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배자, 우슬, 가자 및 감초를 포함하는 혼합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ombined Extracts of Galla rhois, Achyranthes japonica Nakai, Terminalia chebula Retz and Glycyrrhiza uralensis 원문보기

KSBB Journal, v.29 no.1, 2014년, pp.29 - 35  

조홍석 (월드코스텍 기업부설연구소) ,  강세원 (월드코스텍 기업부설연구소) ,  김주희 (월드코스텍 기업부설연구소) ,  최민주 (월드코스텍 기업부설연구소) ,  유혜원 (월드코스텍 기업부설연구소) ,  박으뜸 (조선대학교 생명공학과) ,  전홍성 (조선대학교 생명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thanolic crude extract and its five different solvent subfractions (namely, ethyl acetate fraction, n-butanol fraction, chloroform fraction, n-hexane fraction and the aqueous fraction) from a mixture of four different medicinal herbs (Gal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오배자, 우슬, 가자 및 감초가 공통적으로 전통적인 약재로 사용되며, 항산화, 항균 등의 효능을 갖고 있는 점에 착안하여 이들 혼합물질의 항균력과 항산화력을 조사함으로써 천연방부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천연 항균소재를 탐색하기 위하여 오배자, 우슬, 가자, 감초의 ethanol 조추출물과 이의 혼합추출물에 대한 분획 추출물을 이용하여 S. aureus, S. epidermidis, P. aeruginosa, E. coli에 대한 항균효과를 알아보았다. 오배자, 우슬, 가자, 감초 단독으로 항균활성을 paper disc방법으로 알아본 결과 오배자 추출물에서 항균활성이 가장 뛰어난 항균 활성을 보였으며, 오배자, 우슬, 가자, 감초 추출물의 서로 다른 배합에 따른 항균활성은 오배자:우슬:가자:감초의 비율이 5:3:1:1의 비율로 혼합하였을 경우 가장 뛰어난 항균활성을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배자는 무엇인가? 오배자 (Galla rhois)는 옻나무과에 속한 낙엽소교목인 붉나무 (Rhus javanica Linne) 또는 그 밖의 동속 식물의 잎에오배자 진딧물의 자상에 의하여 생긴 벌레집이다. 성상은 고르지 않고 불규칙하게 2~4개로 갈라진 주머니 모양을 하거나 깨어져있다.
화장품에 사용되는 합성방부제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제품의 보존을 위하여 방부제를 다량으로 사용할 경우 피부자극 및 부작용이 유발될 수 있기 때문에 최소량으로도 최대의 항균력을 나타내며 인체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방부제를 선택하여야 한다 [2,3]. 주로 사용되는 합성방부제 종류는 파라벤류, 쿼터늄-15,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클로페네신, 페녹시에탄올 등이 있다 [4-6]. 화장품, 의약품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기존의 합성 방부제들은 피부알러지 유발, 피부자극, 환경호르몬으로서의 가능성 및 내성균 유발이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화장품에서 방부제는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가? 화장품은 지질인 오일성분과 물을 주성분으로 여기에 다양한 재료의 혼합으로 만들어진다. 이런 다양한 성분의 혼합으로 인한 그 성분 및 제형 상의 특성이 있기 때문에 미생물로부터 오염되기 쉽다. 특히 미생물의 탄소원이 되는 글리세린과 솔비톨, 질소원이 되는 아미노산 유도체와 단백질 등이 배합되어 있어 세균과 곰팡이 등에 오염되기 쉽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알맞은 성능을 가진 물질을 선택하여 방부제로 사용해야 한다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im, M. J., T. K. Jung, I. G. Hong, and K. S. Yoon (2006) Comparison of anti-microbial oils as natural preservative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2: 99-103. 

  2. Cho, E. M., J. T. Bae, H. B. Pyo, and G. S. Lee (2008) Antimicrobial plant extracts as an alternative of chemical preservative: Preservative efficacy of Terminalia chebula, Rhus japonica (gallut) and Cinnmomum cassia extract in the cosmetic formular.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4: 325-331. 

  3. Park, S. M., K. A. Lee, M. Y. Yun, Y. J. Kim, and S. H. Lee (2011) Study of natural preservative system using the mixture of Scutellariae radix, Acacia nilotica and Citrus reticulata extracted from polyhydric alcohols. KSBB J. 26: 533-537. 

  4. Yang, H. G., H. J. Kim, H. S. Kim, and S. N. Park (2012) Antioxidative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extracts. Kor. J. Microbiol. Biotechnol. 40: 250-260. 

  5. Lee, J. Y., J. N. Lee, G. T. Lee, and K. K. Lee (2012) Development of antimicrobial plant extracts and its application to cosmetic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8: 171-179. 

  6. Kim, S. Y., D. H. Won, and S. N. Park (2010) Antibacterial activ-ity and component analysis of Persicaria perfoliata extracts. Kor. J. Microbiol. Biotechnol. 38: 278-282. 

  7. Esposito, E., F. Bortolotti, C. Nastruzzi, E. Menegatti, and R. Cortesi (2003) Diffusion of preservatives from topical dosage forms: A comparative study. J. Cosmet. Sci. 54: 239-250. 

  8. Steinberg, D., Z. Hirschfeld, I. Tayeb, S. Ben-Yosef, A. David, and M. Friedman (1999) The effect of parabens in a mouthwash and incorporated into a sustained release varnish on salivary bacteria. J. Dent. 27: 101-106. 

  9. Vilaplana, J. and C. Romaguera (2000) Contact dermatitis from parabens used as preservatives in eyedrops. Contact Dermatitis. 43: 248. 

  10. Nam, S. H. and M. Y. Kang (2000) Screening of antioxidative activity of hot-water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J. Kor. Soc. Agric. Chem. Biotechnol. 43: 141-147. 

  11. Kim, K. J., J. R. Do, J. H. Jo, Y. M. Kim, B. S. Kim, S. D. Lim, and S. N. Kang (2005) Antibacterial activity of Terminalia chebula Retz. extract against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Kor. J. Food Sci. Technol. 37: 498-503. 

  12. Choi, H. S., J. S. Kim, D. S. Jang, Y. B. Yu, Y. C. Kim, and J. S. Lee (2005) Antibacterial activities of Galla Rhois extracts against fish pathogenic bacteria. J. Fish Pathol. 18: 239-245. 

  13. Jo, H. C., K. S. Han, and E. Y. An (2000) Gall formation on different age, habitat, and parasite position in Rhus javanica L.. Kor. J. Medicinal Crop Sci. 8: 304-311. 

  14. Jung, S. M., S. I. Choi, S. M. Park, and T. R. Heo (2007) Antimicrobial effect of Achyranthes japonica Nakai extracts against Clostridium difficile. Kor. J. Food Sci. Technol. 39: 564-568. 

  15. Park, J. S., N. S. Seong, and Y. J. Lee (2007) Comparative study on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Achyranthis japonicae Radix, Achyranthis bidentatae Radix and Cyathulae Radix. Kor. J. Herbology. 22: 155-167. 

  16. Kim, E. S., S. I. Jeong, J. H. Kim, C. Park, S. M. kim, J. K. Kim, K. M. Lee, S. H. Lee, H. So, and R. Park (2009) Synergistic effects of the combination of 20-hydroxyecdysone with ampicillin and gentamicin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J. Microbiol. Biotechnol. 19: 1576-1581. 

  17. Jang, S. J., G. D. Lee, J. S. Kim, and H. S. Yoon (1992)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Terminalia chebula Retz extracts. Agric. Res. Bull. Kyungpook Natl. Univ. 10: 11-17. 

  18. Chae, I. G., M. H. Yu, H. I. Kim, and I. S. Lee (2011)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from Terminalia chebula Retz., Lavandula spica L., and Dalbergia odorifera T. in RAW 264.7 cells. J. Life Sci. 21: 561-567. 

  19. Han, S. B., H. A. Gu, S. J. Kim, H. J. Kim, S. S. Kwon, H. S. Kim, S. H. Jeon, J. P. Hwang, and S. N. Park (2013) Comparative study on antioxidative activity of Glycyrrhiza uralensis and Glycyrrhiza glabra extracts by country of origin.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9: 1-8. 

  20. Woo, K. S., K. I. Jang, K. Y. Kim, H. B. Lee, and H. S. Jeong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heat treated Licorice (Glycyrrhiza uralensis Fisch) extracts. Kor. J. Food Sci. Technol. 38: 355-360. 

  21. Kim, S. J., D. H. Kweon, and J. H. Lee (2006) Investigation of antioxidative activity and stability of ethanol extracts of Licorice root (Glycyrrhiza glabra). Kor. J. Food Sci. Technol. 38: 584-588. 

  22. Lee, J. W., Y. J. Ji, M. H. Yu, H. G. Im, M. H. Hwangbo, and I. S. Lee (2005) Antimicrobial effect of extract of Glycyrrhiza uralensis on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Kor. J. Food Sci. Technol. 37: 456-464. 

  23. Cai, H., S. I. Choi, Y. M. Lee, and T. R. Heo (2002) Antimicrobial effects of herbal medicine extracts on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O157:H7. Kor. J. Biotechnol. Bioeng. 17: 537-542. 

  24. Kim, S. J., J. Y. Shin, Y. M. Park, K. M. Chung, J. H. Lee, and D. H. Kweon (2006) Investig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and stability of ethanol extracts of Licorice root (Glycyrrhiza glabra). Kor. J. Food SCI. Technol. 38: 241-248. 

  25. Bae, J. S., H. S. Lee, H. Y. Lee, B. H. Yoo, T. W. Kim, Y. H. Kim, and T. H. Kim (2012) Evaluation of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Rhus javanica. Kor. J. Food Preserv. 19: 751-756. 

  26. Seo, H. S. (2010) Studies on the antimicrobial effect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fermented Galla Rhois Extract. Ph.D. Thesis. University of Joongbu, Kumsan-gum, Chung-nam, Korea. 

  27. Ahn, E. Y., D. H. Shin, N. I. Baek, and J. A. Oh (1998)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active substance from Glycyrrhiza uralensis Fisch. Kor. J. Food Sci. Technol. 30: 680-687. 

  28. Kim, M. S., J. S. Jeong, H. Y. Lee, Y. S. Ju, G. S. Bae, S. W. Seo, I. J. Cho, S. J. Park, and H. J. Song (2011)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Achyranthes japonica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ory activity in murine macrophages. Kor. J. Herbology. 26: 51-57. 

  29. Lee, H. S., Y. C. Koo, and K. W. Lee (2009) Suppressive activity of extract of Termialia chebula Retz. on hepatic fibrosis. Kor. J. Food Sci. Technol. 41: 597-601. 

  30. Im, S. J., N. Y. Lim, S. W. Lee, G. S. Kwak, S. H. Ahn, Y. J. Mun, and W. H. Woo (2003) Effect of Glycyrrhizae Radix water extract on the melanogenesis of human melanoma cell. Kor. J. Oriental Physiol. Pathol. 17: 368-3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