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해수농도가 큰비쑥의 종자발아 및 유식물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awater Concentration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Artemisia fukudo 원문보기

Journal of forest science, v.30 no.1, 2014년, pp.120 - 125  

고명석 ((재)제주테크노파크 제주생물종다양성연구소) ,  배기화 ((재)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  이미현 (식물검역기술개발센터) ,  김남영 (국립수목원) ,  이연경 (휴스콘건설 수필연구소) ,  한명수 (휴스콘건설 수필연구소) ,  송재모 (강원도자연환경연구공원) ,  송관필 ((주)제주자연환경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alophytes are plants of saline habitats that grow under conditions that may vary in extremes of temperatures (freezing to very hot), water availability (drought to water logging) and salinity (mild to almost saturation). Halophytes may also face sudden micro-environmental variations within their 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 연안지역에 서식하는 큰비쑥의 종자발아 및 유묘생육에 미치는 해수의 농도를 규명하여 연안지역 이외의 대체 재배지 조성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A) Length of shoot growth. (B) Seedling vigor index. (C) Relative growth rat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쑥의 종류는? 2005). 쑥의 종류로는 각지의 들에 분포하여 우리가 흔히 부르는 쑥(Artemisia princeps Pampan.)「생약명으로 애엽(艾葉)」이 있고, 인가 부근이나 황무지에서 자라는 개똥쑥(Artemisia annua Linne), 냇가나 습지에서 자라는 물쑥(Artemisia selengensis Turcz), 산지에서 자라는 산쑥(Artemisia montana Pampan), 제비쑥(Artemisia japonica Thunb.), 서해안 이북부에서 자라는 황해쑥(Artemisia argyi Lev.), 덕유산 이북이나 동해안의 모래땅에서 자라는 흰쑥(Artemisia stelleriana Bess.), 남서해안 및 제주도지역에 서식하는 큰비쑥(Artemisia fukudo Makino) 등이 있다(Bae 2000; Lee 2003).
쑥속이란? 쑥속(Artemisia spp.)은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전 세계적으로 약 300여종이 분포하며 우리나라에는 약 30여종이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들 속은 다년생 초본형, 1년생 초본형, 관목류 등으로 나눌 수 있고, 쑥은 3월부터 5월까지 산과 들, 길가, 바닷가 등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여러해살이풀로 비교적 기후나 토양에 잘 적응하여 3-4월에 싹이 트는 광역성식물이다(Lee 1975; Yook 1977; Lee et al. 2000; Shin et al.
애엽의 일반성분은? 또한 쑥의 독특한 향과 맛은 떡이나 식재료 등으로 이용하여 왔다(Komunsa 1981; Moon 1994). 쑥의 일반성분은 수분 76%, 단백질 4.7%, 지방 1.9%, 조섬유 14.5%로 필수지방산과 섬유소, 회분량이 많아 체중조절 식품으로 유익하다는 보고가 있었고, 쑥에 관한 성분연구에는 정유·향기성분의 cineol, thujone, borneol, coumarin 등 flavonoid 성분으로 eupatilin, jaceocidin, eupafolin, apigenin 등, 지방산으로는 capric acid, palmatic acid, caffeic acid, catechol, protocatechunic acid, sesamin 등이 알려졌다(Ryu et al.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bdul-Baki A, Anderson JD. 1973. Vigor determination in soybean seed by multiple criteria. Crop Sci 13: 630-633. 

  2. Ashraf M, McNeilly T, Bradshaw AD. 1987. Selection and heritability of tolerance to sodium chloride in four forage species. Crop Sci 27: 232-234. 

  3. Bae KH. 2000. Medicinal herb of Korea. Kyohaksa, pp 489. 

  4. Beadle CL. 1993. Growth analysis. In: Photosynthesis and production in a changing environmen: a field and laboratory manual (Hall DO, Scurlock JMO, Bolhar-Nordenkampf HR, Leegood RC, Long SP, eds). Chapman&Hall, London, pp 36-46. 

  5. Bewley JD, Black M. 1982. Physiology and biochemistry of seeds in relation to germination: 2, viability, dormancy, and environmental control. Springer-Verlag, Berlin, pp 323-326. 

  6. Dudeck AE, Peacock CH, Sheehan TJ. 1986. An evaluation of germination media for turfgrass salinity studies. J Amer Soc Hort Sci 111: 170-173. 

  7. Horst GL, Taylor RM. 1983. Germination and initial growth of kentucky bluegrass in soluble salts. Agron J 75: 679-681. 

  8. Huh MR, Kwack BH. 1997. The effects of salinity on Hibiscus syriacus and Hibiscus hamabo seed germination. J Kor Flower Res Soc 6: 51-55. 

  9. Kang JH, Yoon SY, Jeon SH. 2004. Review: Analysis on practicality of seed treatments for medicinal plants published in Korean scientific journals. Korean J Medical Crop Sci 12: 328-341. (in Korean) 

  10. Kang JS, Cho JL. 1996. Effects of storage temperature and seed moisture content after priming on germination of tomato seeds. J Kor Soc Hort Sci 37: 652-656. 

  11. Kim KS, Yoo YK, Lee GJ. 1991. Comparative salt tolerance study in Korean lawngrasses I. Comparison with western turfgrasses via in vitro salt tolerance test. J Kor Soc Hort Sci 32: 118-124. 

  12. Komunsa. Eds. 1981. Explanations of herbal medicine. Komunsa, Seoul, pp 48. 

  13. Lee SD, Park HH, Kim DW, Bang BH. 2000. Bioacitve constituents and utilitics of Artemisia sp. as medicinal herbs and foodstuff. Korea J Food Nutr 13: 490-505. 

  14. Lee SJ. 1975. Studies on the identif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folk medicine(1). Korean J Raw Med 6: 75-80. 

  15.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I, II. Hyangmunsa, Seoul, pp 910, pp 914. 

  16. Marcar NE. 1986. Effect of calcium on the salinity tolerance of Wimmera ryegrass (Lolium rigidum Gaud., cv. Wimmera) during germination. Plant and Soil 93: 129-132. 

  17. Matsuo A, Hara H, Nakayma Y. 1973. Chemical constituents of the essential oil of Artemisia fukudo. Fac Sci 4: 343-345. 

  18. Moon GS. 1994. Components and utilization of herbal medicine Iwolseogak Seoul 126. 

  19. Ryu SN, Kang SS, Kim JS, Ku BI. 2004. Quantitative analysis of eupatilin and jaceosidin in Artemisia herba. Korea J Crop Sci 49: 452-456. 

  20. Scott SJ, Jones RA, Williams WA. 1984. Review of data analysis methods for seed germination. Crop Sci 24: 1192-1199. 

  21. Shaybany B, Kashirad A. 1978. Effect of NaCl on growth and mineral composition of Acacia saligna in sand culture. J Amer Soc Hort Sci 103: 823-826. 

  22. Shin DH, In JG, Yu SR, Choi KS. 2005. Investigation of medicinal substances from in vitro cultured cell and leaves of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3: 69-76. 

  23. Stundstrom FJ, Reader RB, Ewards RL. 1987. Effect of seed treatment and planting method on tabasco pepper. J American Soc Hort Sci 112: 641-644. 

  24. Torello WA, Symington AJ. 1984. Screening of turfgrass species and cultivars for NaCl tolerance Plant and Soil 82: 155-161. 

  25. Wada N, Zhang J. 2003. Component analysis of a halophyte, Suaeda japonica, grown on the shore of Ariake sea. Appl Biol Chem 52: 843-846. 

  26. Yoon WJ, Lee JA, Kim KN, Kim JY, Park SY. 2007. In vitro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Artemisia fukudo extracts in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464-469. 

  27. Yun KA, Park YJ, Bae SJ. 2004.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effects of Brassica oleracea L. frac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7-15. 

  28. Woerdenbag HJ, Luers JF, Uden J. 1993. Production of the new antimalarial drug artemisinin in shoot cultures of Artemisia annua L. Plant Cell Tiss Org Cult 32: 247-257. 

  29. Yook CS. 1977. Medicinal Plants, Jinmyung Publishing Co., pp 293-2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