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욕부진을 주소로 내원한 환아의 현황 및 보호자 인식도 조사
A Survey of the Growth State of the Children with Anorexia and the Perception of Their Parents 원문보기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v.28 no.1, 2014년, pp.7 - 13  

유선애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이승연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Many parents are stressed from their children with anorexia, so this study was planned to investigate the growth state of the children with anorexia and the main concerns of their parents. Methods We searched some medical documents regarding 21 children with anorexia and performed ques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많은 어머니들이 영아의 적절한 영양방법에 대해서 잘 몰라서 당황해하며, 특히 아동의 식욕이 좋지 않아서 잘 먹지 않을 때에는 더욱 그러하다. 또한 대다수의 어머니들은 아동의 영양 상태에 대하여 전문의 도움을 원하고 있으며, 아동의 식욕 문제에 대해서도 그 원인을 알고자 한다7).
  • 이에 저자는 식욕부진 환아를 가진 보호자를 대상으로 식욕부진 환아에 대한 보호자들의 보편적인 인식 현황을 조사하여 진료시 참조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 이에 저자는 식욕부진을 주소로 내원한 환아들의 성장발육 상태를 조사하고, 식욕부진 환아를 가진 보호자들의 현황 인식 상황과 애로 사항을 파악함으로써, 치료 목적과의 부합성을 확인하고 치료적 중재점을 모색하기 위한 자료로 삼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욕부진이란? 식욕부진은 비교적 장기간 식욕감퇴와 심하면 음식을 거부하는 일종의 병증으로 음식에 대한 흥미를 느끼지 못 하며 음식물을 싫어하게 되는 임상적 특징을 갖는다1).
보호자의 진술에 의해 환아의 상태를 파악해야 하는 경우에는 최대한 편견을 배제하고 객관적인 정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는 이유는? 소아는 의사 표현이 미숙하여 진단시 소아를 통해 직접적인 정보를 얻기는 어렵고, 주로 주양육자인 보호자의 관찰 및 판단에 의존하여 상태를 파악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어머니의 정서 상태가 소아의 문제 행동 보고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8) , 자녀 문제에 대한 지각이 아이의 실제 문제 행동 수준보다 부모 자신의 상황이나 고통에 따라 과장될 수도 있다고 알려져 있다9) . 그러므로 보호자의 진술에 의해 환아의 상태를 파악해야 하는 경우에는 최대한 편견을 배제하고 객관적인 정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유아 및 소아기의 식욕부진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영유아 및 소아기의 식욕부진은 전반적인 상태를 저해하고 비기질성 성장부진을 일으켜, 저신장, 행동 장애, 발달지연 등의 유발인자가 되므로 장기적 관점에서 성장 및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Jiang YR, Zhang JW. Practical Chinese Peditrics, Shianghai, shianghaitechnical press. 1996:404-7. 

  2. Ruldolf MC, Logan S, What is the long-term outcome for children who fail to thrive? A systemic review. Arch Dis Child. 2005;90:925-31. 

  3. Yoon YH, Park YB, Yang ES, Rho YI, Kim EY, Moon KR, Lee CG. Eating habits of children under 4 years with poor-feeding. Korea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2003;6(2):167-73. 

  4. Choi MH, Kim DG, Lee JY, A study of the chief complaint of pediatric outpatients in the Kyung Hee oriental medicine hospital, J Korean Orient Pediatr. 2010;24(3):121-37. 

  5. Seo MS, Lee HC, Park EJ, Chae JW, Jung KM, A Study of Children's Food Disorder. J Korean Orient Pediatr. 1990;4(1):87-90. 

  6. Kim KB, Kim DG, Kim YH, Kim JH, Baek JH, Min SH, Park EJ, Yu SA, Lee SY, Lee JY, Chae JW, Jang GT, Han YJ, Han JK, Korean Pediatrics. Seoul. Euisungdang. 2010;449-54. 

  7. Lee K. A study on non-organic failure to thrive infants. Korean J Pediatr. 1987;3:259-65. 

  8. Youngstron E, Loeber R, Stouthamer-Loeber M. Patterns and correlaters of agreement between parent, teacher and male adolescent ratings of externalizing and internaling problems. J Clin. 2000;68(6):1038-50. 

  9. Briggs-Gowan MJ, Carter AS, Schwab-Stone M. Discrepancies among mother, child and teacher reports: Examining the contributions of maternal depression and anxity. J Abnorm Child Psychol. 1996;24(6):749-65. 

  10. Ammaniti M, Lucarelli L, Cimino S, D'Olimpio F. Transmission intergenerationnelle:Troubles alimentaires de l'enfance et psychopathologie meternelle. Devenir. 2004;16:173-98. 

  11. Francis L A, Hofer S H, Birch L. Predictors of maternal child-feeding style:Maternal and child characteristics. Appetite. 2001;37:231-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