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왕조 궁중음식(宮中飮食) 중 만두류(饅頭類)의 문헌적 고찰
A Literature Review on the Mandoo in the Royal Palace of Joseon Dynasty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9 no.2, 2014년, pp.129 - 139  

오순덕 (서울연희직업전문학교 호텔조리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article examines the different types of Mandoo as recorded in 15 royal palace studies from the Joseon dynasty (1392-1909). The types of Mandoo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Byeongsi (餠匙), Mandoo (饅頭), EMandoo (魚饅頭), Rukmandoo (肉饅頭), Yangmandoo (月羊饅頭), Saengchimandoo (生雉饅頭), Golmandoo (骨饅頭), D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7. 생치만두(生雉饅頭)의 만두소는 볶아 익혀진 상태로 다진 생치살을 얇게 만들어 소를 넣고 메밀가루를 묻혀 끓는물에 잠깐 삶아 내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두의 사전적 의미는? 전래의 만두하면 면식류(麵食類, 밀가루로 만든 음식류)에 포함되기도 하나 만두피(饅頭皮)의 종류에 따라 어육편(魚肉片)을 이용하는 등 면식(麵食)의 범위에서 벗어난 것도 있다(장지현 1993). 사전적 의미의 만두는, 만두는 밀가루나 메밀가루 따위를 반죽하여 소를 넣고 빚어서 만든 음식(사전연구실 1968)으로 표현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만두류가 성행된 시기는 고려시대의 승속과 인연이 있었던 것으로 미루어 고려시대 이전으로 소급된다고 추정되고 있다(장지현 1993).
조선왕조 궁중음식 중 하나인 병시(餠匙)의 재료구성은? 병시(餠匙)는 진말(眞末, 밀가루)을 반죽하여 적당한 크기로 얇게 밀어서 거기에 우심육(牛心肉, 소안심), 저육(猪肉, 돼지고기), 진계(陳鷄, 묵은 닭), 생치(生雉, 꿩) 등을 생총(生蔥, 파), 생강(生薑), 간장(艮醬), 진유(眞油, 참기름), 호초말(胡椒末, 후추가루), 실백자(實柏子, 잣)와 버무려서 만든 소를 넣고 빚은 만두이다. 만두 속으로 돼지갈비를 사용한 문헌은 「기해진연의궤」(1719년)의 저갈비(猪乫非)와 「기축 진찬의궤」(1829년)의 저갈비(猪乫飛)이다.
조선왕조 궁중의궤에 소개되어진 만두류의 종류는? 조선왕조 궁중음식 중 만두는 궁중의궤 15책에 수록된 만두를 고찰하였다. 조선왕조 궁중의궤에 소개되어진 만두류의 종류에는 병시(餠匙), 만두(饅頭), 어만두(魚饅頭), 육만두(肉饅頭), 양만두(月羊饅頭), 생치만두(生雉饅頭), 골만두(骨饅頭), 동과만두(冬果饅頭), 채만두(菜饅頭), 침채만두(沈菜饅頭), 생합만두(生蛤饅頭)로 모두 11종류였다. 만두의 명칭은 생긴 모양에 따라 이름 붙여진 병시(餠匙)와 만두의 재료 가운데 특색 있는 재료의 이름을 따서 붙인 골만두, 어만두.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계유 진작의궤(癸酉 進爵儀軌), 고종 10년(1873), 1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2. 김광언. 1992. 만두 考(고). 한국대학박물관협회. 고문화(古文化). 서울. pp 117-132 

  3. 기축 진찬의궤(己丑 進饌儀軌), 순조 29년(1829), 2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4. 기해 진연의궤(己亥 進宴儀軌), 숙종 45년(1719), 서울대학교 규장각 

  5. 무신 진찬의궤(戊申 進饌儀軌), 헌종 14년(1848), 3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6. 무자 진작의궤(戊子 進爵儀軌), 순조 28년(1828), 2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7. 무진 진찬의궤(戊辰 進饌儀軌), 고종 5년(1868), 3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8. 사전연구실. 1968. 조선말사전. 학우서방. 동경 

  9. 신축 진찬의궤(辛丑 進饌儀軌), 대한제국 고종 6년(1901년 5월),3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10. 신축 진연의궤(辛丑 進宴儀軌), 대한제국 고종 5년(1901년 7월),3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11. 원행을묘정리의궤(園行乙卯整理儀軌), 정조 20년(1795), 서울대학교 규장각 

  12. 윤숙경 편역, 1998, 수운잡방 주찬(김유 원저, 1500년대 초엽), 신광출판사, 서울 

  13. 이강자.김을상.김성미.이영남.한복려.이영근.박혜원.이춘자.한복진.허채옥.김귀영.이미숙.김복남.안빈 편역, 2003, 증보산림경제{류중림(柳重臨) 원저, 1767년}, 신광출판사, 서울 

  14. 이성우. 1985. 한국요리문화사. 교문사. 경기도. pp 171-172 

  15. 이혜정.조우균. 1997. 문헌에 기록된 만두의 분석적 고찰. 경기전문대학 논문집 제25호. 경기도. pp 129-135 

  16. 임인 진찬의궤(壬寅 進饌儀軌), 대한제국 고종 6년(1902년 4월),3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17. 임인 진연의궤(壬寅 進宴儀軌), 대한제국 고종 6년(1902년 11월), 3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18. 임진 진찬의궤(壬辰 進饌儀軌), 고종 29년(1892), 3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19. 장지현. 1993. 전통식품-그 유구한 역사와 찬란한 미래(未來). 인제식품과학Forum논총. 경남. pp 49-81 

  20. 정축 진찬의궤(丁丑 進饌儀軌), 고종 14년(1877), 3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21. 정해 정례의궤(丁亥 整禮儀軌), 순조 27년(1827), 2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22. 정해 진찬의궤(丁亥 進饌儀軌), 고종 24년(1887), 3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23. 정혜경. 2008. 만두문화의 역사적 고찰. 동아시아식생활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서울. pp 3-10 

  24. 황혜성 편역, 1980, 규곤시의방(안동장씨 원저, 1670년경), 한국인서출판사, 서울 

  25. Bok HJ. 2008. The A Literary Investigation on Mandu (Dumpling) -Types and Cooking Methods of Mandu (Dumpling) During the Joseon Era (1400's-1900's). Korean J. Dietary Culture, 23(2):273-292 

  26. Kim KS, Lee MJ, Han BJ. 1999. A Study of the Types of Mandoo and Its Cooking Methods in the Old Cooking Books - Focused on the Cooking Books issued in 1600 to 1950. J. East Asian Dietary Life, 9(1):3-16 

  27. Lee SW. 1986. Bibliograchical Study on the Food used in the Royal Palace of Chosun Dynasty. Korean J. Dietary Culture, 1(1):7-2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