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합교육을 위한 초등학교 특수학급영역 설계방향에 관한 연구 - 특수학급 아동의 장소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sign Direction for Special Education Class Area in Elementary Schools for Inclusive Education - Focused on the Sense of Place for Children in Special Education Class - 원문보기

교육시설 : 한국교육시설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v.21 no.2, 2014년, pp.3 - 12  

윤동현 (가람건축사사무소, 서울시립대) ,  이선영 (서울시립대 건축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lementary School is a special facility where sense of place plays critical role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 Children in special education call for special attention as they hold inferior status compared to the children in regular class especially under the inclusive education policy. Eight c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맥락에서 통합교육의 현장에서 특수아동의 공간이용방식과 선호장소에 대한 파악을 통해 이들의 요구를 이해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작업은 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일반 초등학교 내 특수학급 아동의 선호공간을 중심으로 한 거주 후 평가를 통해 통합교육정책하의 특수학급영역의 공간설계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 영국과 아일랜드, 미국의 모범사례로 등장하는 특수학급의 평면을 분석해 보면 전반적으로 특수학급영역이 적극적으로 분화되어 건물내외부에 걸쳐 사회적 공간과 개인적 공간이 충분히 연계되어 있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이는 아동의 발달과 관련된 장소이론에서도 강조되고 있는 부분인 바 본 연구에서는 장소성 구축과 관련된 특수학급아동들의 선호공간이 사례조사대상 특수학급영역에서 어떻게 형성되고 있는가를 특수아동 및 특수교육담당 교사들과의 인터뷰를 통하여 적극적으로 파악하려 하였다. 즉 계획된 공간을 통해 특수학급영역 및 경계 공간에서 특수학급아동과 일반학급아동간의 통합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하는지 여부, 외부공간이 특수학급아동의 접근이 용이한 곳에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와 이러한 외부환경이 궁극적인 통합교육의 취지에 부합되게 일반아동과의 사회적 교류를 적극 지원하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주된 논점이었다.
  • 이를 위해 지속적인 현장관찰, 특수학급 수업참관, 특수아동과의 대화, 특수학급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 및 인터뷰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었다. 특수학급자체 보다는 특수학급 주변영역과 해당건물 내외부 공간, 그리고 특수학급영역 주변에 형성되는 경계공간들이 학교 내 사회적 교류환경 형성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지 분석하여 궁극적으로 통합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설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학교의 특수교육관련 주요 시설을 이용하는 주체는 특수아동이지만 그들과의 의사소통문제와 답변의 신뢰성을 고려해 특수학급 교사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가설 설정

  • △:공간이 제공되었으나 적극적인 활용 안됨.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특수교육요구아동이란? 특수교육요구(SEN: Special Educational Needs)라는 용어는 영국에서 가장 먼저 쓰이기 시작한 단어로 특수교육요구아동이란 ‘일반 또래 아이들에 비해 학습에 어려움을 갖고 있거나, 교육에 바로 접근하기 힘든 장애를 갖고 있는 아동4)’을 지칭하며 장애아동이지만 특별한 교육지원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라면 특수교육요구아동이라고 하지 않는다. 학교환경과 관련된 특수교육의 요구는 표 1에 제시되었다.
교육시설계획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 이유는? 장애아동은 환경적, 사회적 장벽으로 인해 교육환경상 특별한 배려가 필요하며 적절히 계획되지 못한 학교환경은 일반아동과 특수아동의 사회적, 정서적 교류를 저해하고 발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아동의 발달은 장소성2)이라 불리는 애착기제와 연관된 장소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심신발달이 왕성한 초등학교시기 아동의 학교 내 선호공간에 대한 파악은 정서발달과 관련된 교육시설계획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맥락에서 통합교육의 현장에서 특수아동의 공간이용방식과 선호장소에 대한 파악을 통해 이들의 요구를 이해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작업은 큰 의미가 있다.
아동의 장소성 구축과 발달의 상관관계에 기반한 분석을 위해 이행 된 것은? 다음 단계는 8개 조사대상 학교에 대한 거주 후 평가로 아동의 장소성 구축과 발달의 상관관계에 기반한 특수학급 아동의 선호공간, 특수학급 아동의 활동공간, 일반아동과의 교류공간, 특수학급 아동의 개인 공간에 대한 분석이 주요 연구내용이 되었다. 이를 위해 지속적인 현장관찰, 특수학급 수업참관, 특수아동과의 대화, 특수학급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 및 인터뷰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었다. 특수학급자체 보다는 특수학급 주변영역과 해당건물 내외부 공간, 그리고 특수학급영역 주변에 형성되는 경계공간들이 학교 내 사회적 교류환경 형성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지 분석하여 궁극적으로 통합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설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Kim, Ja-Kyoung and Kim, Ki-Ju, Social Status and Emotional/Behavioral Functioning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Resourceroom,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Theory and Practice, 8(1) pp.173-188, 2007 

  2. Kim, Jin-Chul, Kang, Byoung-Keun and Seong, Ki-Chang, A Study on Special Class Layout According to School Level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15(3) pp.71-77, 2009 

  3. Kellert, Stephen R. Building for Life: Designing and Understanding The Human-Nature Connection, Chicago, Island Press, 2006 

  4. Korpela, Kalevi, Kytta , Marketta, Harting, Terry, Restorative Experience, Self-Regulation, and Children's Place Preference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2 pp.387-398, 2002 

  5. Malinowski, J.C., Thurber, C.A. Developmental Shifts in the Place Preferences of Boys aged 8-16 Year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6 pp.45-54, 1996 

  6. The Office of the Deputy Prime Minister, Developing Accessible Play Space. 2003 

  7. Rieh, Sun-Young, Emotional Environment of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e of Educational Facilities, 18(4), pp.57-61, 2011 

  8. Thurber, Christopher A., Malinowski, Jon C., Environmental Correlates of Negative Emotions in Children, Environment and Behavior 31(4) pp.487-513,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