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nalyzed some of nursing homes in various domestic and foreign regions in order to find solutions to reduce suicidal incidents from the loneliness. To analyze community space of nursing homes, elderly community is analyzed into three categories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morphologica...
This study analyzed some of nursing homes in various domestic and foreign regions in order to find solutions to reduce suicidal incidents from the loneliness. To analyze community space of nursing homes, elderly community is analyzed into three categories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ocial characteristic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With those three characteristics above, architectural spaces are analyzed the relation with them. Elderly nursing homes are divided with living, nursing, management, and public spaces. The space of elderly nursing homes (classification of function)-elderly community (classification of elderly characteristics) is approached in an architectural way related to the space of elderly nursing homes and elderly characteristics. Through some case studies, specific space relation of elderly nursing homes and elderly community is analyzed. Also, with the building analysis for summary, plans, wards(hospital rooms), cafeteria, program rooms and alley, some of general information and elderly community space is understood. In this study, there will be an analysis of relation of elderly community(morphological, soci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which is separated into some spaces of elderly nursing homes(living, nursing, public spaces and facilities) written above. Furthermore, if people can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ommunity space for elderly facilities, there will be a new guide line for that which can have a play on catalyst.
This study analyzed some of nursing homes in various domestic and foreign regions in order to find solutions to reduce suicidal incidents from the loneliness. To analyze community space of nursing homes, elderly community is analyzed into three categories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ocial characteristic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With those three characteristics above, architectural spaces are analyzed the relation with them. Elderly nursing homes are divided with living, nursing, management, and public spaces. The space of elderly nursing homes (classification of function)-elderly community (classification of elderly characteristics) is approached in an architectural way related to the space of elderly nursing homes and elderly characteristics. Through some case studies, specific space relation of elderly nursing homes and elderly community is analyzed. Also, with the building analysis for summary, plans, wards(hospital rooms), cafeteria, program rooms and alley, some of general information and elderly community space is understood. In this study, there will be an analysis of relation of elderly community(morphological, soci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which is separated into some spaces of elderly nursing homes(living, nursing, public spaces and facilities) written above. Furthermore, if people can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ommunity space for elderly facilities, there will be a new guide line for that which can have a play on catalyst.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1) 이러한 문제는 우리나라에 준하지 않고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으며 노인층을 위한 급격한 노령화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도와 복지서비스 등이 연구 및 개정되어지고 있지만 다른 분야에 비해 건축은 노인문제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현실이다. 2007년에 진행된 김동현 외 2명의 연구인 노인자살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의 연구내용에 따르면 커뮤니티 요소의 부재 정도가 증가할수록 노인의 자살률이 높아지는 비례적 요소는 커뮤니티 공간에 대한 필요성을 제고할 수 있는 논거를 마련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노인문제 중 외로움으로 인한 자살충동을 줄일 수 있는 방안으로 노인복지시설의 커뮤니티 공간에 대해 분석하려고 한다. 귀납적 분석을 통하여 노인요양시설의 커뮤니티공간을 연구한 후 공간구성 계획방향에 따라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구축 기준점을 마련하고자 한다.
2007년에 진행된 김동현 외 2명의 연구인 노인자살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의 연구내용에 따르면 커뮤니티 요소의 부재 정도가 증가할수록 노인의 자살률이 높아지는 비례적 요소는 커뮤니티 공간에 대한 필요성을 제고할 수 있는 논거를 마련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노인문제 중 외로움으로 인한 자살충동을 줄일 수 있는 방안으로 노인복지시설의 커뮤니티 공간에 대해 분석하려고 한다. 귀납적 분석을 통하여 노인요양시설의 커뮤니티공간을 연구한 후 공간구성 계획방향에 따라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구축 기준점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노인의 외로움으로 인한 고독고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노인시설 중 노인요양시설의 커뮤니티 공간을 이용하는 거주자, 간호사, 관리자, 방문객 대상으로 조사하여 커뮤니티공간에서 고려해야 하는 사항들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커뮤니티에 대한 이론고찰 후, 노인 특성에 따라 커뮤니티를 세 가지(형태적 특성, 사회적 특성, 환경적 특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한 노인 커뮤니티공간에 관한 연구를 토대로 노인요양시설의 커뮤니티 공간 활용방안 및 계획방향에 대해 분석하려고 한다.
또한, 커뮤니티에 대한 이론고찰 후, 노인 특성에 따라 커뮤니티를 세 가지(형태적 특성, 사회적 특성, 환경적 특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한 노인 커뮤니티공간에 관한 연구를 토대로 노인요양시설의 커뮤니티 공간 활용방안 및 계획방향에 대해 분석하려고 한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 결과로 노인 커뮤니티공간을 통해서 노인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지 파악하고 본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이후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노인의 형태적 특성에 따라 시설 내·외부 공간모두 적절한 보안과 안전을 유지하면서 시설내 거주자, 관리자, 지역사회를 위한 노인요양시설의 공간구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분석에 따른 종합분석은 다음 <그림 1>에 따라재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위 사례분석틀을 토대로 노인요양시설에서 나타나는 노인 커뮤니티 공간에 관한 분석을 하고자 한다. 표의 항목 중 일반개요는 건물의 개요와 각층별 현황에 대한 분석이다.
본 장에서는 노인요양시설을 통하여 노인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분석할 사례건축물 선정은 보건복지부 ‘2012년 현재 고령가구의 비중이 높은 지역’ 자료에 지역별 고령 비중이 전남(34.
본 연구는 노인 문제 중 외로움으로 인한 고독고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노인시설 중 노인요양시설의 커뮤니티공간을 이용하는 거주자, 간호자, 관리자, 방문객 대상의 관계와 공간 구성관계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노인 커뮤니티 공간을 노인 특성에 따라 세 가지(형태적 특성, 사회적 특성, 환경적 특성)으로 구분하였고, 노인요양시설의 공간은 네 가지(거주공간, 간호공간, 관리공간, 공용공간)으로 구분하였다.
제안 방법
또한, 커뮤니티에 대한 이론고찰 후, 노인 특성에 따라 커뮤니티를 세 가지(형태적 특성, 사회적 특성, 환경적 특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한 노인 커뮤니티공간에 관한 연구를 토대로 노인요양시설의 커뮤니티 공간 활용방안 및 계획방향에 대해 분석하려고 한다.
앞 절에서 커뮤니티에 대한 특성을 분류 했듯이 노인커뮤니티를 노인의 특성에 따라 세 가지로 분류를 하였다. 노화에 따른 형태적 변화에 대한 일반적 환경 특성과 노인의 소속에 대한 문제로 노인의 특성 중 사회적, 행태적 특성에 대한 영향으로 제안하였다.
노인시설 공간 내·외에서 사용자(거주자, 간호자와 관리자, 방문객)의 관계를 고려하여 커뮤니티공간을 관리적인측면과 노인의 특성에 따른 공간분류를 단계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배치도, 평면분석은 기능에 따른 공간분석을 토대로 내·외부 공간에 대해 분석하였고, 실내공간은 거주인(노인)들이 사용하는 공간을 위주로 분석하여 종합분석에 노인요양시설에서의 공간구성과 노인커뮤니티의 관계를 통하여 이뤄지는 공간적 결과를 흐름도로 표현하고자 한다.
관리적인측면의 분류와 노인 커뮤니티 공간을 노인특성에 따라 분류하여 공간의 관계성을 로 구성하였다.
노인요양시설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한 실외공간을 거주자, 방문객의 외부 커뮤니티(휴게)공간의 연계성을 분석하여 실외 노인커뮤니티 공간을 파악하였다.
노인요양시설 대상으로 노인 커뮤니티공간에 관한 사례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우선 노인커뮤니티 디자인특징을 가진 해외 노인요양시설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노인 커뮤니티공간을 파악한 후, 국내 공공노인요양병원 중 선정한 건축물들을 앞서 언급한 해외 노인요양시설의 커뮤니티공간과 비교분석하여 노인 커뮤니티공간에 관해 파악하였다. 각각의 사례 노인요양시설은 기능에 따른 공간(거주공간, 간호공간, 관리공간, 공용공간)에 나타나는 노인커뮤니티(형태적, 사회적, 환경적)를 구분하여 커뮤니티공간에서 거주자, 간호자, 관리자, 방문객 관계를 분석하였다.
우선 노인커뮤니티 디자인특징을 가진 해외 노인요양시설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노인 커뮤니티공간을 파악한 후, 국내 공공노인요양병원 중 선정한 건축물들을 앞서 언급한 해외 노인요양시설의 커뮤니티공간과 비교분석하여 노인 커뮤니티공간에 관해 파악하였다. 각각의 사례 노인요양시설은 기능에 따른 공간(거주공간, 간호공간, 관리공간, 공용공간)에 나타나는 노인커뮤니티(형태적, 사회적, 환경적)를 구분하여 커뮤니티공간에서 거주자, 간호자, 관리자, 방문객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노인 문제 중 외로움으로 인한 고독고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노인시설 중 노인요양시설의 커뮤니티공간을 이용하는 거주자, 간호자, 관리자, 방문객 대상의 관계와 공간 구성관계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노인 커뮤니티 공간을 노인 특성에 따라 세 가지(형태적 특성, 사회적 특성, 환경적 특성)으로 구분하였고, 노인요양시설의 공간은 네 가지(거주공간, 간호공간, 관리공간, 공용공간)으로 구분하였다. 최종적으로 사례분석을 통하여 노인요양시설의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커뮤니티 대상들의 관계를 분석하여 다양한 노인 커뮤니티공간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 커뮤니티 공간을 노인 특성에 따라 세 가지(형태적 특성, 사회적 특성, 환경적 특성)으로 구분하였고, 노인요양시설의 공간은 네 가지(거주공간, 간호공간, 관리공간, 공용공간)으로 구분하였다. 최종적으로 사례분석을 통하여 노인요양시설의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커뮤니티 대상들의 관계를 분석하여 다양한 노인 커뮤니티공간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 데이터
분석할 사례건축물 선정은 보건복지부 ‘2012년 현재 고령가구의 비중이 높은 지역’ 자료에 지역별 고령 비중이 전남(34.4%), 전북(27.8%)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8%)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은 노인커뮤니티 디자인 특징을 가진 영국의 노인복지시설 3 곳과 고령화가 높은 지역인 전라도 지역의 노인복지시설 중 국가적인 차원에서 민관협력으로 운영되어지는 노인복지시설 중 노인요양시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성능/효과
셋째, 노인요양시설의 커뮤니티공간은 두 가지 경우로 분류되어 정리되었다. 거주영역에서 거주자, 간호자, 관리자 간의 커뮤니티가 이루어지는 공간과 방문객이 사용 가능한 영역(프로그램실, 재활치료실 등)에서 함께 이용하면서 자연스럽게 거주자, 간호자, 방문객 간의 커뮤니티가 이뤄지는 공간으로 나뉜다.
넷째, 거주영역에서는 거주자의 생애 마지막 거주공간으로 거주자의 영역을 제공해야 하며 거주자의 물품과 친근한 내부 환경디자인으로 본인의 장소에 대한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계획 되어져야 한다. 공용공간 역시 친근한 환경을 제공하면서 거주자간 자연스러운 교류가 이루어지도록 공간을 조성해야한다.
노인요양시설을 커뮤니공간을 분석한 결과 노인은 자신의 존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원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노인요양시설 뿐만 아니라 노인시설은 노인들이 정체성과 욕구를 충족시켜주면서 자연스럽게 지역사회와 세대간 교류를 가능하도록 공간을 계획해야한다.
후속연구
본 연구에서 국가적인 차원에서 민관협력으로 운영되어지는 노인요양시설 중 노인요양병원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많은 요양시설을 분석하지 못한 한계점이 있지만 추후 노인복지시설의 시설종류 별 조사를 통해 자료수집과 연구를 통한 규명은 노인문제 중 고독고를 줄여 줄 수 있으며 사회문제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동시에 노인시설의 커뮤니티공간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게 된다면 노인시설의 새로운 가이드라인에 대한 촉매로서의 역할을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국가적인 차원에서 민관협력으로 운영되어지는 노인요양시설 중 노인요양병원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많은 요양시설을 분석하지 못한 한계점이 있지만 추후 노인복지시설의 시설종류 별 조사를 통해 자료수집과 연구를 통한 규명은 노인문제 중 고독고를 줄여 줄 수 있으며 사회문제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동시에 노인시설의 커뮤니티공간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게 된다면 노인시설의 새로운 가이드라인에 대한 촉매로서의 역할을 할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는 귀납적 사례분석을 기반으로 진행됨에 따라 추후 노인 시설에 대한 다각적인 해석을 기반으로 하여 공동의 입장에서 풀어나갈 수 있는 연구의 확장을 통해 본 연구를 보완하고자 한다.
동시에 노인시설의 커뮤니티공간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게 된다면 노인시설의 새로운 가이드라인에 대한 촉매로서의 역할을 할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는 귀납적 사례분석을 기반으로 진행됨에 따라 추후 노인 시설에 대한 다각적인 해석을 기반으로 하여 공동의 입장에서 풀어나갈 수 있는 연구의 확장을 통해 본 연구를 보완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급격한 고령화로 인해 노인이 겪는 4가지 고통은 무엇인가?
이는 국제연합(UN)이 정한 기준으로 고령화 사회에서 고령사회로 진입하게 된다. 하지만 정책, 사회, 문화에 있어 고령화 사회에 대비가 미흡한 실정이며 급격한 고령화로 인해 사회적 부적응을 겪는 노인은 크게 4가지 고통인 빈고, 고독고, 무위고, 병고로 고통을 받는다. 이러한 노인문제로 인해 한해 1천여명이 고독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65세 이상 노인이 자살충동을 느끼는 이유
2011년 노인 실태조사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 중 11.2%가 자살을 시도 했고 자살충동을 느끼는 이유로는 경제적인 어려움(35%), 신체질환(35%), 외로움(11%), 가정불화(9%), 이성문제(2%), 기타(8%)로 나타났다.1) 이러한 문제는 우리나라에 준하지 않고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으며 노인층을 위한 급격한 노령화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도와 복지서비스 등이 연구 및 개정되어지고 있지만 다른 분야에 비해 건축은 노인문제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현실이다.
빈고, 고독고, 무위고, 병고에 의해 한해 몇명의 노인이 고독사 하는가?
하지만 정책, 사회, 문화에 있어 고령화 사회에 대비가 미흡한 실정이며 급격한 고령화로 인해 사회적 부적응을 겪는 노인은 크게 4가지 고통인 빈고, 고독고, 무위고, 병고로 고통을 받는다. 이러한 노인문제로 인해 한해 1천여명이 고독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2011년 노인 실태조사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 중 11.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