관계된 것으로 업무 중심적 행위라기보다는 간호사와 환자 사이에 진정한 상호관계가 존재할 때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하였다 (Watson, 2002). Watson의 10가지 돌봄 요소에 근거하여 가정간호 대상자들이 인식하는 돌봄 만족도 측정도구 개발과정과 결과에 대한 논의하고자 한다.
  • 가정간호는 건강 문제를 스스로 관리할 수 없는 대상자 가정을 직접 방문하여 그들의 환경에 적합한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여 스스로 건강을 관리하고 유지, 증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가정간호대 상자의 가정간호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 대상자 만족도의 질적 측면을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주성분분석과 스크리 도표 결과를 토대로 추출된 10개 요인에 대한 요인 명명의 근거는 Watson이 제시한 10가지 돌봄 요인의 정의와 간호학 교수 2인, 통계학 박사 1인, 대학원생 3인의 의견수렴을 통해 이루어졌다. 또한 본 연구는 돌봄 과학 이론에서 제시한 돌봄 요인 10개의 정의를 보다 명확히 함으로 간호 실무 현장에 이론을 접목 시키며 이론 검증을 위한 목적이 있으므로 개발된 도구의 각 요인에 속한 문항을 유지하려는 노력보다는 요인분석 결과에 따라 각 요인에 속한 문항을 그대로 선택함으로 Watson의 10가지 돌봄 요인의 정의를 보다 구체화 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가정간호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 가정간호 대상자들이 인식하는 돌봄 만족도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방법론적 연구(methodogical research)이다.
  • 가정간호는 건강 문제를 스스로 관리할 수 없는 대상자 가정을 직접 방문하여 그들의 환경에 적합한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여 스스로 건강을 관리하고 유지, 증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가정간호대 상자의 가정간호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 대상자 만족도의 질적 측면을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간호 대상자들이 인식하는 돌봄 만족도 측정도구를 개발하는데 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아울러, 개별 접촉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가정간호영역에서 제공된 돌봄행위에 대하여 대상자가 인식하는 만족도와 Watson이 제시한 인간에 대한 ‘사랑’의 속성이 포함된 돌봄의 본질을 객관적으로 평가함으로 가정간호 서비스 질 향상과 고유한 간호 지식체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돌봄의 기능은 무엇인가? 돌봄 개념은 간호의 본질이며 간호학을 대표하는 핵심개념이다(Watson, 1979). 또한 돌봄은 기본적으로 사람과 사람사이에서 일어나는 건강관련 행위로서 생활에서 경험되는 건강과 질병에 관련되는 문제를 해결 하거나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Watson, 2002; Watson, 1999). 이러한 돌봄개념은 가정간호사가 대상자의 요구에 따라 가정을 방문하여 직접적인 도움을 줌으로써 질병과 장애로부터 회복을 도모하고 개인과 가족의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는 간호활동인 가정간호 영역에 매우 적합한 모델이라고 본다.
간호의 질에 대한 보편적인 정의는 무엇인가? 간호의 질에 대한 가장 보편적인 정의는 환자 문제를 사정하고, 유지 및 지지하며, 완화․개선시키고, 예방하며 악화를 지연시키려는 목적으로 하는 전반적인 효과성을 나타내는 것이다(Shaughnessy, Crisler, & Snhlenker, 1998).
가정간호사업의 역할은 무엇인가? 한국에서 1990년 의료법 시행규칙에 의해 가정간호사가 제도가 만들어진 이후, 가정간호(home health nursing)사업은 지난 25년 동안 병원, 보건소, 장기 요양기관, 건강보험공단 등 지역사회와 재가서비스 분야에서 환자가 있는 가정에 방문하여 조사 및 심사를 통해 가정간호 계획을 수립하고 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Homecare Nurses Association, 2007). 또한 2000년 개정된 의료법 제 33조에 의거 의료기관 외에서 행할 수 있는 의료행위의 범위에 가정간호가 포함되었고, 가정간호대상자, 업무의 범위, 담당인력 등 가정간호사업의 세부사항을 명시한 의료법 시행규칙 제 24조가 신설되어 가정간호사 업에 대한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다(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artlett, M. S. (1951). The effect of standardization in $\chi^{2}$ distribution in factor analysis. Biometrika, 38, 337. 

  2. Cho, C. M. (2013).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in low-income elders living at home: A literature review. Korean Society of Public Health Nursing, 27(2), 372-383. http://dx.doi.org/10.5932/JKPHN.2013.27.2.372 

  3. Cho, Y. H., & Kim, G. S. (2007). Family characteristics and self-care ability in visiting nursing service based on urban public health care.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1(1), 15-24. 

  4. Choi, J. H. (2006). A study on care cotents, ending status and satisfaction of home health care nursing in a general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unsei University, Seoul. 

  5. Ham, O. K., Kim, B. J., & Lee, Y. A. (2008). Cardiovascular disease risk according to socioeconomic factors among low-income midlife wome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2(1), 27-38. 

  6. Han, S. S., Lee, S. C., & Ku, J. C. (2008). Health & Medical Statistical Analysis. Seoul: Fornurse Publishing Co. 

  7. Homecare Nurses Association (2007, July 1). History of homecare nurses association. Retrieved April 3, 2014, from http://hcna.or.kr/HTML/01_intro/intro_02.asp 

  8. Home Health Nurses Association (2001). Core curriculum for home health care nursing: Section I program management. Washington, DC: Home care University. 

  9. Jung, H. S. (2005). A study on perception of ambulatory nurses' caring- by applying Jean Watson's theory -.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0. Kaiser, H. F. (1974). An index of factorial simplicity. Psychomertrika, 39, 31-36. 

  11. Kang, B. S., & Kim, K. S. (2009). SPSS 17.0 Statistical Analysis for Social Science. Seoul: Hannarae Publishing Co. 

  12. Kim, D. S. (2003). A study on home care service and the level of client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13. Kim, J. N., Kwon, Y. S., Koh, H. J., Kim, M. A., Park, C. J., & Shin, Y. H. (2000). A study on hospital based home health care service and the level of client satisfaction. Korean Society of Public Health Nursing, 14(2), 246-259. 

  14. Kim, H. Y. (2004). Development of home health care standard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15. Korean nurses association(2001). Institutionalization of nurse practitioner. Seoul: Korean nurses association. 

  16. Lee, B. S. (1996). Development of a measurement tool of caring to evaluate quality of nursing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6(3), 653-667. 

  17. Lee, B. S. (1998). Importance of nurses's caring behaviors as perceived by staff nurses and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18. Lee, S. W., Kim, J. H., Lee, B. S., Lee, E. H., & Jung, M. S. (1997). The understanding of nursing theory. Seoul: Sumoonsa. 

  19. Leininger, M. (1984). Care: The essence of nursing and health. NJ: Slack. 

  20. Lim, S. J. (2003). Current state of home visiting nursing services and clients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Pusan. 

  21. Ministry of Health & Welfare(2010). Medical institution home health care service: The task manual.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2. Nelson, J., & Watson, J (2012). Measuring Caring: International Research on Caritas as Healing(2nd ed).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23. Park, J. S., & Oh, Y. J. (2012). Factors influencing empowerment of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beneficiari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2(1), 27-38. 

  24. Shaughnessy, P. W., Crisler, K. S., & Snhlenker, R. E. (1998). Outcome-based quality improvement in home health care: The OASIS indicator. Quality and the Home Care Continuum, 18(4), 59-68. 

  25. Song, Y. J. (2007). A Study on the Client Satisfaction of Home Visit Nursing Servic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Kwangju. 

  26. Watson, J. (1979). Nursing: The philosophical science of caring. Boston: Little Brown Publishing Co. 

  27. Watson, J. (2002). Assessing and measuring caring in nursing and health science.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28. Watson, J. (1999). Nursing: Human science and human care (1999). New York: NLN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