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여성의 영적안녕,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piritu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6 no.2, 2014년, pp.181 - 190  

허제은 (고신대학교 전인간호과학연구소) ,  태영숙 (고신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act of spiritu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on the depression among middle-aged women. Descriptive study design was used. Methods: The subjects completed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Spiritual Well-being Scale', developed by Paloutzian & Ellis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년여성이 갖고 있는 개인적 대처요인으로서 영적안녕을, 환경적 대처 요인으로 사회적 지지 개념을 적용하여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며 동시에, 중년여성의 우울관리를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영적안녕, 사회적 지지, 우울 정도를 파악하고,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중년여성의 우울관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영적안녕과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영적안녕, 사회적 지지, 여가시간 활용이 중년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확인하였고, 그 중 영적안녕과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의 주요 변인인 영적안녕과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먼저 우울에 영향 미치는 일반적 특성 변인들을 1단계에서 투입하여 통제한 후 2단계에서 영적안녕과 사회적 지지를 투입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영적안녕과 사회적 지지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명목변수는 더미 변수화하여 처리하였다.
  • 본 연구의 대상자는 B광역시와 J시에 살고 있는 중년여성들 중에서 ‘모집안내문’을 통해 동네목욕탕, 미장원, 학교, 병원, 지역교회, 지역성당 등에서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참여에 동의하기로 서면으로 수락한 자로서 240명을 편의표집 하였다. 이렇게 모집한 이유는 연구대상자가 한 곳으로 편중되지 않도록 하여 본 연구주제에 합당한 결과인 일반적인 중년여성의 우울에 관한 자료를 최대한 광범위하게 얻기 위해서였다. 본 연구대상자의 구체적인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울증을 겪는 중년여성이 겪는 신체적, 정신적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어떤 문제가 생길 수 있는가? 우울증을 겪는 중년여성은 신체적 증상으로 식욕부진, 오심구토, 피로감, 수면양상의 변화, 정신적인 면으로 신경과민, 집중력 부족, 죄책감 상승, 자살 의도 등을 경험하게 된다 (Bernstein, 2006).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지 않게 되면 반복적이고 만성적인 증상들로 발전할 수 있게 되어 자살과 같은 극단적인 자기 파괴적 행동 및 심리사회적 기능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Kim, 2004). 그러나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고 마음의 평안을 잃지 않는 중년여성들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몸과 마음과 혼이 통합된 유기체인 인간으로써 신체적, 심리 환경적 상황으로부터 자신을 초월하여 삶의 의미와 가치를 경험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Chong, Chang, Lee, & Kim, 2007).
우울증을 겪는 중년여성은 무엇을 경험하게 되는가? 우울증을 겪는 중년여성은 신체적 증상으로 식욕부진, 오심구토, 피로감, 수면양상의 변화, 정신적인 면으로 신경과민, 집중력 부족, 죄책감 상승, 자살 의도 등을 경험하게 된다 (Bernstein, 2006).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지 않게 되면 반복적이고 만성적인 증상들로 발전할 수 있게 되어 자살과 같은 극단적인 자기 파괴적 행동 및 심리사회적 기능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Kim, 2004).
중년 여성들에게서 사회적 지지란? 한편, 사회적 지지는 중년여성들에게서 인간관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모든 긍정적인 자원 즉, 가족, 친구, 이웃, 기타 사람들에 의해 제공되는 여러 형태의 도움과 원조를 뜻한다 (Cobb, 1976). 또한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보살핌이나 존경, 애정 등을 느끼고 가치가 있다고 믿게 해주는 정보로서 신체적 질병을 예방하는 건강 보호적 효과와 건강문제를 발생시킬수 있는 스트레스의 충격을 완화 혹은 감소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Kang,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ernstein, K. S. (2006). Clinical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depression. Journal of Medsurg Nursing, 15 (6), 333-341. 

  2. Cho, M. J., & Kim, K. H. (1993). Diagnostic validity of the CES-D (Korean version)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2, 381-399. 

  3. Chong, S. O., Chang, S. B., Lee, Y. H., & Kim, J. H. (2007).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health and depression of patients with hematological malignancies. Asian Oncology Nursing, 7, 56-67. 

  4.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 300-314. 

  5.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11). Mental illness epidemiology survey Internet. Seoul: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Retrieved February 16, 2012, from Web site: http://www.mw.go.kr/front 

  6. Fawcett, T. N., & Noble, A. (2004). The challenge of spiritual care in a multi-faith society experienced as a Christian nurs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3 , 136-142. 

  7. Greenglass, E., Fiksenbaum, L., & Eaton, J.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coping social support functional disability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Anxiety, Stress, and Coping, 19 (1), 15-31. 

  8. Heo, M. L. (2012). A study on male climacterium and depression,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subjective a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9. Hill, P. C., & Pargament, K. I. (2003). Advances in the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religion and spirituality: Implications for physical and mental health research. American Psychologist, 58 (1), 64-74. http://dx.doi.org/10.1037/0003-066X.58.1.64 

  10. House, J. S. (1981).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California: Addison-Wesley Longman Publishing Company. 

  11. Hyun, K. J. (2009). Exploring the components of positivity among adult Korean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positive attitude scale. Th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3 (2), 13-42. 

  12. Kang, J. H. (1996). A investigate study on the spiritual well-being status in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13. Kang, R. H.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stress reaction of middle-aged women: effects of social support. Japanese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13, 127-150. 

  14. Kim, J. S., & Shin, K. R. (2004). A study on depression, stress, and social support in adult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34, 352-361. 

  15. Kim, K. H. (2004). Depression and suicide in Korea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10, 55-68. 

  16. Lee, H. Y., & Jeon, H. S. (2011). Effects of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mindfulness and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of the marital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 275-284. http://dx.doi.org/10.5392/JKCA.2011.11.7.275 

  17. Lee, M. S. (2005). Depression 119. Seoul: Galimchulpansa. 

  18. Lim, G. S. (2005). The spring and autumn of life (Understanding and analysis of the psychology of the middle ages). Seoul: Hakgisa. 

  19. Paloutzian, R., & Ellison, C. (1982). Loneliness, spiritual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In Peplau, L. A. and Perlman, D. Loneliness: A source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 (pp. 224-237). New York: Wiley Interscience. 

  20. Park, G. J., & Lee, K. H. (2002). A structural model for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8, 69-84. 

  21. Park, H. S., Kim, A. J., & Bae, K. E. (2010). Life stress, life satisfaction, and adaptation of middle-aged women in the menopause period. Korean Parent Child Health Journal, 13 (2), 55-62. 

  22. Park, J. W. (1985). A study to development a scale of social suppor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3.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Psycologial Measurement, 1, 385-401. 

  24. Shin, K. R. (2001). Depression among Korean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1, 391-400. 

  25. Shin, K. R., Kang, Y. H., & Kim, M. J. (2010). Correlates of depression in the community dwelling middle aged women. Womens Health, 11 (1), 1-22. 

  26. Stanley, M. A., Bush, A. L., Camp, M. E., Jameson, J. P., Phillips, L. L., Barber, C. R., et al. (2011). Older adults' preferences for religion/spirituality in treatment for anxiety and depression. Aging & Mental Health, 15, 334-343. http://dx.doi.org/0.1080/13607863.2010.519326 

  27. Suh, K. H., Chang, S. J., & Goo, J. H. (2005). Spiritual well-being, life stress, depression, and self-esteem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logy, 17, 1077-1095. 

  28. Tae, Y. S., & Kim, M. Y. (2007).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spiritual health in women with cancer. Asian Oncology Nursing, 7, 169-178. 

  29. Um, I. S. (2006). The effect of the leisure type on the depression and loneliness for middle-aged women. Journal of Welfare Administration, 16, 149-167. 

  30. Vaughan, F. (1986). The inward arc: Healing and wholeness in psychotherapy and spirituality. Boston: New Science Librar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