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이브리드 에너지하베스팅 블록 개발 및 발전성능 평가
Development of Hybrid Energy Harvesting Block and Evaluation on Power Generation Performance 원문보기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5 no.2, 2014년, pp.99 - 106  

김효진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박지영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진규남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노명현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 강구조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주택과 도시 시설물에 적용이 가능하고, 시설물의 수요특성에 적합한 맞춤형 하이브리드형 에너지블록을 압전과 전자기 유도방식을 동시에 활용하여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에너지하베스팅 블록의 종류별 특성과 요구조건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에너지블록의 개선방향 및 적용방안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방안에 따라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프로토타입 에너지블록의 특성 및 성능과 이 연구에서 개발된 하이브리드 에너지블록과의 성능을 비교분석 하였다. 비교결과, 하이브리드 에너지 블록이 기존 프로토타입에 비하여 1회 가진 시 12.7배, 그리고 5회 연속가진 시 28.9배의 출력을 나타냈다. 이는 연구목적인 W급의 전기에너지 생산목적에 부합되는 것으로, 주택 및 도시시설물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hybrid energy blocks with piezoelectric and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The developed energy block is able to be applied to the housing and facilities in the city and is suitable to adjust the characteristics of facilities. To develop the hybrid energy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에너지하베스팅은 주택, 도시, 무선 센서네트워크 구축 등 다양한 용처에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는 개발된 에너지블록의 특성을 고려하여 도시규모가 아닌 주택 또는 주거단지에 부속된 시설에 적용하는 것으로 검토하였다. 즉, 단지내 도로, 단지 출입부, 주차장 출입부, 그리고 건물 내외부로 그 적용처를 제한하였다.
  • 그러나 순간 평균 전력이 당초 목표했던 W급의 전력에는 미치지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프로토타입 에너지 하베스터를 개선한 에너지 하베스터를 개발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그러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즉, 압전방식의 에너지 하베스터는 센서의 신호 송출을 위한 소량의 전원을 자가 공급하는 센싱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반면에 하이브리드 방식은 LED 발광블록이나 일부 시설의 전원을 대체하는 보조 발전전력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 개발된 프로토타입 에너지 하베스터의 성능을 개선하여 센싱과 발전기능의 동시구현이 가능한 수준으로 개발방향을 설정하였다.
  • 화석연료를 이용한 발전전력이나 신재생에너지 생산 전력에 비해 그 규모가 아주 미소한 수준이다. 따라서 에너지수확 기술개발의 목적은 기존의 대전력과는 다른 용처, 즉 마이크로한 전기를 생산하여 그 목적에 적합하게 활용하는 것이다. 현재까지 수확되어 생산되는 전기에너지는 소형 가전기기나 전자기기에 주로 적용되어 왔다.
  • 본 논문은 주택과 도시 시설물의 요구수준에 맞는 에너지하베스팅 전력의 생산기술을 개발하고 그 성능을 검증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선행 연구개발된1) 프로토타입 에너지블록 모듈을 개선한 에너지하베스팅 블록을 개발하였다.
  •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개발된 에너지블록을 적용하기 위한 주택분야의 에너지원 발굴, 도시시설물 분야의 에너지원 발굴, 그를 활용한 무선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구축기술의 확보, 그것을 구현하기 위한 테스트베드 검증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에너지하베스팅은 주택, 도시, 무선 센서네트워크 구축 등 다양한 용처에 적용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에너지원은 진동과 압력을 복합한 하이브리드 에너지 수확전력을 활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앞서 단지 내로 국한된 영역에서의 주요 에너지원은 사람의 이동에 따른 하중과 차량의 이동에 따른 하중으로 구분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상기 개발 및 적용방안에 따라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프로토타입 에너지하베스팅 블록의 성능을 개선한 하이브리드 에너지블록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기존 개발제품의 성능과 비교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프로토타입 에너지하베스팅 블록의 성능을 개선한 하이브리드 에너지블록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에너지블록에 대한 발전성능을 평가하여 기존 에너지블록과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 본 절에서는 개발하고자하는 에너지하베스팅 블록의 개발 방향 및 그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개발방향은 용도에 맞추어 LED 발광블록, 발전용 에너지블록, 그리고 무선 센서네트워크용 자가발전모듈로 설정하였다.
  • 표 2와 같은 에너지블록의 종류별 특성비교 결과를 토대로 개발하고자 하는 에너지블록의 개선방향을 설정하였다. 개선 방향은 적용범위, 에너지원의 종류, 그리고 수확된 에너지의 활용 용도 측면에서 설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기존의 에너지하베스팅 기술은 μW~mW급의 센서가동 수준의 소형전력에 집중하여 왔다. 프로토타입 에너지 하베스터는 이러한 기술수준을 극복하여 수 W급의 전력을 수확을 위한 핵심기술을 개발하고자 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에너지하베스팅이란? 평소 의식하지 못하지만 우리 주위에는 빛, 바람, 열, 온도차, 진동 등 다양한 에너지원이 존재한다. 에너지하베스팅(energy harvesting)은 이러한 다양한 미활용 에너지를 수확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활용하는 기술이다. 즉, 스위치를 누를 때의 기계적인 변위, 자동차의 타이어나 모터의 진동, 산업플랜트 배관의 열, 휴대전화 기지국이나 방송국에서 방출되는 전자파와 같은 에너지원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이다.
에너지하베스팅 기술의 목적은? 화석연료를 이용한 발전전력이나 신재생에너지 생산 전력에 비해 그 규모가 아주 미소한 수준이다. 따라서 에너지수확 기술개발의 목적은 기존의 대전력과는 다른 용처, 즉 마이크로한 전기를 생산하여 그 목적에 적합하게 활용하는 것이다. 현재까지 수확되어 생산되는 전기에너지는 소형 가전기기나 전자기기에 주로 적용되어 왔다.
다양한 에너지원으로 무엇이 있는가? 평소 의식하지 못하지만 우리 주위에는 빛, 바람, 열, 온도차, 진동 등 다양한 에너지원이 존재한다. 에너지하베스팅(energy harvesting)은 이러한 다양한 미활용 에너지를 수확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활용하는 기술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김영진, 진규남, 이상훈, 박선규, 윤정방, 박승희(2011), 상시계측 시스템과 보수/보강 신기술에 의한 교량의 성능평가 및 유지관리 기법 개발, 토지주택연구원. 

  2. 김창일 등(2012), "압전캔틸레버 구조를 이용한 도로용 에너지하베스터의 개발 및 평가",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25(7) : 511-515. 

  3. 김효진, 진규남, 박지영(2013), 에너지하베스팅 기술의 주택.도시 적용을 위한 기초 및 실용화 방안 연구(1), 토지주택연구원. 

  4. 노명현, 김효진, 박지영, 이상열, 조영봉(2012), "도시. 주택 적용 미관용 에너지 블록의 발전성능 평가", LHI Journal, 3(2) : 187-193. 

  5. 류경일, 정귀상(2011), "스프링이 없는 진동형 전자기식 에너지 하베스터의 제작과 그 특성", Journal of Sensor Science and Technology, 20(4) : 249-253. 

  6. 비즈오션(2011), 에너지하베스팅 최신기술 동향 및 전망 세미나 자료집. 

  7. 송병택(2012), 압전소자를 이용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교육과학기술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8. (주)센불(2011), 에너지하베스팅 프로토타입 발전특성평가. 

  9. 최경규, 박홍근(2003), "불균형모멘트를 받는 플랫 플레이트의 변형능력", 한국콘크리트학회논문집, 15(3) : 482-493. 

  10. 포항산업과학연구원(2010), 신재생에너지 융합 교량용 모듈기술 개발전략 수립. 

  11. 포항산업과학연구원(2012), 진동기반 교량용 하이브리드 에너지하베스팅 프로토타입 개발. 

  12. Harrop, P. and R. Das (2009), Energy Harvesting and Storage for Electronic Devices 2009-2019, IDTechEx. 

  13. Spreemann, D. and Y. Manoli (2012), Electromagnetic Vibration Energy Harvesting Devices : Architecture, Design, Modeling and Optimization, Springe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