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발효강화쑥의 간장해 보호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 of Fermented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by Lactic Acid Bacteria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38 no.3 = no.150, 2007년, pp.245 - 253  

최혁재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  김은진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  한명주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백남인 (경희대학교 생명공학원 및 식물대사센타) ,  김동현 (경희대학교 약학대학) ,  정해곤 (강화농업기술센타) ,  김남재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of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liver dysfunction and order disorder in the far east countries including Korea.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hepatoprotective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Artemisia princep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강화쑥을 소재로 하여 사람의 장내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발효강화쑥을 생리활성을 지닌 천연물 신소재로 개발하고자 사염화탄소 및 d-galactosamine으로 유발된 간장해에 대한 보호효과를 검토하였다.
  • 따라서, 강화특화작목인 강화쑥의 식의약품의 기능성 신소재로서 유용성을 추구하고자 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강화 쑥을 사람 장내미생물 유래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생물 전환 발효강화쑥의 간장해 보호활성을 검토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Lee, S. J. (1975) Studies on the identif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folk medicine(I). Korean J. Raw Med., 6: 75-80 

  2. 이창복 (1982) 대한식물도감, 761. 향문사, 서울 

  3. 김두진 (2002) 한국 쑥문화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이태호 편저 (1977) 新訂對譯 方藥合編. 147. 행림출판사, 서울 

  5. 식품의약품안전청 (2006) 대한약전외 한약(생약)규격집, 248. 도서출판 동원문화사, 서울 

  6. 高木敬次郞, 木村正康, 原田正敏, 大塚恭男 (1980) 和漢藥 物學, 165. 南山堂, 東京 

  7. Cho Y. H. and Chiang M. H. (2001) Essential oil composi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Artemisia capillaris, Artemisia argyi, and Artemisia princeps. Kor. J. Intl. Agri., 13: 313-320 

  8. Ryu S. N., Kamg S. S., Kim J. S. and Ku B. I. (2004) Quantitative analysis of eupatilin and jaceosidin in Artemisia herba. Korean J. Crop. Sci., 49: 452-456 

  9. 방면호, 김동현, 유종수, 이대영, 송명종, 양혜정, 정태숙, 이경태, 최명숙, 정해곤, 백남인 (2005) 식용식물자원으로부터 활성물질의 탐색-XIV. 사자발쑥(Artemisia herba)의 전초로부터 flavonoid 화합물의 분리.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418-420 

  10. 전국한의과대학 본초학교수 공편저 (1991) 본초학, 405. 도서출판 영림사, 서울 

  11. Lee E. B. (1995) The effect of Artemisia Herba on gastric lesion and ulcers in rats with isolation of eupatilin, in Unesco Regional Seminar on the Chemistry, Pharmacology and Clinical use of flavonoid compounds. Oct. 11-15.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Taejon, Korea. 13-20 

  12. 오태영, 류병권, 박정배, 이상득, 김원배, 양중익, 이은방 (1996) 애엽추출물, DA-9601의 실험적 위궤양 모델에 대한 항궤양 효과 및 기전연구. 응용약물학회지., 4: 111-121 

  13. Oh T. Y., Ryu B. K., Yang J. I., Kim Y. B., Park J. B., Lee S. D. and Lee E. B. (1996) Studies on antiulcer effects of DA-9601, an Artemisia Herba extract, against experimental gastric ulcer and its mechanism. J. Appl. Pharmacol., 4: 111- 121 

  14. Oh T. Y., Ryu B. K., Ko J. I., Ahan B. Y., Kim S. H., Kim W. B., Lee E. B., Jin J. H. and Hahm K. B. (1997) Beneficial effect of DA-9601, an Artemisia Herba extract, against naproxen-induced gastric damage in arthritic rats. Arch. Pharm Res., 20: 414-419 

  15. Oh T. Y., Ahn G. J., Choi S. M., Ahn B. O. and Kim W. B. (2005) Increased susceptiibility of ethanol-treated gastric mucosa to naproxen and its inhibition by DA-9601, and Artemisia asiatica extract. World J. Gastroenterol., 47: 7450- 7456 

  16. Twaij H. A. and Badr A. A. (1988) Hypoglycemic activity of Artemisia gerba alba. J. Ethnopharmacol., 24: 123-126 

  17. 김미향 (2006) 쑥이 갱년기 장애 유도 흰쥐의 혈중 지질 및 결합조직 중 Collagen 함량에 미치는 영향. 생약학회지., 37: 324-330 

  18. Koshihara, Y., Neichi, T., Murota, S., Lao, A., Fujimoto Y. and Tatsuno T. (1983) Selective inhibition of 5-lipogenase by natural compound isolated from Chinese plants, Artemisia rubripes Nakai. FEBS Lett., 158: 41-44 

  19. Seo H. J. and Surh Y. J. (2001) Eupatilin, a pharmacologically active flavone derived from Artemisia plants, induce apoptosis in human promyelocytic leukemia cells. Mutat Res., 496: 191-198 

  20. Heo H. J., Cho H. Y., Hong B., Kim W. B., Kim E. K., Kim B. G. and Shin D. H. (2001) Protective effect of 4',5-dihy-droxy-3',6,7-trimethoxy flavone from Artemisia asiatica against AB-oxidative stress in PC12 cells. Amyloid., 8: 194-201 

  21. Klayman, D. L. (1985) Qinghaosu(artemisinin): an antimalarial drug from China. Science., 228: 1049-1055 

  22. Luo, X. D. and Shen, C. C. (1987) The chemistry, pharmacology and clinical applications of Qinghaosu(artemisinin) and its derivatives. Med. Res. Rev., 7: 29-52 

  23. 류수노, 한상숙, 김관수, 정해곤 (2006) 수집약쑥의 유효성분 함량변이. 한국작물학회지., 51(S): 220-223 

  24. Lee, S. H., Shin Y. W., Bae E. H., Lee B., Min S. W., Baek N. I., Chung H. G., Kim N. J. and Kim D. H. (2006) Lactic acid bacteria increase antiallergic effect of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SS-1. Arch. Pharm. Res., 29: 752-756 

  25. Lin L. T., Liu L. T., Cjiang L. C. and Lin C. C. (2002) In vitro Anti-hepatoma activity of fifteen natural medicines from Canada. Phytother. Res., 16: 440-444 

  26. S. Maeda, K. Sudo, Y. Miyamoto, S. Takeda, M. Shinbo, M. Aburada, Y. Ikeya, H. Taguchi and M. Harada (1982) Pharmacological studies on Schzandra Fruits. II. Yakugau Zasshi., 102: 579-588 

  27. Vimal, V. and Devaki, T. (2004) Hepatoprotective effect of allicin on tissue defense system in galactosamine/endotoxin challenged rats, J. Ethnopharmacol., 90: 151-154 

  28. Lin, C. C., Shieh, D. E. and Yen, M. H.(1997) Hepatoprotective effect of the fractions of Ban-zhi-lian on experimental liver injuries in rats. J. Ethnopharmacol., 56: 193- 200 

  29. Reitman, S. and Frankel, S. (1957) A colorimetr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serum glutamic oxaloacetic acid and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Am. J. Clin. Phathol., 28: 56- 63 

  30. Anh, D. J., Eden, A. and Farley, J. R. (2001) Quantitation of soluble and skeletal alkaline phosphatase, and insoluble alkaline phosphatase anchor-hydrolase activities in human serum. Clinica. Chimica. Acta., 311:137-148 

  31. Wroblewskin F. and LaDue J. S. (1955) Lactic dehydrogenase activity in blood. Proc. Soc. Exp. Biol. Med., 90: 210- 213 

  32. 小澤 光 監修 (1984) 新藥開發のための藥效スクリニング法. 69. 淸至書院, 東京 

  33. 阿部博子, 戶田靜男, 大井久代, 久保道德, 有地 滋 (1978) D-galactosamineに代するサイコサポニンの作用. 和漢藥シンポジウム., 11: 7-10 

  34. 박은전, 김재백, 손동환, 고건일 (1997) 실험적 간경화 병태모델 비교. 약학회지., 41: 622-628 

  35. McCay, B. P., Lai, E. K., Poyer, J. L., DuBose, C. M. and Jansen, E. G. (1984) Oxygen and Carbon-centered free radical formation during carbon tetrachloride metabolism, J. Biol. Chem., 259: 2135-2143 

  36. Rechnagel, R. O. and Glende, E. A. Jr. (1973) Carbon tetrachloride hepatotoxicity : an example of lethal cleavage. CRC Crit. Rev. Toxicol., 2: 263-297 

  37. Gravela, E., Albano, E., Dianzani, M., Poli, G. and Slater, T. (1979) Effects of carbon tetrachloride on isolated rat hepatocytes. Biochem. J., 178: 509-512 

  38. Hayes (1982) Principles and Method of Toxicology, 407. Gabriel L. Plaa and William R. Hewitt. Raben Press 

  39. Terry, D. Oberley, Janice L. Schultz, Ning Li and Larry W. Oberley (1995) Antioxidant enzyme levels as a function of growth state in cell culture. Free Radical Bilo Med., 19: 53- 65 

  40. Shindo, Y. and Hashimoto, T. (1997) Time course of changes in antioxidant enzymes in human skin fibroblasts after UV irradiation. J. Dermatol Sci., 14: 225-232 

  41. 김안근, 김지현 (2001) 산화적 스트레스 및 항산화제가 항산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응용약물학회지., 9: 249- 257 

  42. Zoltn Gregus and Curtis D. Klaassen (1996) Mechanisms of toxicity. In Casarett and Doull's toxicology. 39. Mcgraw-Hill Com. New York 

  43. Keppler, D. and Decker, K. (1969) Studies on the mechanism of galactosamine hepatitis ; Accumulation of galactosamine- 1-phosphate and tis inhibition of UDP-glucose pyrophosphorylase. Eur. J. Biochem., 10: 219-225 

  44. Decker, K., Keppler, D. and Pausch, J. (1973) The regulation pyridine nucleotide level and its role in experimental hepatitis. Adv. Enzyme Regul., 11: 205-230 

  45. Farber, J. L., Gill, G. and Konishi, Y. (1973) Prevention of galactosamine-induced liver cell necrosis by uridine. Am. J. Pathol., 72: 53-6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