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생대 제3기 경동성 요곡운동'의 개념, 시기, 기작에 관한 비판적 고찰: 판구조운동 기원의 새로운 가설
A Critical Review on Setting up the Concept, Timing and Mechanism of Tertiary Tilted Flexural Mode of the Korean Peninsula: A new hypothesis derived from plate tectonics 원문보기

대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49 no.2, 2014년, pp.200 - 220  

신재열 (경북대학교 지리학과) ,  황상일 (경북대학교 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불분명하게 이해되는 경동성 요곡운동의 개념적 정의를 재검토하고, 현재까지 학계에서 통용되는 일반적 수준의 진술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경동성 요곡운동의 재정의, 시간설정, 운동의 속성 그리고 발생요인과 과정에 대한 새로운 모델 제시가 주요 내용이다. '신생대 제3기 경동성 요곡운동'으로 흔히 일컬어지는 한반도 신기지반운동은 최소한 신제3기(23 Ma) 이후 진행된 동해안 지역의 융기-서해안 지역의 침강 패턴의 조륙운동으로 구체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융기-침강의 지역적 경계는 한반도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중국 동북부 지역과 러시아 남부 지역에 걸쳐 광역적으로 분포한다. 이러한 융기-침강운동의 발생동력은 가설적으로 서태평양 섭입대의 활동과 관련한 맨틀 대류의 결과물로 설명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며, 판 경계 응력에 대응한 단층활동은 제4기 이후 한반도의 지역적 융기를 가속화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한반도 서해안의 현생 융기운동과 같이 여전히 남아있는 논쟁적인 부분들에 대한 보다 정교한 논의들은 현장에서부터 그 실체를 확인하는 작업이 선결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reexamines the old concept and reviews prevalent statements on Cenozoic vertical motions of the peninsula that have been uncritically repeated in our academia. The contents of this paper are redefinition of the notion, tilted flexure or warping, and a suggestion for a new time set and p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불국사화강암의 관입 깊이(~3km)와 평균지열상승률(35℃/km), 지표온도(20℃)를 고려했을 때, 팔공산화강암은 ~125℃ 구간에서 주변 암석과의 열적 평형을 이루고 냉각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력에 의한 화강암체의 상승이 멈췄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100℃ 이하 구간에서 확인되는 마이오세 이후 냉각 속도의 완만한 재가속화는 화강암체 정상적 지중 냉각 과정과 더불어 지각 융기에 의한 화강암체의 노출과정이 있었을 것으로 본 연구는 해석하고 있다.
  • 본 연구는 불분명하게 이해되는 경동성 요곡운동의 개념적 정의를 재검토하고, 현재까지 학계에서 통용되는 일반적 수준의 진술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경동성 요곡운동의 정의를 새롭게 하고 나아가 시간설정, 운동의 속성, 그리고 발생요인과 과정에 대한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이론적으로 관입 화강암체의 냉각 과정과 지반 융기간의 직접적인 연결고리는 미약하지만 의미 있는 가설로 제기하고자 한다. 더욱이 경상분지 내의 신동 층군을 비롯하여 태백산 일대, 영덕, 포항 지역에서의 화강암 냉각 속도에 관한 연구에서도 유사한 주장들이 있다(Han, 2002; Lim et al.
  • 본 연구는 불분명하게 이해되는 경동성 요곡운동의 개념적 정의를 재검토하고, 현재까지 학계에서 통용되는 일반적 수준의 진술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경동성 요곡운동의 정의를 새롭게 하고 나아가 시간설정, 운동의 속성, 그리고 발생요인과 과정에 대한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설 설정

  • (b) 동아시아 대륙 하부의 맨틀 전이대 구간에서 확인되는 서태평양 섭입대 물질의 정체 현상(Li and Van der Hilst, 2010). 상대적으로 빠른 지진파 속도를 나타내는 푸른색 구간은 보다 차갑고 밀도가 높은 상태의 섭입판 물질을 가정한다. 이러한 지진파 탐사자료들은 개별연구들에서 사용한 자료의 커버리지와 신뢰도 수준에 따라 다소 상이한 결과들을 나타내기도 하나, 다수의 연구결과들에서 공통적으로 한반도 하부에는 섭입판의 상부 맨틀 내 경계가 나타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는 성숙한 섭입판 물질의 분리 현상이 확인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기지체구조운동은 무엇인가? 신기지체구조운동(Neotectonism)은 흔히 신제3기 (Neogene, 23 Ma~) 이후 진행된 지구조 사건들을 통칭한다. 개념적으로 지체구조운동과 지반운동에 관한 이해의 차이는 지반운동의 경우 육상에서의 침식, 삭박, 운반, 퇴적 작용에 의한 끊임없는 간섭을 포함하고 있으며, 무엇보다 과거 해수면 변동과 관련한 대륙의 상대적 이동이라는 점에서 지질구조상의 변형과는 차이가 있다.
지반운동의 가장 본질적인 영향력은, 무엇에 기인하는가? 개념적으로 지체구조운동과 지반운동에 관한 이해의 차이는 지반운동의 경우 육상에서의 침식, 삭박, 운반, 퇴적 작용에 의한 끊임없는 간섭을 포함하고 있으며, 무엇보다 과거 해수면 변동과 관련한 대륙의 상대적 이동이라는 점에서 지질구조상의 변형과는 차이가 있다. 그러나 지반운동의 가장 본질적인 영향력은 역시 지체구조운동에 기인한다. 한반도 신생대 지반운동의 속성은 그 장기간의 시간 단위만큼 복잡한 요소들을 내포하고 있으며, 현재 우리는 그 사건들에 대한 모든 정보를 갖고 있지 못하다.
신생대 제3기층의 분포 특징은? 한반도 내 육상에서 신생대 제3기층은 그 분포가 매우 제한적이며, 동해안을 따라서 산발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특히 동해안의 육상을 따라서는 제한적이나마 분포하는 제3기층이 한반도 중부 이남의 서해안 육상 지역에서는 전혀 확인되지 않는다(대한지질학회, 1999). 대신 서해안의 제3기층은 육상으로는 북부 지역의 신의주, 안주, 사리원 지역에 소규모 호성 퇴적층이 존재할 뿐이며, 그 이남으로는 황해와 동중국 지역의 육상분지 내에서만 나타나고 있다(그림 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