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돈 설사 분변에서 분리한 Bacillus cereus BY06의 장 독소 생성 및 항균제 감수성
Enterotoxin Productivity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Bacillus cereus BY06 Isolated from Pigs with Diarrheal Diseas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7 no.2, 2014년, pp.213 - 218  

오위걸 (전북대학교 바이오식품공학과) ,  노용환 (전북대학교 바이오식품공학과) ,  안병용 (전북대학교 한약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적리를 동반하는 돼지 분변에서 용혈성 균주를 분리 동정한 후, 장 독소 생성 유 무 및 항생제 감수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분리된 용혈성 균주 B. cereus BY06의 gyrB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B. cereus와 99% 유사성을 나타내었다. PCR법에 의한 장 독소 유전자 검출 시험에서 B. cereus BY06는 장 독소 분비 양성으로 판정됨에 따라 설사형 식중독 균임이 확인되었다. B. cereus BY06를 이용한 항균제의 감수성 시험 결과, penicillin G에는 내성을 나타낸 반면 cephalothin, vancomycin, clindamycin, fusidic acid, gentamicin, ciprofloxacin, tetracycline 및 rifampin에 대하여 감수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돼지 분변에서 분리된 B. cereus 균주는 설사를 유발하는 장 독소를 분비하며, penicillin G에 대한 내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nterotoxin production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n hemolytic strains from stools of diarrheal pigs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rough morphological observation, gyrB nucleotide sequence, and API kit analysis, the selected potential pathogenic strain BY06 was identified as Bacillus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돈육으로 인한 식중독 예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hblA와 hblD 유전자의 검출법(Ankolekar 등 2009)을 이용하여 돼지 분변에서 분리한 B. cereus 균주에서 설사 유발 용혈 성장 독소(hemolytic enterotoxin) 생성의 유·무 및 항균제 감수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 cereus에 대하여 항균성을 가지며, rutin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항균 활성을 더 높이는 것으로 보고한 바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 시험을 추후 수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 cereus에 의한 식중독의 잠복기와 주 증상은 무엇입니까? B. cereus에 의한 식중독은 1950년 Hauge(1995)가 처음 보고하였으며, 잠복기는 8~13시간으로 복통, 메스꺼움, 물과 같은 설사가 주 증상이다. 그 이후 여러 나라에서 설사와 복통이 주 증상인 Bacillus cereus에 의한 설사형 식중독 사례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Kim 등 2005).
Bacillus cereus가 분비하는 설사를 유발하는 단백질 독소는 무엇이 있습니까? 그 이후 여러 나라에서 설사와 복통이 주 증상인 Bacillus cereus에 의한 설사형 식중독 사례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Kim 등 2005). Bacillus cereus는 설사와 구토를 유발하는 두 종류의 독소를 생산하는데, 설사를 유발하는 단백질 독소로는 non-hemolytic enterotoxin(Nhe), hemolytic enterotoxin(Hbl), cytotoxin K(CytK)가 알려져 있고 구토를 유발하는 펩타이드 독소로는 cereulide가 보고되고 있다(From 등 2005; Hansen & Hendriksen 2001; Schoeni & Wong 2005). 이러한 독소에 관한 연구로는 Jeong(2008)이 여러 장류에서 분리된 B.
Bacillus cereus으로 인한 식중독은 누가 언제 처음으로 보고했습니까? B. cereus에 의한 식중독은 1950년 Hauge(1995)가 처음 보고하였으며, 잠복기는 8~13시간으로 복통, 메스꺼움, 물과 같은 설사가 주 증상이다. 그 이후 여러 나라에서 설사와 복통이 주 증상인 Bacillus cereus에 의한 설사형 식중독 사례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Kim 등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nkolekar C, Rahmati T, Labbe RG. 2009. Detection of toxigenic Bacillus cereus and Bacillus thuringiensis spores in U.S. rice. Int J Food Microbiol 128:460-466 

  2. Arima H, Ahisda H, Danno G. 2002. Rutin-enhance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flavonoids against Bacillus cereus and Salmonella enteritidis. Biosci Biotechnol Biochem 66:1009-1014 

  3. Cho YS, Jung EY, Lee MK, Yang CY, Shin DB. 2008. Surviv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cereus from Sunshik. J Fd Hyg Safety 23:343-347 

  4. Chung JK, Kim MJ, Kee HY, Choi MH, Seo JJ, Kim SH, Park JT, Kim MG, Kim E. 2008. Prevalence of food poisoning bacteria on hands in various age groups. J Fd Hyg Safety 23:40-50 

  5. Douglas JB, Amy C, Lee, W. 1994. Identification of hemolysin BL-producing Bacillus cereus isolates by a discontinuous hemolytic pattern in blood agar. Appl Environ Microbiol 60:1646-1651 

  6. Drancourt M, Bollet C, Carlioz A, Martelin R, Gayral JP, Raoult D. 2000. 16S ribosomal DNA sequence analysis of a large collection of environmental and clinical unidentifiable bacterial isolates. J Clin Microbiol 38:3623-3630 

  7. Fricker M, Reissbrodt R, Ehling-Schulz M. 2007. Evaluation of standard and new chromogenic selective plating media for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acillus cereus. Int J Food Microbiol 121:27-34 

  8. From C, Pukall R, Schumann P, Hormazabal V, Granum PE. 2005. Toxin-producing ability among Bacillus spp. outside the Bacillus cereus group. Appl Environ Microbiol 71:1178- 1180 

  9. Ham HJ, Kim MS. 2006. Bacillus spp. & B. cereus isolated in dried marine products. J Fd Hyg Safety 21:159-163 

  10. Hansen BM, Hendriksen NB. 2001. Detection of enterotoxic Bacillus cereus and Bacillus thuringiensis strains by PCR analysis. Appl Environ Microbiol 67:185-189 

  11. Hauge S. 1995. Food poisoning caused by aerobic spore-forming bacilli. J Appl Bacteriol 18:591-595 

  12. Hwang JY. 2009.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enterotoxin gene distribution of food-borne Bacillus cereus. MS Dissertation, Cachon Uni. Seongnam. Korea 

  13. Jeing DY. 2008. Monitoring of Bacillus cereus present in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products (Gochujang, Deonjang, Cheonggukjang) and its reduction trials. PhD Dissertation, Chonbuk National Uni. Jeonju. Korea 

  14. Kim HJ, Lee DS, Paik HD. 2004.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cereus isolates from raw soybean sprouts. J Food Prot 67:1031-1035 

  15. Kim SM, Kim EC, Choi MR, So HA, Shim ES, Kim ES, Park SC, Seong CN, Chong Y. 2008. Cytolethal distending toxin production, genotypes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Campylobacter jejuni isolates from diarrhea patient and chickens. J Bacteriol Virol 38:207-219 

  16. Kim SM, Kim EC, So HA, Lee GS. 2005. Bacillus cereus clinical isolates: Characteristics, enterotoxin production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Korean J of Clin Lab Sci 37: 27-34 

  17. Lee JY, Kim YS, Shin DH. 2002. Antimicrobial synergistic effect of linolenic acid and monoglyceride against Bacillus cereus and Staphylococcus aureus. J Agric Food Chem 50:2193-2199 

  18. Lee NK, Jeon EH, Lee HJ, Cho IJ, Hahm YT. 2006.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spp. from the traditionally fermented cheonggukjangs in the Gyeonggi and the Gangwon province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276-280 

  19. Lee NK, Park JW, Cho IJ, Kim BY, Kwon KO, Hahm YT. 2008. Isolation of Bacillus spp. from cheonggukjang and its antagonistic effect against Bacillus cereu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669-673 

  20. Mantynen V, Lindstrom K. 1998. A rapid PCR-based DNA test for enterotoxic Bacillus cereus. Appl Environ Microbiol 64: 1634-1639 

  21. Schoeni JL, Wong AC. 2005. Bacillus cereus food poisoning and its toxins. J Food Prot 68:636-648 

  22. Wu WJ, Ahn BY. 2011.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BY01 with high productivity of menaquinone for cheonggukjang production.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4:783-789 

  23. Yamada S. Ohashi E, Agata N, Venkateswaran K. 1999. Cloning and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of gryB of Bacillus cereus, B. thuringiensis, B. mycoides, and B. anthracis and their application to the detection of B. cereus in rice. Appl Environ Microb 65:1483-14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