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합기능성 Bacillus sp. GH1-13 균주의 특징
Characterization of Multifunctional Bacillus sp. GH1-13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20 no.3, 2016년, pp.189 - 196  

김상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과) ,  상미경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과) ,  원항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과) ,  전영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  류재환 (전주대학교 농생명EM환경연구센터) ,  송재경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바실러스는 토양 및 반추동물의 소화기관과 같은 다양한 곳에서 분리되고 있으며, 작물의 생육 촉진과 병방제를 위한 미생물 재제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바실러스 GH1-13 균주는 전남 완도의 간척지 논에서 분리되었으며, 16S rRNA 유전자와 gyrB 유전자를 이용하여 계통유전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Bacillus velezensis인 것으로 동정되었다. GH1-13 균주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생육촉진에 관련된 IAA를 생성할 뿐 아니라 벼 뿌리의 생육을 촉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벼의 주요 병원균의 생육을 억제할 뿐 아니라 작물의 병원균인 다양한 곰팡이의 생육을 저해하였다. 더불어 식물병원 진균 및 세균의 생육 억제와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판단되는 bacillomycin, bacilycin, fengycin, iturin, surfactin을 생성하는 생합성유전자를 보유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GH1-13균주가 작물의 생육촉진과 병 방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강력한 복합기능성 미생물제로의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veral microorganisms in particular Bacillus subtilis group have been isolated from diverse places such as soils and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ruminants etc., and used as biocontrol agent against various plant pathogens and utilized as plant growth promoting agents. Among them, Bacillus is wel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간척지 작물의 병 방제와 더불어 생육촉진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유용미생물을 분리하기 위해 대표 간척지 3지역(전남 고흥, 충남 당진, 전남 완도)의 논으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염에 내성을 가지며, 작물의 주요 병원균에 대한 길항 활성이 우수한 균주를 선발하고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16S rRNA와 gyrB 유전자를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바실러스는 농업 현장에서 어떤 목적으로 사용되는가? 많은 시군 농업기술센터에서 배양하여 보급하는 미생물은 주로 바실러스(Bacillus),유산균(Lactic acid bacteria), 효모(Saccharomyces), 광합성균(Photosynthetic bacteria) 등이며 몇몇 곰팡이(Aspergillus)와 방선균(Streptomyces), 슈도모나스(Pseudomonas) 등도 활용되고 있다. 이들 중 바실러스는 작물의 생육촉진, 병 저항성 증진, 병 방제뿐 아니라 해충 방제, 악취 저감, 사료제조 등의 목적으로 다양한 농업 현장에 사용되고 있다(Velivelli et al., 2014).
시군 농업기술센터에서 배양하여 보급하는 미생물의 종류는? 최근 다양한 미생물이 시설하우스, 밭, 과수원 등의 농업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시군 농업기술센터에서 다양한 미생물을 배양하여 농가에 공급하고 있다. 많은 시군 농업기술센터에서 배양하여 보급하는 미생물은 주로 바실러스(Bacillus),유산균(Lactic acid bacteria), 효모(Saccharomyces), 광합성균(Photosynthetic bacteria) 등이며 몇몇 곰팡이(Aspergillus)와 방선균(Streptomyces), 슈도모나스(Pseudomonas) 등도 활용되고 있다. 이들 중 바실러스는 작물의 생육촉진, 병 저항성 증진, 병 방제뿐 아니라 해충 방제, 악취 저감, 사료제조 등의 목적으로 다양한 농업 현장에 사용되고 있다(Velivelli et al.
바실러스 GH1-13 균주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확인한 것은? 바실러스 GH1-13 균주는 전남 완도의 간척지 논에서 분리되었으며, 16S rRNA 유전자와 gyrB 유전자를 이용하여 계통유전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Bacillus velezensis인 것으로 동정되었다. GH1-13 균주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생육촉진에 관련된 IAA를 생성할 뿐 아니라 벼 뿌리의 생육을 촉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벼의 주요 병원균의 생육을 억제할 뿐 아니라 작물의 병원균인 다양한 곰팡이의 생육을 저해하였다. 더불어 식물병원 진균 및 세균의 생육 억제와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판단되는 bacillomycin, bacilycin, fengycin, iturin, surfactin을 생성하는 생합성유전자를 보유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GH1-13균주가 작물의 생육촉진과 병 방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강력한 복합기능성 미생물제로의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hn, J. H., B. C. Kim, B. Y. Kim, S . J. Kim, J. Song, S. W. Kwon and H. Y. Weon (2014) Paenibacillus cucumis sp. nov. Isolated from Greenhouse Soil. J Microbiol. 52(6):460-464. 

  2. Athukorala, S. N. P., W. G. D. Fernando and K. Y. Rashid (2009) Identification of antifungal antibiotics of Bacillus species isolated from different microhabitats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maldi-tof mass spectrometry. Can. J. Microbiol. 55(9):1021-1032. 

  3. Avis, T. J., V. Gravel, H. Antoun and R. J. Tweddell (2008) Multifaceted beneficial effects of rhizosphere microorganisms on plant health and productivity. Soil Biol. Biochem. 40(7):1733-1740. 

  4. Cawoy, H., W. Bettiol, P. Fickers and M. Ongena (2011) Bacillus-based biological control of plant diseases, p. 273-302. In D.M. Stoytcheva (ed.), Pesticides in the modern world - pesticides use and management, InTech. 

  5. Chowdhury, P. S., A. Hartmann, X. Gao and R. Borriss (2015) Biocontrol mechanism by root-associated Bacillus amyloliquefaciens FZB42 - a review. Front. Microbiol. 6(780):1-11. 

  6. Dunlap, C. A., S. J. Kim, S. W. Kwon and A. P. Rooney (2016) Bacillus velezensis is not a later heterotypic synonym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Bacillus methylotrophicus, Bacillus amyloliquefaciens subsp. Plantarum and 'Bacillus oryzicola' are later heterotypic synonyms of Bacillus velezensis based on phylogenomics. Int. J. Syst. Evol. Microbiol. 66(3):1212-1217. 

  7. Fukushima, M., K. Kakinuma and R. Kawaguchi (2002) Phylogenetic analysis of Salmonella, Shigella, and Escherichia coli strains on the basis of the gyrB gene sequence. J. Clin. Microbiol. 40(8):2779-2785. 

  8. Idris, E. E., D. J. Iglesias, M. Talon and R. Borriss (2007) Tryptophan-dependent production of indole-3-acetic acid (iaa) affects level of plant growth promotion by Bacillus amyloliquefaciens FZB42. Mol. Plant-Microbe Interact. 20(6):619-626. 

  9. Insam, H. and M. S. A. Seewald (2010)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in soils. Biol. Fertil. Soils 46(3):199-213. 

  10. Kim, B. Y., J. H. Ahn, H. Y. Weon, J. Song, S. I. Kim and W. G. Kim (2012)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species possessing antifungal activity against ginseng root rot pathogens. Korean J. Pestic. Sci. 16(4):357-363. 

  11. Lee, S. Y., H. Y. Weon, J. J. Kim, J. H. Han and W. G. Kim (2013) Control effect of the mixture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M27 and plant extract against cucumber powdery mildew. Korean J. Pestic. Sci. 17(4):435-439. 

  12. Naqqash, T., S. Hameed, A. Imran, M. K. Hanif, A. Majeed and J. D. van Elsas (2016) Differential response of potato toward inoculation with taxonomically diverse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 Front. Plant Sci. 7(1):144. 

  13. Nicholson, L. W. (2002) Roles of Bacillus endospores in the environment. Cell. Mol. Life Sci. 59(3):410-416. 

  14. Ongena, M. and P. Jacques (2008) Bacillus lipopeptides: Versatile weapons for plant disease biocontrol. Trends Microbiol. 16(3):115-125. 

  15. Park, K., D. Paul and W. H. Yeh (2006) Bacillus vallismortis extn-1-mediated growth promotion and disease suppression in rice. Plant Pathol. J. 22(3):278-282. 

  16. Raaijmakers, J. M., I. De Bruijn, O. Nybroe and M. Ongena (2010) Natural functions of lipopeptides from Bacillus and Pseudomonas: More than surfactants and antibiotics. Fems Microbiol. Rev. 34(6):1037-1062. 

  17. Ramarathnam, R., S. Bo, Y. Chen, W. G. D. Fernando, G. Xuewen and T. de Kievit (2007) Molecular and biochemical detection of fengycin- and bacillomycin d-producing Bacillus spp., antagonistic to fungal pathogens of canola and wheat. Can. J. Microbiol. 53(7):901-911. 

  18. Richardson, A. E., J. M. Barea, A. M. McNeill and C. Prigent-Combaret (2009) Acquisition of phosphorus and nitrogen in the rhizosphere and plant growth promotion by microorganisms. Plant Soil 321(1):305-339. 

  19. Santoyo, G., M. d. C. Orozco-Mosqueda and M. Govindappa (2012) Mechanisms of biocontrol and plant growthpromoting activity in soil bacterial species of Bacillus and Pseudomonas: A review. Biocontrol Sci. Technol. 22(8):855-872. 

  20. Song, J., S. C. Lee, J. W. Kang, H. J. Baek and J. W. Suh (2004) Phylogenetic analysis of streptomyces spp. Isolated from potato scab lesions in korea on the basis of 16s rrna gene and 16s-23s rdna internally transcribed spacer sequences. Int. J. Syst. Evol. Microbiol. 54(1):203-209. 

  21. Tamura, K., D. Peterson, N. Peterson, G. Stecher, M. Nei and S. Kumar (2011) Mega 5: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using maximum likelihood, evolutionary distance, and maximum parsimony methods. Mol. Biol. Evol. 28(10):2731-2739. 

  22. Velivelli, S. L. S., P. De Vos, P. Kromann, S. Declerck and B. D. Prestwich (2014) Biological control agents: From field to market, problems, and challenges. Trends Biotechnol. 32(10):493-496. 

  23. Wang, L. T., F. L. Lee, C. J. Tai and H. Kasai (2007) Comparison of gyrB gene sequences, 16s rRNA gene sequences and DNA-DNA hybridization in the Bacillus subtilis group. Int. J. Syst. Evol. Microbiol. 57(8):1846-1850. 

  24. Yamamoto, S. and S. Harayama (1995) PCR amplification and direct sequencing of gyrB genes with universal primers and their application to the detection and taxonomic analysis of Pseudomonas putida strains. Appl. Environ. Microbiol. 61(3):1104-11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