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물순환 개선을 위한 그린인프라 계획 프레임워크 개발 및 시범적용 - 부산시 연제구 및 남구를 대상으로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Green Infrastructure Planning Framework for Improving Urban Water Cycle: Focused on Yeonje-Gu and Nam-Gu in Busan, Korea 원문보기

환경정책연구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v.13 no.3 = no.42, 2014년, pp.43 - 73  

강정은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이명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구유성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조연희 (한아도시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의 도시들은 과거 급격한 도시화를 겪으면서 방재, 안전의 개념이 도시개발에 충분히 반영되지 못했을 뿐 아니라, 개발에 따른 불투수층 확대에 따라 강수, 저류, 침투, 증발산 및 유출로 이어지는 자연적인 물순환 체계의 왜곡을 초래했다. 최근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그린인프라를 활용하여 도시 물순환 체계를 개선하고 도시의 홍수저감 효과를 높이는 노력들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접근성이나 심미성의 측면으로만 그린인프라를 계획하고 있어 그린인프라가 가지는 다양한 효과들을 제대로 활용하고 있지 못하다. 이에 도시 물순환을 개선하고 홍수저감 기능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그린인프라 계획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이를 시범지역에 적용하고자 한다. 프레임워크의 1단계에서는 해당지역의 여건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2단계에서는 홍수취약성 분석을 통해 취약성이 높은 지역을 도출하고 이 지역을 중심으로 그린인프라 우선 설치지역을 도출하는 공간계획을 수립한다. 홍수취약성은 빈도 비모형과 GIS를 활용한 정량적 분석방법론을 활용하였다. 3단계에서는 해당 지역의 지리적 여건, 홍수 경험, 재정 등 다양한 지역여건을 고려하여 그린인프라 기법을 선정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개발된 프레임워크를 부산시 연제구와 남구에 적용하여 주요 취약지역을 대상으로 공원, 빗물정원, 투수성 포장 등을 활용한 구체적인 그린인프라 계획을 제안하였다. 그린인프라 계획 프레임워크가 도시계획, 환경계획, 개발계획 등 다양한 도시공간계획과 연계되어 반영된다면 보다 효과적인 그린인프라 활용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ities in Korea have rapidly urbanized and they are not well prepared for natural disasters which have been increased by climate change. In particular, they often struggle with urban flooding. Recently, green infrastructure has been emphasized as a critical strategy for flood mitigation in develop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그린인프라 계획모형 속에 반영되는 홍수취약성 평가를 위해 GIS와 공간통계 기법을 활용한 취약성 평가방법을 도출하고자 한다.
  • 인구 150만 규모인 필라델피아는 2006년부터 도시계획과 개발계획 전 과정에서 불투수층을 줄이고 그린인프라 설치하도록 하는 정책을 제도화했다. 또한 개발업자들이 개발허가를 받기 위해 사업전반에 대한 빗물관리계획을 반드시 수립하도록 규정했다. 더불어 개발사업 후 발생하는 불투수면 비율에 따라 수도요금 체계를 달리 적용하여 도시민들이 불투수층 발생에 대해 책임을 지도록 하고 있다.
  • 본 연구는 그린인프라의 다양한 기능 가운데 물순환 개선을 통한 홍수저감에 초점을 맞춰 그린인프라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계획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도시차원에서 활용될 수 있는 그린인프라 계획 방법론의 개발 및 적용을 위해 다음의 사항을 전제로 한다. 우선, 본 연구는 그린인프라를 도시홍수 문제를 책임지는 요소로 보기보다는 물순환 개선을 통해 도시홍수 저감에 도움을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생태적, 경관적 측면의 다양한 편익이 존재하여 도시환경 개선에 필요한 요소임을 전제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그린인프라의 효과를 전제로, 그린인프라를 도시공간계획에 연계시킨 국외사례를 참고하여 국내에 적합한 그린인프라 계획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이때 사용될 수 있는 취약성 평가방법도 함께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 제안한 프레임워크는 최근 빈번한 홍수피해를 경험한 부산시 연제구와 남구지역에 시범 적용하여 제한된 여건이긴 하지만 그 활용가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우선 해당지역에 대한 현황파악을 통해 그린인프라의 부족과 도시방재력 향상을 위한 그린인프라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 셋째, 본 연구에서 제안한 계획 프레임워크를 사례지역에 적용하여 해당지역에 대한 구체적인 그린인프라 적용방안을 도출하고 효율적인 그린인프라 공간계획의 실현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 제안한 프레임워크는 최근 빈번한 홍수피해를 경험한 부산시 연제구와 남구지역에 시범 적용하여 제한된 여건이긴 하지만 그 활용가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우선 해당지역에 대한 현황파악을 통해 그린인프라의 부족과 도시방재력 향상을 위한 그린인프라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다음은 그린인프라 입지선정을 위해 빈도비 모형을 활용한 취약성 분석을 시행하고 취약성 도면을 도출하였다.
  • 이러한 조건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본 연구는 우선 홍수취약성에 영향을 미치는 지표를 선행연구와 자료취득 가능성, 상세공간정보화 가능성을 고려해서 결정하였다. 지표는 크게 기후요소, 지형․지질적 요소, 토지이용요소로 구분하여 요소별로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그린인프라의 홍수저감 능력에 초점을 맞춰 이러한 효과를 가장 효율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곳에 배치함으로써 그 기능과 가치를 극대화하고자 그린인프라 계획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그린인프라 계획 프레임워크는 현황 및 여건 분석, 적절한 입지선정을 위한 공간계획, 입지선정 후 구체적인 그린인프라 기법결정을 위한 그린인프라 조성계획의 3단계로 구성된다.
  • 홍수취약성 평가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시·군·구 단위 또는 유역단위의 평가결과들이 도출되어 공간계획적 측면에서 활용하기에 한계가 존재했다. 이에 본 연구는 지표법과 확률통계기법인 빈도비를 통합한 취약성 평가 방법을 활용하여 평가지수의 계산에 수학적 근거를 확보하고 비교적 고해상도의 GIS 도면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첫째, 본 연구는 제한된 재원과 행정지원이라는 근본적인 공간계획의 한계 속에서 효과적으로 그린인프라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전략으로 그린인프라가 가장 필요한 지역, 다시 말해 홍수에 취약한 지역을 도출하고 이들 지역에 대해 우선적으로 그린인프라를 입지시키는 것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이를 반영한 그린인프라 계획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 5%의 정확도를 나타내었고 비교적 높은 정확도가 인정되어 그린인프라 입지 우선지역 선정을 위한 자료로 활용되었다. 취약성이 매우 높은 지역을 대상으로 과거 침수경험, 현재 지역여건들을 고려해서 조성 가능한 그린인프라 기법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본 연구는 연제구, 2곳, 남구 2곳등 4곳에 대해서는 저류시설과 지역특성에 맞는 공원유형을 결합한 형태의 그린인프라를 제안하고 연제구 3곳, 남구 4곳에 대해서는 지역여건을 고려해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실현가능한 투수포장, 옥상녹화, 빗물정원, 공개공지의 활용 등을 제안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그린인프라 계획 프레임워크의 각 단계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이에 도시 물순환을 개선하고 홍수저감 기능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그린인프라 계획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이를 시범지역에 적용하고자 한다. 프레임워크의 1단계에서는 해당지역의 여건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2단계에서는 홍수취약성 분석을 통해 취약성이 높은 지역을 도출하고 이 지역을 중심으로 그린인프라 우선 설치지역을 도출하는 공간계획을 수립한다. 홍수취약성은 빈도 비모형과 GIS를 활용한 정량적 분석방법론을 활용하였다. 3단계에서는 해당 지역의 지리적 여건, 홍수 경험, 재정 등 다양한 지역여건을 고려하여 그린인프라 기법을 선정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개발된 프레임워크를 부산시 연제구와 남구에 적용하여 주요 취약지역을 대상으로 공원, 빗물정원, 투수성 포장 등을 활용한 구체적인 그린인프라 계획을 제안하였다.
1999년부터 2008년까지 우리나라 자연재해로 인한 연평균 재산피해량은? 최근 몇 년 동안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 기후 현상의 증가로 홍수, 가뭄, 폭설, 폭염등 다양한 자연재해가 세계적으로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어서 최근 10년(‘99∼’08)간 자연재해로 인해 약 1.9조 원의 연평균 재산피해를 경험했으며, 이는 과거 20년(‘79∼’98) 연평균 피해액의 약 6배에 달한다(소방방재청, 2009). 이가운데 풍수해로 인한 피해는 전체 자연재해 피해액의 90% 이상을 차지할 뿐 아니라 도시지역에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그린인프라는 어떤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가? 최근 해외 선진국에서는 지속가능성, 현명한 성장, 기후변화적응의 목표를 모두 달성하고 방재성능이 높은 쾌적한 도시를 구축하기 위한 중심수단으로 그린인프라를 강조하고 있다(TEP, 2008; TEP, 2010; Foster, 2011). 그린인프라는 도시 미기후조절, 도시 열섬 저감, 대기오염 정화, 물순환 개선을 통한 홍수예방, 생태적 기능, 생물의 서식공간 제공 등 다양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특히, 1990년대부터는 그린인프라의 효과중 물순환 개선을 통한 유출량 및 비점오염 저감 기능에 초점을 맞춘 연구들이 다양 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그린인프라의 방재기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노력들이 현실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