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유적 환경의 관점에서 고령친화 커뮤니티 환경디자인의 평가체계 연구: 중국 고령자 중심으로
Study on the Evaluation System of Environmental Design for an Age-Friendly Community from the Perspective of a Healing Environment: Focus on the Elderly in China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3, 2022년, pp.296 - 308  

사린 (전남대학교 아트&디자인테크놀로지협동과정) ,  정정호 (전남대학교 디자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코로나-19 사태에서 60세 이상 노인들은 우울, 불안,공포 등 다양한 심리건강 문제가 생겼고, 커뮤니티는 노인 활동의 유일한 공간이 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 FGI 인터뷰와 계층 분석법 AHP를 활용하여 치유적 고령친화 커뮤니티 환경디자인 평가체계를 제시하였다. 평가체계는 3차원 공간, 10개 상위 계층과 68개 하위 계층이다. 또한 전문가 설문조사와 SPSS 프로그램 분석를 통해 평가체계의 각 지표의 가중치를 배분하였다. 첫째, 물질 공간 환경디자인은 노인들의 일상생활에 대한 공용공간 활동시 쾌적성과 건강성을 충족시켜야 한다. 둘째, 사회적 공간환경 디자인은 노인들의 교류와 사회적 연계를 촉진한다는 취지로 디자인을 한다. 셋째, 운영 공간 환경디자인은 커뮤니티 운영회사의 운영체제를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다. 이를 통해 노인의 주거환경 발전을 위한 체계적인 기술적 근거와 행동지침을 제공하여 고령자 심리의 건강 향상을 기대해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COVID-19 crisis, the elderly over 60 have various psychological health problems such as depression, anxiety, and fear, and the community has become the only space for senior activities. To this end, this study presented a therapeutic aging-friendly community environmental design evaluation sy...

주제어

표/그림 (1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또한 관련 평가체계가 부족하기 때문에 노인들의 심리적 문제에 대처하는 노인 커뮤니티 환경 조성의 통일된 기준과 구체적인 규범이 없고, 이로 인해 치유적 고령친화 커뮤니티 조성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치 유적 고령친화 커뮤니티 환경디자인의 개념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정성적 연구와 정량적 연구를 통해 치유 적 환경관점에서 고령친화 커뮤니티 환경디자인 평가체계를 마련한다. 또한 치유적 환경과 고령친화 커뮤니티에 대한 연구를 통해 노인 주거환경의 전면적 추진을 위한 체계적인 기술적 근거와 행동지침을 제공할 예정이다.
  • 본 연구의 목표는 치유적 환경과 고령친화 커뮤니티에 대한 연구를 통해 노인 주거환경에 적합한 환경 조성을 전반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기술적 근거와 행동지침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목표층을 많은 하위계층으로 구분하고, 물질, 사회, 운영 3개의 공간모듈을 기반으로 논리적 차원관계를 갖는 계층분석법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적용하여 목표층 – 상위 계층 (Sub-criteria) – 하위 계층(Sub-sub-criteria)’ 3계층으로 구성된 평가체계의 틀을 구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ZHOU Yanmin, WANG Chunyu, Study on the Isolation Zone Design of Elderly Care Facilities under the Out break of Infectious Diseases, DC STUDIES, p.52, 2020. 

  2. ??, ?航, 王娜, 新型冠?病毒肺炎疫情?期居家防?居民心理健康????. 社????志 , Vol.18, No.8, pp.563-565, 2020. 

  3. 王?, ?文?, ??, "主?感知的城市?境?居民健康的影??究--基于全? 60 ??市的大?本??," 人文地理, Vol.35, No.2, pp.55-64, 2020. 

  4. J. W. DANG, Survey report on the living conditions of China's urban and rural older persons, Beijing: Social Science Academic Press, 2018. 

  5. W. M. GESLER, Healing places, Lanham: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03. 

  6. https://www.xzbu.com/1/view-7400359.htm 

  7. 이준열, 권오정, "치유적 공간의 관점에서 바라본 치매안심센터의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제32권, 제2호, p.378, 2020. 

  8. 최지은, 노인요양시설 치매 노인을 위한 겅용공간 개선방안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9. 강유정, 치유적 환경으로서 종합병원 병동부의 실내환경 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27, 2003. 

  10. M. P. Lawton, Environment and Aging. Albany, NY: The Center for the Study of Aging, 1986. 

  11. H. W. Wahl and G. D. Weisman, "Environmental Gerontology at the Beginning of the New Millennium: Reflections on Its Historical, Empirical, and Theoretical Development," The Gerontologist, Vol.43, No.5, pp.616-627, 2003. 

  12. D. Alley, P. Liebig, J. Pynoos, T. Banerjee, and I. H. "Creating elder-friendly communities: Preparation for an aging society,"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ork, Vol.49, No.2, pp.1-18, 2007. 

  13.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Age-friendly Cities: A Guide, Geneva, Switzerland: Author, WHO, 2007. 

  14. AARP, Livable communities, 2013. http://www.aarp.org/research/ppi/livcom.html 

  15. ALGA, Age-friendly Built Environment: Opportunities for Local Government, Canberra: Australian Local Government Association, 2006. 

  16. E. D. Harding, Towards Lifetime Neighborhoods: Designing Sustainable Communities for All[M], London: Department for Communities and Local Government, 2007. 

  17. X. U. Daming and X. Wei, Research on the layout of elderly care facilities in Harbin from the perspective of equity, Beijing: China Architecture & Building Press, pp.45-254, 201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