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맞춤의학' 담론에서 발견되는 기표-정치(signifiant-politics)에 관한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Signifiant-Politics in the Case of 'Personalized Medicine' Discourse 원문보기

科學技術學硏究 = Journal of science & technology studies, v.14 no.1, 2014년, pp.139 - 175  

이준석 (경희대학교 과학기술사회연구센터 학술연구) ,  현재환 (서울대학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난 이십여 년 간 한국의 전문가 집단과 시민사회는 맞춤의학(personalized medicine)의 실현 여부와 그 효용을 둘러싸고 갑론을박을 벌여왔다. 이러한 논의들은 주로 맞춤의학이 실현가능한 약속인지 아니면 단순한 과장광고(hype)인지에 주로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졌는데, 이 글은 이러한 논의들이 '맞춤의학'이라는 용어의 '통시적 혼종성'과 '공시적 다의성'을 놓치고 있음을 지적한다. 본 연구는 맞춤의학을 행위자들에 의해 이용되는 수사적 도구(rhetorical device) 혹은 수사적 존재(rhetorical entity)로 보기를 제안하는 선행 연구를 좇아, 1998년부터 2013년까지 이루어진 약 9천 건의 국내 언론 보도 내용을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에서는 '맞춤의학'이라는 용어가 기술과학 발전의 역사적 맥락에 맞추어 서로 다른 사회세계에 속하는 행위자들에 의해, 건강기능식품, 의료정보제공, 원격진료, 재생의학, 줄기세포연구, 환자중심진료, 질병중심임상처방, 사상체질의학을 가리키는 것으로 끊임없이 재정의 되어 왔음을 보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이 글은 맞춤의학 거버넌스에 대한 정책적 제언과 이론적 기여의 두 가지를 시도한다. 정책적 제언과 관련해서 이 글은 현재 정책 연구들이 역사적 다의성을 고려하지 않은 결과 각기 다른 대상들을 맞춤의학으로 설정하고 분석을 전개하고 있으며, 맞춤 의학을 보편적인 과학적 실재로 가정함에 따라 미국의 ELSI 연구 결과들을 한국 상황의 분석에 그대로 적용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이론적 기여와 관련해서 이 글은 맞춤의학과 같은 신기술에 결부되는 정치적 함의를 검토할 수 있는 도구로 '기표-정치(signifiant-politics)'의 개념을 제시한다. 하나의 용어 단일한 기표가 다양한 의미체계 안에서 서로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 현상은 이전에 세상에 존재하지 않던 새로운 기술과학이 혁신을 통해 등장하였을 때 관찰되는 것으로, 그를 지시하는 기표로서 언어가 갖는 본질적 결여가 파생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신기술 분야에서 정책결정과 거버넌스가 중요한 것은 이 이유 때문이다. 신기술정책은 바로 이러한 기표의 무한한 흐름과 미끄러짐을 정박(碇泊)시키는, 의미의 고정점이자 기표의 누빔점(point de capiton, quilting point)이 된다는 점에서 상징계에서 중대한 의미를 지닌다. 이 사례연구에서 볼 수 있었듯이, 기술정책 등의 사회적 합의가 누빔점을 제공하기 이전까지 신기술의 기표가 갖는 의미의 미끄러짐을 활용하는 행위자들의 특징을 기표-정치(signifiant-politics)라고 부를 것을 조심스럽게 제안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the past 20 years, expert groups and citizens in Korea have debated on the usefulness of personalized medicine. These debates were mainly focussed on the possibility of the promise - people mainly discussed whether it was a probable future or if it was just a hype. Following Hedgecoe and Tutt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과학기술과 관련해서 우리도 특정한 용어(기표)가 갖는 정치적 성격(기표정치)이 중요함을 살펴보았다. 행위자들 간에 공통된 기반을 마련하지 못한 신기술의 기표는 부유하며, 사회세계에 혼돈과 갈등을 야기할 수 있다.
  • 그리고이 사례연구가 보이듯이 기술정책 등의 사회적 합의가 누빔점을 제공하기 이 전까지, 신기술의 기표가 갖는 의미의 미끄러짐을 활용하는 사회세계들의 이러한 행동양식을 ‘기표-정치(signifiant-politics)’라고 부를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사회 각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논의들이 ‘맞춤의학’이 라는 용어의 ‘통시적 혼종성(diachronic heterogeneity)’과 ‘공시적 다의성(synchronic equivocality)’을 간과하고 있음을 지적하고자 한다.
  • 본 사례 연구에서도 많은 행위자들이 어떤 때는 생명공학산업계의 대변자로, 또 다른 때는 의료계의 주요 행위자로 부상하기도 했다. 우리는 행위자와 행위 집단, 그리고 이들의 기술과학적 실천의 혼종적 성격을 충분히 인지하지만, 분석 과정에서 공통의 이해관계를 두고 같은 목소리를 내는 집단들을 발견했기 때문에 연구의 목적을 위해 앞의 세 행위 집단의 분류를 가설적으로 사용하고자 한다.
  • 예를 들면 최근 미국의 정책연구에서 제기되는 ‘유전자 정보 차별’ 등과 같은 이슈들을 그대로 수용하여 한국에서 제기될 규제 정책과 연관된 문제로 제시하는 등의 사례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맞춤의학과 관련된 정책을 연구함에 있어 사회윤리적 함의를 성급히 도출하기 보다는, 우선 맞춤의학이라는 용어의 역사적 다의성과 한국적 특수성을 이해하고 나서 국소적 맥락 속에서 맞춤의학이라는 이름으로 이뤄지는 실천들이 무엇인지를 살피는 일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가설 설정

  • 행위자들 간에 공통된 기반을 마련하지 못한 신기술의 기표는 부유하며, 사회세계에 혼돈과 갈등을 야기할 수 있다.12) 현 단계에서 기표-정치는 새롭게 등장하는 기술과학과 결부되어 행위의 적합성을 다루는 규준적(normative)이거나 규범적인(prescriptive) 개념은 아니다. 오히려 현실을 분석하고 현상 이면에 존재하는 기표들의 정치성을 기술하는 (descriptive) 도구에 불과하다.
  • 한 사설은 "게놈지도의 완성이 황우석 파동으로 침체에 빠져 있는 국내 생명공학계에 활기를 불어넣고 경제위기의 새로운 성장 엔진이 될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으며(서울경제, 2008.12.5), 백융기 연세대 교수는 "이번 성과는 인간지놈프로젝트에 참여하지 못했던 한국 위상을 단숨에 높여준 쾌거"라며 "맞춤형 분자의학 시대 개막과 신약 개발에 큰 전기를 마련한 셈"이라고 평가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맞춤의학'(personalized medicine)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것은? '맞춤의학'(personalized medicine)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것은 1997년 진셋(Geneset)과 애봇 제약(Abbott Pharmaceuticals)이었다(Jain, 1998; Jain, 2009). 당시 한창 진행 중이던 인간유전체프로젝트(HGP, 1990-2003)가 마무리 단계에 진입하자, 이 프로젝트가 가져올 성과들에 대한 여러 비전들 가운데 하나로 제안된 것이었다.
'맞춤의학'이라는 용어가 미디어에 등장하는 빈도가 급격히 증가한 것은 언제부터 인가? 2000년대 초반부터 '맞춤의학'이라는 용어가 미디어에 등장하는 빈도가 급격히 증가했다. 일례로 1998년에 '맞춤의학'이 언급된 기사는 단 두 건이었지만, 1999년에는 10건, 2000년에는 62건, 2001년과 2002년에는 두 배로 보도 수가 늘어났다.
바쁜 업무로 건강 체크를 받기 힘들거나, 몸이 불편해 병원에 가는 것이 여의치 않은 사람들은 인터넷을 이용해 직접 병원에 오지 않고도 집이나 직장에서 편리하고도 신속하게 자기 질병에 맞는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됐다고 한 이유는? 2000년대 동안 맞춤의학은 계속해서 수사적 비전의 지위에 머물렀다. 생명공학산업계의 경우 이러한 비전만으로도 상업적, 도덕적, 상징적 자본을 성취하는 것이 가능했지만(Rajan, 2005: 5장), 임상에서 즉각적인 사용을 필요로 하는 의료계의 경우 ‘물질적인’ 무엇인가를 갖추어야 했다. 이는 1990년대 후반 인터넷의 일반화와 함께 시도되던 의료정보제공 서비스에 맞춤의료의 용어가 삽입되는 상황을 이끌었고, 그 와중에 원격진료의 논의에 맞춤의학이라는 용어가 혼융되는 현상이 드러났다(국민일보, 20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