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application of IUCN categories of overlapping protected areas which is legally designated in South Korea. Different government departments in South Korea have managed and designated as protected areas. However, the protected areas due to different managemen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우리나라 보호지역에 대한 법률체계를 분석하고 중복 지정된 보호지역의 특성을 분석하여 IUCN 카테고리와 비교 검토를 통한 재분류를 통해 서로 다른 보호지역의 원활한 관리를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 보호지역 법률검토를 통해 각 보호지역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또한 생물권보전지역(Biosphere Reserve)과 IUCN 카테고리에 따른 국내 보호지역 적용을 통해 용도지구에 대한 중복 지정 및 중복 지정이 되지 않은 지역과의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 하지만, 각 보호지역의 용도지구 또는 용도지역을 위한 고려는 아니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더불어 각 보호지역의 용도지구 또는 용도지역에 대한 속성을 좀 더 명확화하기 위한 시도로 볼 수 있다.
  • 생태계 건강성과 연관된 대표적 6개의 보호지역을 대상으로 2008년 발표된 IUCN 카테고리 적용체계를 검토해 보고, 우리나라 법률체계를 분석하여 IUCN 적용방안을 모색해 보고, 6개 보호지역의 용도지구별 중복 지정된 부분과 IUCN 카테고리 적용대안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IUCN에 적용된 우리나라의 보호지역 현황은? net)를 통해 전 세계 보호지역 현황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2014년 1월 현재 이 사이트에 적용된 우리나라 보호지역 현황은 313개로 특정도서, 백두대간 보호지역, 생태·경관 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등 과거에 비해 보호지역 데이터가 많이 향상되어 제공되고 있지만 야생생물보호구역, 생태·경관보전지역, 특정 도서 등 일부 지역이 누락되어 있으며, 일부 지역은 IUCN 카테고리에도 적용되지 않는 등 데이터 관리가 아직은 부족한 실정이다.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 보전의 중요한 이슈는? 1992년 리우환경회의 이후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전 세계적으로 자연자원 및 문화자원 보전을 위한 보호지역 지정 및 관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 시대에 따른 생물다양성 확보, 질소 고정, 탄소 격리, 건전한 생태계 조절, 지속가능한 자원 확보는 중요한 이슈이며, 이에 따른 보호지역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기라 볼 수 있다(Arcese and Sinclair, 1997; Daily, 1997; Lindenmayer and Frankin, 2002)
IUCN가 제공하는 서비스는? IUCN(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ional Resources)은 보호지역 관리 카테고리를 적용하여 국제적 기준을 제공하고 있으며, UNEP-WCMC(World Conservation Monitoring Centre)와 공동으로 웹사이트(http://protectedplanet. net)를 통해 전 세계 보호지역 현황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2014년 1월 현재 이 사이트에 적용된 우리나라 보호지역 현황은 313개로 특정도서, 백두대간 보호지역, 생태·경관 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등 과거에 비해 보호지역 데이터가 많이 향상되어 제공되고 있지만 야생생물보호구역, 생태·경관보전지역, 특정 도서 등 일부 지역이 누락되어 있으며, 일부 지역은 IUCN 카테고리에도 적용되지 않는 등 데이터 관리가 아직은 부족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김명수, 최영국, 전대윤, 박정은, 서연미, 2007, 국토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보호지역의 위계정립 및 관리방안, 국토연구원. 

  2. 김민정, 최종관, 이상돈, 2011, 한국 자연보호구역 현황 및 향후 개선방안,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지 20(6), 779-786. 

  3. 김성일, 강미희, 2011, 백두대간보호지역의 IUCN 관리 카테고리 적용 연구, 한국임학회지100(3), 494-503. 

  4. 김보현, 한국 보호지역 관리시스템 개선방안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5. 김현, 2008, 우리나라 국립공원에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보호지역 관리 범주 적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6. 이민주, 이관규, 성현찬, 이동근, 이현우, 김준순, 2013, 한.일.중 3국의 보호지역 관리 비교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6(1): 71-82. 

  7. 조용현, 이용광, 2010, 우리나라 보호지역 관리 실태와 개선방안, 한국조경학회지 38(1), 64-73. 

  8. 허학영, 김현, 이영주, 김성일, 2007, 우리나라 보호지역에 IUCN 카테고리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환경정책연구. 6(2), 71-96. 

  9. 환경부, 2006, 선진외국의 보호지역 관리기법 연구. 

  10. 환경부, 2011a, 자연환경보전 업무계획 및 주요 현안사항. 

  11. 환경부, 2011b, 보호지역의 재분류 및 협력적 관리를 위한 연구. 

  12. Arcese, P. and Sinclair, A.R.E., 1997. The role of protected areas as ecological baselines. Journal of Wildlife Management, 61, 587-602. 

  13. Bishop, K., Dudley, N., Philips, A. and Stolton, S., 2004. Speaking a Common Language:the Uses and Performance of the IUCN System of Management Categories for Protected Areas. Cardiff University, Cambridge. 

  14. Chape, S., Harrison, J., Spalding, M., Lysenko, I., 2005. Measuring the extent and effectiveness of protected areas as an indicator for meeting global biodiversity targets.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B, 360, 443-455. 

  15. Daily, G.C. (Ed.), 1997, Nature's Services: Societal Dependence on Natural Ecosystems. Island Press, Washington, DC. 

  16. Dudley, N. (Ed.), 2008, Guidelines for applying protected area management categories. IUCN, Gland, Switzerland. 

  17. IUCN, 1994, Guidelines for Protected Area Management Categories. CNPPA with the assistance of WCMC, Cambridge, UK. 

  18. Leroux, S. J., Krawchuk, M. A., Schmiegelow, F., Cumming, S. G., Lisgo, K., Anderson, L. G., and Petkova, M., 2010, Global protected areas and IUCN designations: Do the categories match the conditions?. Biological conservation, 143(3), 609-616. 

  19. Lindenmayer, D.B. and Franklin, J.F., 2002. Conserving Forest Biodiversity: a Comprehensive Multiscaled Approach. Island Press, Washington, DC. 

  20. http://protectedplanet.ne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