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족의 누적위험요인이 영아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매개로
The Effects of Cumulative Family Risk Factors on Infants' Development : The Mediation of Mothers' Parenting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5 no.2, 2014년, pp.43 - 61  

장영은 (중앙대학교 가족복지학과) ,  권윤정 (중앙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ths from the cumulative risk factors to infant's development at 24 months of age via the mediation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The data consisted of 3 year's worth of data harvested from 1802 families participating in the Panel Study on K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으로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영아발달을 예측하는 경로의 유의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2차년도 어머니 양육행동은 3차년도 어머니 양육 행동을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β = .
  • 또한 본 연구에서는 위험요인이 영아발달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력 뿐 아니라,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통해 영향을 미치는 간접적이고 중재적 경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는 다양한 가족 내 위험요인은 가족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며, 그 중에서도 어머니가 받는 부정적인 영향력은 양육행동을 통해 자녀에게 전달될 가능성이 높다는 가정에 근거하였다.
  • 마지막으로 가족 내 위험요인이 영아 발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부트스트랩핑 기법을 통해 산출한 총효과, 직접효과, 간접효과에 대한 통계치는 Table 4에 제시되어 있다.
  • 본 연구는 자녀 발달에 영향을 줄 것으로 간주되는 다양한 위험요인들 중에서 가계소득수준, 빈곤 여부, 어머니 학력, 계획된 임신여부, 어머니 우울,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어머니 일상적 스트레스, 그리고 부부갈등이라는 8개 요인에 초점을 두고자 하였다. 이렇게 다양한 측면의 위험요인으로 위험지표를 구성하는 것은 Deater-Deckard, Dodge, Bates와 Pettit(1998)이 위험지표를 구성함에 있어 자녀 개인의 특성, 부모의 사회문화적 배경, 양육 및 보육환경, 그리고 또래 관계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요소를 고려하는 것이 위험지표가 가지는 예측가능성을 높인다는 주장에 기초하였다.
  • 본 연구는 자녀 출생 당시부터 향후 만 2년간에 걸쳐 수집한 종단자료를 바탕으로 가족 내누적된 위험요인이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통해 자녀 발달을 예측하는 경로를 밝혔다는 점과 더불어 이전 연구에서 많이 다루지 못했던 생애 초기 종단자료를 사용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기존의 패널자료를 바탕으로 위험요인지표를 구성하였기에, 선행연구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위험 요인을 탐색하여 자료를 수집한 연구에 비해 한계가 있다.
  • 본 연구는 자녀가 매우 어릴 때 가족 내에 존재하는 위험요인이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그 영향력이 결국 영아기 발달을 예측할 수 있다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위험요인의 영향력을 살피기보다는 위험요인의 복합성과 누적정도, 다시 말해 다양한 위험요인에 어머니와 영아가 노출된 정도를 반영하는 다중위기지표를 이용하여 양육행동과 영아발달을 예측하였다.
  • 이상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영아기라는 발달 초기에도 가족 내에 존재하는 위험요인은 발달적 결과를 예측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가족의 경제와 관련된 지표, 즉 가족수입, 빈곤 여부뿐만 아니라 어머니의 학력, 우울, 스트레스, 부부관계 그리고 이 자녀와 관련된 과거의 임신 계획 여부 등 다양한 요인을 위험지표에 포함하고자 시도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빈곤 뿐 아니라 가족을 둘러싼 생태학적 환경의 여러 측면에 존재하는 영아발달에 불리한 조건들이 누적되었을 때 가질 수 있는 영향력을 검증한다는 의의를 가지는 동시에, 이 위험요인 중 어떤 요인이 영아발달을 더 잘 예측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는 어렵다는 단점을 동시에 가진다.
  • , 2010), 청소년 시기 이전, 되도록이면 자녀 성장의 초기에 존재하는 위험요인의 영향력을 살필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출생과 동시에 경험하게 되는 생애 초기 다양한 가족 내 위험요인들이 누적되어 영아기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다원적 위험요인과 자녀발달 사이의 경로에 존재하는 어머니 양육 행동의 중요성 또한 조명해보고자 한다.
  • 특히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위험요인의 영향력을 살피기보다는 위험요인의 복합성과 누적정도, 다시 말해 다양한 위험요인에 어머니와 영아가 노출된 정도를 반영하는 다중위기지표를 이용하여 양육행동과 영아발달을 예측하였다. 연구문제의 검증을 위하여 한국아동패널조사에 참여하는 2,150가구의 종단데이터를 바탕으로 자녀 출생 시점부터 자녀가 약 24개월이 되는 기간 동안에 가족이 경험하는 위험요인의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국내 연구들은 위험요인을 회귀분석에 동시에 포함시켜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하는 연구(Cha, Yang, & Chung, 2006; Park, 1998)나 구조방정식모델링 기법을 통해 위험요인이라는 잠재변인을 구성하는 방법(Kim, 2007), 또는 가족 내 위험요인을 하나의 척도를 이용해 측정하여 예측변수로 사용하는 방법(Han & Doh, 2008) 등이 다양하게 적용되어 왔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대규모 데이터를 바탕으로 위험지표를 구성하여 영유아기의 발달을 예측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마지막 방법을 이용하여 가족 내에 존재하는 위험요인의 수로 위험지표를 구성하여 만 2세 유아의 발달을 예측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연구가설 3> 가족 내 위험요인은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매개로 영아 발달에 영향을 줄 것이다.
  • <연구가설 1> 출생 및 생후 1년 간 가족 내 존재하는 위험요인은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자녀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초점을 둔 것은? 본 연구는 자녀 발달에 영향을 줄 것으로 간주되는 다양한 위험요인들 중에서 가계소득수준, 빈곤 여부, 어머니 학력, 계획된 임신여부, 어머니 우울,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어머니 일상적 스트레스, 그리고 부부갈등이라는 8개 요인에 초점을 두고자 하였다. 이렇게 다양한 측면의 위험요인으로 위험지표를 구성하는 것은 Deater-Deckard, Dodge, Bates와 Pettit(1998)이위험지표를 구성함에 있어 자녀 개인의 특성, 부모의 사회문화적 배경, 양육 및 보육환경, 그리고 또래 관계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요소를 고려하는 것이 위험지표가 가지는 예측가능성을 높인다는 주장에 기초하였다.
생애 초기 여러 위험요인에 노출된 영아가 이후 발달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무엇인가? 생애 초기 여러 위험요인에 노출된 영아의 경우 이후 발달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많다. 이는 생애 초기 경험이 가지는 중요성과 가족 내 위험요인이라는 것이 짧은 시간에 쉽게 변화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과 밀접하게 연관 되어 있다. 아동발달에 대한 위험요인의 영향력을 연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데, 그 이유는 위험요인에 많이 노출될 아동은 결국 빈곤, 차별, 그리고 발달에 불리한 환경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Duncan & Brooks-Gunn, 1997).
아동발달에 대한 위험요인의 영향력을 연구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이는 생애 초기 경험이 가지는 중요성과 가족 내 위험요인이라는 것이 짧은 시간에 쉽게 변화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과 밀접하게 연관 되어 있다. 아동발달에 대한 위험요인의 영향력을 연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데, 그 이유는 위험요인에 많이 노출될 아동은 결국 빈곤, 차별, 그리고 발달에 불리한 환경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Duncan & Brooks-Gunn, 1997). 다시 말하면, 아동의 발달을 둘러싼 위험요인이 라는 것은 개별적으로 오기보다는, 아동의 건강한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요인들이 서로 연결 고리로 연결되어 누적된 형태로 아동의 삶 속에 위치할 잠재성이 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9)

  1. Abidin, R. R. (1983). Parenting Stress Index(PSI) manual. Charlottesvil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2. Abidin, R. R. (1990).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 (PSI-SF). Charlottesvil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3. Abidin, R. R. (1995). Parenting Stress Index(PSI) manual (3rd ed.). Charlottesvil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4. Belsky, J., Woodworth, S., & Crnic, K. (1996). Troubled family interaction during childhood.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8, 477-495. 

  5. Bornstein, M. H., Tamis-LeMonda, C. S., Pascual, L., Haynes, M. O., Painter, K. M., Galperin, C. Z., & Pecheux, M. G. (1996). Ideas about parenting in Argentina, France, and the United State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19(2), 347-367. 

  6. Burchinal, M. R., Roberts, J. E., Hooper, S., & Zeisel, S. A. (2000). Cumulative risk and early cognitive development: A comparison of statistical risk models. Developmental Psychology, 36(6), 793-807. 

  7. Burchinal, M., Roberts, J. E., Zeisel, S. A., Hennon, E. A., & Hooper, S. (2006). Social risk and protective child, parenting, and child care factors in early elementary school years. Parenting: Science and Practice, 6(1), 79-113. 

  8. Cha, M. H., Yang, J. K., & Chung, K. Y. (2006). Analysis to influence of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on adolescent's runaway behavior. Studies on Juvenile Protection, 15, 165-192. 

  9. Chung, H. S. (2004). A basic study for developing "the marriage preparation program".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22(1), 91-101. 

  10. Chung, H. W. (2009). The effects of life events on the onset of delinquency: Moderation of protective factors and risk fact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11. Chung, I. J., & Kim, S. W. (2011). The relationships between latent typologies in risk and protective factors in terms of youth development. Studies on Korean Youth, 22(3), 197-230. 

  12. Crnic, K., & Low, C. (2002). Everyday stresses and parenting. In M. Bornstein (ed.), Handbook of parenting: Practical issues in parenting (2nd ed.) (pp. 243-267).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3. Crnic, K. A., & Greenberg, M. T. (1990). Minor parenting stresses with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61, 1628-1637. 

  14. Crnic, K. A., Gaze, C., & Hoffman, C. (2005). Cumulative parenting stress across the preschool period: Relations to maternal parenting and child behaviour at age 5.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4, 117-132. 

  15. Cummings, M., Davies, P. T., & Campbell, S. B. (2001). Understanding the impact of marital conflict on children. Brown University Child & Adolescent Behavior Letter, 17(5), 1-4. 

  16. Deater-Deckard, K., Dodge, K. A., Bates, J. E., & Pettit, G. S. (1998). Multiple risk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Group and individual differences.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10(3), 469-493. 

  17. Duncan, G. J., & Brooks-Gunn, J. (1997). Incomes effects across the life span: Integration and interpretation. In G. J. Duncan, & J. Brooks-Gunn (Eds.), Consequences of Growing Up Poor (pp. 596-610).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18. Duncan, G. J., Yeung, W. J., Brooks-Gunn, J., & Smith, J. R. (1998). How much does childhood poverty affect the life chances of childre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3, 406-423. 

  19. Fendrich, N., Wamer, B., & Weissman, M. M. (1990). Family risk factors, parental depression, and psychopathology in offspring. Developmental Psychology, 26, 40-50. 

  20. Field, T., Healy, B., Goldstein, S., & Guthertz, M. (1990). Behavior-state matching and synchrony in mother-infant interactions of nondepressed versus depressed dyads. Developmental Psychology, 26, 7-14. 

  21. Gutman, L. M., Sameroff, A. J., & Cole, R. (2003). Academic trajectories from first to twelfth grades: Growth curves according to multiple risk and early child factors. Developmental Psychology, 39, 777-790. 

  22. Han, H. A., & Doh, H. S. (2008). The effects of family risk factors, ego-resilience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on adolescent problem behavior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9(1), 87-101. 

  23. Huh, K. H., Squires, J., Lee, S. Y., & Lee, J. S. (2006). K-ASQ(Korean Ages & Stages Questionnaires) Parent-Rating Infant Monitoring System. Seoul: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24. Ju, S. H. (2008). Cumulative risk and problem behavioral of divorced family's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26, 61-86. 

  25. Kessler, R. C., Andrew, G., Cople, L. J., Hiripi, E., Mroczek, D. K., Normand, S. L. T., Walters, E. E., & Zaslavsky, A. (2002). Short screening scales to monitor population prevalence and trends in nonspecific psychological distress. Psychological Medicine, 32(6), 959-976. 

  26. Kim, H. M., & Doh, H. S. (2004). Maternal parenting stress, efficacy, and behavior: Relations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5(6), 279-298. 

  27. Kim, J. H., & Sung, J. H. (2013). The effects of marital conflict and mother's parent satisfaction and parenting behavior on preschoolers' emotional intelligenc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Development, 26(7), 87-107. 

  28. Kim, K. H., & Kang, H. K. (1997). Development of the Parenting Stress Scal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5(5), 141-150. 

  29. Kim, S. H. (2012). An analysis of the risk and protective factors for bullied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Child Education, 21(3), 5-17. 

  30. Kim, S. K. (2006). Cumulative risk and delinquent behaviors of school adolesc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22, 9-30. 

  31. Kim, T. K. (2007). Risk factor and relationship of youth delinquency for family intimate moral moderating effect. 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4(2), 137-155. 

  32. Kitzmann, K. M. (2000). Effects of marital conflict on subsequent triadic family interactions and parenting. Developmental Psychology, 36(1), 3-13. 

  33. Lee, J. Y., & Chang, M. K. (2009).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depression and parenting behaviors: The mediating effects of irrational beliefs in parenting.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9(2), 1-16. 

  34. Lengua, L. J., Bush, N., Long, A. C., Trancik, A. M., & Kovacs, E. A. (2008). Effortful control as a moderator of the relation between contextual risk and growth in adjustment problems. Development & Psychopathology, 20, 509-528. 

  35. Lovejoy, M. C., Graczyk, P. A., O'Hare, E., & Heuman, G. (2000). Maternal depression and parenting behavior: A meta-analytic review. Clinical Psychology Review, 20, 561-592. 

  36. Lyon-Ruth, K., Connell, D. B., Grunebaum, H. U., & Botein, S. (1990). Infants at social risk: Maternal depression and family support services as mediators of infant development and security of attachment. Child Development, 61(1), 85-98. 

  37. Mann, M. B., & Thornberg, K. R. (1987). Guilt of working women with infants and toddlers in day care.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27, 451-464. 

  38. Markman, H., Stanley, S., & Blumberg, S. (2001). Fighting for your marriage: Positive steps for preventing divorce and preserving a lasting love, new & revised. San Francisco, CA: Jossey-Bass Publishers. 

  39. Masten, A. S., Best, K. M., & Garmezy, N. (1990). Resilience and development: Contributions from the study of children who overcome adversity.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2, 425-444. 

  40. McCubbin, H., Patterson, J., & Wilson, L. (1982). FILE: Family Inventory of Life Events and Changes. In D. Olson, H. I. McCubbin, H. Barnes, A. Larsen, M. Muxen, & M. Wilson (Eds.), Family Inventories (pp. 69-89). St. Paul, MN: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41. McLoyd, V. (1990). The impact of economic hardship on black families and children: Psychological distress, parenting,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61(2), 311-346. 

  42. Mistry, R. S., Benner, A. D., Biesanz, J. C., Clark, S., & Howes, C. (2010). Family and social risk, and parental investments during the early childhood years as predictors of low income children's school readiness outcome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5, 432-449. 

  43. Moon, M. J., Chung, J. H., Choi, J. S., Ahn, H. K., Ryu, H. M., Lim, H. J., Shin, J. S., Kim, J. O., Yang, J. H., Kim, M. Y., Choi, K. H., Kim, Y. J., & Han, J. Y. (2003). The rate of planned pregnancy and associated factors related to planned pregnancy.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46(9), 1741-1745. 

  44. National Institute of Child Health and Human Development. (1999). NICHD Study of Early Child Care: Phase I Instrument Document. Retrieved from http://secc.rti.org/instdoc.doc. 

  45. Park, H. S. (1998). The school resilience of Korean adolescents in pover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46. Park, J. H., & Chang, Y. A. (2004).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social development among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s Rights, 8(2), 327-353. 

  47. Park, S. Y., Doh, H. S., & Chung, S. W. (1996). Parent-Child Relationship: Ecological Approach. Seoul: Hakjisa. 

  48. Perkins, S. C., Finegood, E. D., & Swain, J. E. (2013). Poverty and language development: Roles of parenting and stress. Innovations in Clinical Neuroscience, 10(4), 10-19. 

  49. Rauh, V. A., Parker, F. L., Garfinkel, R. S., Perry, J., & Andrew, H. F. (2003). Biological, social, and community influences on third-grade reading levels of minority Head Start children: A multilevel approach.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1(3), 255-278. 

  50. Rouse, H. L., & Fantuzzo, J. W. (2009). Multiple risks and educational well being: A populationbased investigation of threats to early school succes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4(1), 1-14. 

  51. Rutter, M. (1979). Psychosocial resilience and protective mechanism.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57, 316-331. 

  52. Ryan, R. M., Fauth, R. C., & Brooks-Gunn, J. (2006). Childhood poverty: Implications for school readines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O. Sarachoc, & B. Spodek (Eds.), Handbook of Research on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2nd ed., pp. 323-346). Mahwah, NJ: Erlbaum. 

  53. Sameroff, A., Seifer, R., Zax, M., & Barocas, R. (1987). Early indicators of developmental risk: Rochester longitudinal study. Schizophrenia Bulletin, 13, 383-394. 

  54. Sameroff, A., Seifer, R., Baldwin, A., & Baldwin, C. (1993). Stability of intelligence from preschool to adolescence: The influence of social and family risk factors. Child Development, 64, 80-97. 

  55. Sameroff, A. J., Seifer, R., Barocas, R., Zax, M., & Greenspan, S. (1987). Intelligence quotient scores of 4-year-old children: Social-environmental risk factors. Pediatrics, 79, 343-350. 

  56. Santrok, J. W. (2012). Child Development: An Introduction, (13th ed.). McGraw Hill. New York: NY. 

  57. Shin, S. J., & Chung, M. J. (1998). Effects of stress, social support and efficacy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19(1), 27-42. 

  58. Sung, M. Y., & Seol, K. O. (2012). Protective and risk factors of behavior problems among children in institutional care in Korea. Child Education, 21(2), 147-160. 

  59. West, J., Denton, K., & Germino-Hausken, E. (2000). America's Kindergartners. Findings From the Early Childhood Longitudinal Study, Kindergarten Class of 1998-1999, Fall 1998. NCES 2000-070. Washington, DC: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itcs. Retrieved from http://nces.edu.gov/pubs2000/200070.pdf.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