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영양화 방지를 위한 란탄-제올라이트 복합체의 성능평가
The Performance of the Lanthanum-Zeolite Composite for the Eutrophication Prevention 원문보기

대한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36 no.3, 2014년, pp.206 - 213  

강민구 (충북대학교 환경공학과) ,  신관우 (충북대학교 환경공학과) ,  박형순 (한국상하수도협회) ,  김태수 (에코니티) ,  이상일 (충북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영양염류인 질소와 인은 부영양화된 호소에 조류 발생의 주요원인 물질로 알려져 있다. 호소의 부영양화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호소에 존재하는 영양염류 뿐 아니라 저니층에서 용출되는 것을 동시에 제거에 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3가의 란탄이온에 암모니아성질소($NH_4{^+}-N$)에 대한 흡착능이 있는 제올라이트를 지지체로 이를 결합하여 호소수내에 용존되어 있는 영양염류 제거뿐만 아니라 퇴적층에서 용출되는 인을 지속적으로 흡착하는 복합체를 개발하여 조류의 성장을 억제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란탄복합체의 흡착 특성을 평가하였을 때 $PO_4{^{3-}}-P$$NH_4{^+}-N$의 제거능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호소수에 적용시켰을때 Chl-a와 탁도가 시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본 연구에서 제작된 란탄복합체가 호소수에서 조류 억제 효과가 뛰어나다고 판단된다. 또한, 호소수에 란탄 복합체를 적용한 경우를 표준 48시간 급성 독성법으로 독성을 측정한 결과, 독성에 대한 영향이 관찰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utrients such as phosphorus and nitrogen have been widely known as important source of algal appearance in eutrophic water. In order to prevent lake eutrophication, it is required to remove these nutrients not only presented in the lake water, but also released from the sediment. In order to solv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지속적으로 수중의 인을 흡착하기 위해서는 이를 침전 시킬 수 있는 지지체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가의 란탄이온에 암모니아성질소(NH4+-N)에 대한 흡착능이 있는 제올라이트를 지지체로 이를 결합하여 호소수내에 용존되어 있는 영양염류 제거 뿐만 아니라 퇴적층에서 용출되는 인을 지속적으로 흡착하는 복합체를 개발하여 조류의 성장을 억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호소 내 지속적인 부영양화 원인물질인 질소와 인을 고정화시킬 수 있는 처리제를 개발하고 이를 실험실 규모에서 적용하였다. 개발된 처리제는 란탄이 가진 인산염인 치환 능력과 제올라이트의 암모늄 질소 흡착능을 결합시킨 복합체로써, 실험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Lee, J. H., "Removal of Nitrogen and Phosphorus in Lake Water Using Wood Fiber Mat," Master'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2004). 

  2. Bricker, B. S., Clement, G. C., Pirhalla, E. D., Orlando, S. P. and Farrowl, R. G. D., "National Estuarine Eutrophication Assessment: Effects of Nutrient Enrichment in the Nation's Estuari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1999). 

  3. Kim, W. I., "A Study on the release and removal of phosphorus from sediments,"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1993). 

  4. Cooke, G. D., Welch, E. B., Peterson, S. A. and Newroth, P. R. "Restoration and Management of lakes and Reservoirs," 2nd Ed., Lewis Publishers, Boca Raton, FL., pp. 9-51(1993). 

  5. Lanbert, D., Maher, W. and Hogg, T., "Changes in phosphorus fractions during storage of lake water," Water Res., 26(5), 645-648(1992). 

  6. Hakanson, 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ake trophic level and lake sediments," Water Res., 18(3), 315-318(1984). 

  7. Kim, H. S., "Phosphorus removal in the wastewater using waste oyster shells and reuse of product sludge," Doctorate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2006). 

  8. Lee, K. A., "Phosphorous Removal by Coal Fly Ash,"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2000). 

  9. David, P. L., Donald, W. Schults, K. and Malueg, W., "Summer internal phosphorus supplies in Shagawa Lake, Minnesota," Limnol. Oceanogr., 26(4), 740-753(1981). 

  10. US EPA, "Aquatic invertebrate acute toxicity test, freshwater Daphnids," Ecological Effects Test Guidelines, OPPTS 850. 1010(1992). 

  11. No, J. H., "Study of Utilization of Natural Zeolites as Functional Materials for Water Purification (1): Cation Exchange Property of Domestic Zeolites," Environ. Mineral., 16(2), 135-149(2003). 

  12. Ha, K. S., "Studies on Removal and Recovery of Ammonium from Raw Drinking Water by Natural Zeolite," Water Technol., 67, 52-57(1994). 

  13. Hong, S. H., "Removal of concentrated Ammonia in landfill leachate using natural Zeolite,"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2002). 

  14. Jung, W. K., "Phosphorus and Nitrogen control by Zeolite-Lanthanum Composite,"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2008). 

  15. Booker, N. A., Coony, E. L., Priestly, A. J., "Ammonia removal from sewage using natural australian zeolite," Water Sci. Technol., 34(9), 17-24(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