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에 나타난 정원조영 연구 - 「이운지(怡雲志)」와 「상택지(相宅志)」를 중심으로 -
A Study on Garden Construction in 「ImwonGyeongjeji」 - focusing on the 「Yiwunji」 and 「Sangtackji」 -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2 no.1, 2014년, pp.22 - 30  

김규섭 (한국산업인력공단 기술자격출제실) ,  이재근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초록

"임원경제지"는 동아시아 그리고 세계적으로도 유래가 없는 백과사전으로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나, 다양하게 취급되어진 분야 및 방대한 내용면에서만 평가가 이루어졌다. 또한"임원경제지"관련한 대부분의 학술연구도 편찬시기의 정세(政勢)인 농업에만 초점을 맞춰 연구가 진행되어 단순한 농서(農書)의 개념으로 해석하여 왔다. 이에 본 연구는 19세기 조선시대 서유구에 의해 편찬된 것으로 알려진"임원경제지"영인본의 조경관련 내용 중 임원조영이론과 조영맥락을 분석하고,"임원경제지"에 기술된 전통조경의 원리 및 기법에 주목하여 한국의 전통조경 작정서로서의 가치를 조경학적 관점에서 파악하였다."임원경제지"의 분석한 결과 '조경요소에 대한 전문성', '구성 체계의 우수성', '우리나라 현실에 적합한 토착성', '저작을 위한 환경요인의 우수한 가치 제고' 면에서 다른 동양 주변국의 유사 조경서들과 견주어도 한국의 대표 '조경기술서'로서 가치와 위상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는 사실에서 그 중요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mwonGyeongjeji" is recognized the value which is unparalleled encyclopedia in the world, but that is only evaluate about variously handled with subject area and massive content and also most scholarly research was focusing agriculture which is the domestic situation of published period and "Imwo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임원경제지」에 기술된 전통조경의 원리 및 기법에 주목하여 한국의 전통조경 작정서로서의 가치를 조경학적 관점에서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이에 「임원경제지」에 나타난 정원 조영 요소를 관련 기문을 통해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각종 고문헌자료, 기초자료 분석을 통하여 풍석서유구의 「임원경제지」를 구성하고 있는 정원조영 특성의 규명을 위한 일환으로 「임원경제지」 ‘이운지’와 ‘상택지’영인본의 조경관련 원문 해석 내용과 안대회(2005)의 선행 연구 내용을 비교하여 서유구의 임원 조영이론과 조영흐름을 파악한 후에 조경학적 관점에서 전통정원 공간을 크게 건축물 경관·식재경관·수(水)경관의 3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공간별 구성요소와 보편적인 전통 조영기법을 도출·파악해 보았다.
  • 그러나 풍석은 이런 폐쇄적인 은자가 아닌 시대를 잘못 만나 일시적으로 은둔할 수는 있어도, 인륜과 천륜까지 저버리고 은둔하는 일은 취할 바가 아니며, 시골에서 일가족과 함께 살며 한적하게 삶을 즐기는 일, 자기 자신이 살고자 하는 삶의 방식을 실천에 옮기는 것을 임원에서의 이운이라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이운의 삶을 실행에 옮기기 위한 자연친화적이면서도 생업을 잘 꾸려갈 수 있는 임원을 선정하기 위해 여러 가지 고려 사항들을 통해 가장 적절한 곳을 찾고자 하였다. 그 안에서 임원생활과 관련된 나무심기, 울타리 만들기, 길 내기, 연못 조성 등의 조경요소들을 단계적으로 구성하며 재미를 찾고자 지속적인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 본 연구는 「임원경제지」에 기술된 전통조경의 원리 및 기법에 주목하여 한국의 전통조경 작정서로서의 가치를 조경학적 관점에서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이에 「임원경제지」에 나타난 정원 조영 요소를 관련 기문을 통해 살펴보았다.
  • 이에 본 연구는 「임원경제지」의 조경관련 부분인 이운지와 상택지에 나타난 전통조영 기법을 도출하고, 한국의 전통조경 작정서로서의 가치를 조경학적 관점에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원경제지" 관련 학술연구의 한계는 무엇인가? "임원경제지"는 동아시아 그리고 세계적으로도 유래가 없는 백과사전으로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나, 다양하게 취급되어진 분야 및 방대한 내용면에서만 평가가 이루어졌다. 또한"임원경제지"관련한 대부분의 학술연구도 편찬시기의 정세(政勢)인 농업에만 초점을 맞춰 연구가 진행되어 단순한 농서(農書)의 개념으로 해석하여 왔다. 이에 본 연구는 19세기 조선시대 서유구에 의해 편찬된 것으로 알려진"임원경제지"영인본의 조경관련 내용 중 임원조영이론과 조영맥락을 분석하고,"임원경제지"에 기술된 전통조경의 원리 및 기법에 주목하여 한국의 전통조경 작정서로서의 가치를 조경학적 관점에서 파악하였다.
임원경제지의 임원조영이론과 조영맥락을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이에 본 연구는 19세기 조선시대 서유구에 의해 편찬된 것으로 알려진"임원경제지"영인본의 조경관련 내용 중 임원조영이론과 조영맥락을 분석하고,"임원경제지"에 기술된 전통조경의 원리 및 기법에 주목하여 한국의 전통조경 작정서로서의 가치를 조경학적 관점에서 파악하였다."임원경제지"의 분석한 결과 '조경요소에 대한 전문성', '구성 체계의 우수성', '우리나라 현실에 적합한 토착성', '저작을 위한 환경요인의 우수한 가치 제고' 면에서 다른 동양 주변국의 유사 조경서들과 견주어도 한국의 대표 '조경기술서'로서 가치와 위상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는 사실에서 그 중요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임원경제지는 어떤 것으로 인정받고 있는가? "임원경제지"는 동아시아 그리고 세계적으로도 유래가 없는 백과사전으로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나, 다양하게 취급되어진 분야 및 방대한 내용면에서만 평가가 이루어졌다. 또한"임원경제지"관련한 대부분의 학술연구도 편찬시기의 정세(政勢)인 농업에만 초점을 맞춰 연구가 진행되어 단순한 농서(農書)의 개념으로 해석하여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김규섭(2013). 조선시대 서유구의 자연관 및 정원조영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민경현(1991). 한국정원문화(I). 서울 : 예경. 

  3. 서유구(1966). 임원십육지 영인본. 서울 : 보성문화사. 

  4. 안계복, 오태호(2010). 경남지방 별서의 경관적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4) : 28-35. 

  5. 안계복(2004). 옥소 권섭의 꿈의 세계에 나타난 경관 특징.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3) : 45-55. 

  6. 안대회(2005). 산수간에 집을 짓고. 경기 : 돌베개. 

  7. 윤홍택(1979). 자연관이 건축공간에 미치는 영향. 대한건축학회지. 23 (86) : 1-9. 

  8. 이상희(2004).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 서울 : 넥서스Books. 

  9. 이재헌(1988). 한국전통건축 공간구성의 유기적 상호연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임원경제연구소(2012). 임원경제지 : 조선최대의 시대의 백과사전.. 서울 : 씨앗을 뿌리는 사람. 

  11. 정민(2005). 18, 19세기 문인지식인층의 원예 취미. 한국한문학연구 35. 35-77. 

  12. 홍형순, 이원호(2006). 19세기 문인 항해(沆瀣) 홍길주의 숙수념(孰遂念)에 관한 조경학적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3) : 67-78. 

  13. 홍형순, 이원호(2006). 허균의 저작을 통해 본 상상적 공간.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4) : 111-1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