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지천 수계에서 물리적인 요인에 따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의 시.공간적인 변동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of Macroinvertebrates according to Physical Factors in Gongji Stream A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8 no.1, 2014년, pp.24 - 32  

이재용 ((주) 자연과 사람 환경기술연구소) ,  이광열 (강원대학교 생명과학과) ,  한상진 (강원대학교 생명과학과) ,  이석종 (강원도 보건환경연구원) ,  정유경 (강원대학교 환경과학과) ,  천재룡 ((주) 자연과 사람 환경기술연구소) ,  최재석 (강원대학교 환경연구소) ,  김준철 (강원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1년~2013년 사이에 춘천시에 위치하고 종적으로 분포하는 2개 하천(공지천, 신촌천)을 대상으로 각각 2개의 조사 지점에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의 계절 및 공간별 조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하천에서의 인위적인 교란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종수 및 개체수의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상류구간인 신촌천(St.1, St.2)과는 달리 공지천 구간(St.3, St.4)은 공지천생태하천조성사업의 진행에 따른 인위적인 교란에 빈번하게 노출된 구간이었다. 이 사업 이후 물 흐름의 정체시간이 장기화됨으로 인하여 2012년 하절기에 신촌천 상류(St.1)와 공지천 하류(St.4) 사이에 커다란 수온의 차이(최대 $9^{\circ}C$까지) 및 $30^{\circ}C$ 이상 수온이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또한 매년 몬순강우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종수 및 개체수 그리고 종 다양도지수의 감소를 초래하였다. 분류군에 따른 우점 양상을 보면, 신촌천 상류에서만 날도래류가 우점하였을 뿐, 그 외의 지점들에서는 파리류가 우세하게 출현하였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시 공간적인 변동은 인위적인 하상의 교란(하상변화, 수온 증가) 및 몬순강우 등으로 인한 토사유입과 같은 물리적인 요인들의 영향을 반영하는 지표생물로서 중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ur study is purposed to understand effect on spatio-temporal variability of macroinvertebrate community 11 sampling times at 4 sites between two streams (Shinchon stream and Gongji stream in Chuncheun City) from May 2011 to October 2013. In this study, the possible physical factors on spatio-temp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999)을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군집분석은 정량시료에 대해 종 다양도지수를 산정하여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안정도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종 다양도지수는 각 조사 지점의 종 구성상태의 다양도를 나타내는 척도로서, Shannon and Wiever(1949) 함수를 사용하여 산출하였다.
  •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시·공간적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인 요인으로서 몬순강우 시 유역으로부터의 토사의 하천유입, 유량의 급격한 증가로 인한 물리적인 하상 변화 그리고 하도 내 구조물로 인한 수온의 증가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기후환경의 변화와 하천내 인위적인 교란이 하천생태계의 저차소비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도심하천의 관리방안을 제시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써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당시의 수환경의 변화에 따라서 발생하는 물리적인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시·공간적인 변동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에 대해 직·간접적인 측정자료 및 문헌을 통해 고찰을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수온변화에 따른 군집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수온측정기(Hobo Data logger Water Temp Pro v2)를 신촌천의 상류지점과 공지천의 하류지점에 각각 설치하여 모니터링을 하였다. 측정 기간 및 횟수는 5월부터 10월 사이에 2시간(2012년 5월∼7월) 또는 1시간(2012년 8월∼10월) 간격으로, 자동측정 된 자료는 측정기간 중 두 번 다운로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공지천 수계에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시·공간적인 종수와 개체수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 생물지표로서 활용한 연구의 장점은? , 2012).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 생물지표로서 활용한 연구는 육상생태계(성충시기)와 수생태계(유충시기)에서 양서하는 생활사의 중요한 특성을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데, 이에 하천의 생물서식환경 및 유역환경까지도 접목하여 일괄적으로 관리·평가하는데 효과적이기 때문이다(Won et al., 2006; Arimoro and Muller, 2010; Choi et al.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활용처는? , 2005; Pond, 2010). 이들은 하천 내 다양한 수리수문학적, 지형학적인 특성과 수질환경의 조건에 적합한 서식처 선정 및 분포범위를 결정 하기 때문에, 하천의 생물서식환경을 이해하고 평가하는데 유용한 생물지표로서 활용되고 있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하천의 수질환경 악화에 반응하고, 서식지를 선택하기 위한 종적인 이동을 통해 분포의 범위를 확장한다(Connolly et al.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생태계에서의 역할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수중생활을 하는 유충시기에서 육상으로 우화하여 짝짓기를 하는 성충시기에 이르기까지의 생활사를 통해서 육상생태계와 하천생태계를 연계하는 에너지흐름의 전달자로서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Davis et al., 2003; Peitz, 2003; Ba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rimoro, F.O. and W.J. Muller(2010) Mayfly (Insecta: Ephemeroptera) community structure as an indicator of the ecological status of a stream in the Niger Delta area of Nigeria.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166: 581-594. 

  2. Bae, Y.J., H.K. Kil and K.S. Bae(2005) Benthic macroinvertebrates for uses in stream biomonitoring and restoration.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9: 56-63. 

  3. Banks, J.L., J. Li and A.T. Herlihy(2007) Influence of clearcut logging, flow duration, and season on emergent aquatic insects in headwater streams of the Central Oregon Coast Range. Journal of the North American Benthological Society 26: 620-632. 

  4. Chakona, A., B. Marshall and L. Brendonck(2007) The effect of fish predation 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a seasonal stream in north-western Zimbabwe. African Journal of Aquatic Science 32: 251-257. 

  5. Choe, B.L., M.S. Park, L.G. Jeon, S.R. Park and H.T. Kim(1999) Commercial molluscs from the freshwater and continental shelf in Korea.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Press, 197pp. (in Korean) 

  6. Choi, A.R., S.J. Park, J.Y. Kim, M.Y. Song and D. Kong(2012) The correlation between water quality and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indices in the Jinwi stream. Korean Journal of Limnology 45(1): 1-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Choi, J.S.(2011) Study for Longitudinal Continuity and Restoration of Aquatic Ecosystem in Gongji Stream. Kangwon Green Environment Center, pp. 34-35. 

  8. Choi, J.S.(2012) Study for Longitudinal Continuity and Restoration of Aquatic Ecosystem in Gongji Stream. Kangwon Green Environment Center, 37pp. 

  9. Connolly, N.M. and R.G. Pearson(2007) The effect of fine sedimentation on tropical stream macroinvertebrate assemblages: A comparison using flow through artificial stream channels and recirculating mesocosms. Hydrobiologia 592: 423-438. 

  10. Connolly, N.M., M.R. Crossland and R.G. Pearson(2004) Effect of low dissolved oxygen on survival, emergence, and drift of tropical stream macroinvertebrates. J. N. Am. Benthol. Soc. 592: 423-438. 

  11. Davis, S., S.W. Golladay, G. Vellidis and C.M. Pringle(2003) Macroinvertebrate biomonitoring in intermittent coastal plain stream impacted by animal agriculture, 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32: 1036-1043. 

  12. Dripps, W., K Ashman, M. Saunders and S. Drake(2012) The impact of golf courses on stream water temperature. The Open Environmental and Biological Monitoring Journal 5: 14-21. 

  13. Durham, B.W., G.R. Wilde and K.L. Pope(2006) Temperaturecaused fish kill in a flowing great plains river. The Southwestern Naturalist 51: 397-401. 

  14. Gore, J.A., J.B. Layzer and J. Mead(2001) Macroinvertebrate instream flow studies after 20 years: a role in stream management and restoration. Regulated Rivers: Research and Management 17: 527-542. 

  15. Grimm, N.B. and S.G. Fisher(1989) Stability of periphyton and macroinvertebrates to disturbance by flash floods in a desert stream. The North American Benthological Society 8:293-307. 

  16. Harper, D., J. Mekotova, S. Hulme, J. White and J. Hall(1997) Habitat Heterogeneity and Aquatic Invertebrate Diversity in Habitat Heterogeneity and Aquatic Invertebrate Diversity in Floodplain Forests. Global Ecology and Biogeography Letters 6: 275-285. 

  17. Hur, J.M., Y.H. Jin, S.J. Park, D.H. Won and Y.J. Bae(2000) Emergence patterns of Hydropsyche kozhantschikovi (Trichoptera: Hydropsychidae).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3(3): 267-2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Jung, S.W., V.V. Nguyen, Q.H. Nguyen and Y.J. Bae(2008) Aquatic insect faunas and communities of a mountain stream in Sapa Highland, northern Vietnam. Limnology 9: 219-229. 

  19. Kasangaki, A., D. Babaasa, J. Efitre, A. McNeilage and R. Bitariho(2006) Links between anthropogenic perturbations and benthic macroinvertebrate assemblages in Afromontane forest streams in Uganda. Hydrobiologia 563: 231-245. 

  20. Kawai, T. and K. Tanida(2005) Aquatic Insects of Japan: Manual with Keys and Illustrations. Tokai University Press, 1342pp. 

  21. Kil, H.K., D.G. Kim, S.W. Jung, Y.H. Jin, J.M. Hwang, K.S. Bae and Y.J. Bae(2010) Impacts of impoundments by low-head and large dams on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in Korean streams and rivers. Korean Journal of Limnology 43(2): 190-19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Kwak, I.S., S.A. Jeong and G.S. Jeong(2008) Community composition on stream benthic macroinvertebrate in Daegu.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26: 47-5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Larsen, S. and S.J. Ormerod(2010) Low-level effects of inert sediments on temperate stream invertebrates. Freshwater Biology 55: 476-486. 

  24. Lee, C.Y., D.G. Kim, L.J. Choe, M.J. Baek, Y.J. Yoon and Y.J. Bae(2012) Estimation of accumulated degree days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Cloeon dipterum (Ephemeroptera: Baetidae) in an experimental tub under field conditions. Korean Journal of Limnology 45: 123-12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Lee, S.J., Y.J. Bae, I.B. Yoon and N.C. Watanabe(1999) Comparisons of temperature-related life histories in. two ephemerid mayflies (Ephemera separigata and E. strigata: Ephemeridae, Ephemeroptera, Insecta) from a mountain stream in Korea.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2: 253-26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Mesa, L.M.(2012) Interannual and seasonal variability of macroinvertebrates in monsoonal climate streams. Brazilian Archives of Biology and Technology 55: 403-410. 

  27. Miserendino, M.L. and L.A. Pizzolon(2003) Distribution of macroinvertebrate assemblages in the Azul-Quemquemtreu river basin, Patagonia, Argentina. New Zealand Journal of Marine and Freshwater Research 37: 525-539. 

  28. Peitz, D.G.(2003) Macroinvertebrate monitoring as an indicator of water quality. Status Report for Pipestone Creek, Pipestone National Monument, 1989-2002. National Park Service Republic, pp. 1-13. 

  29. Pond, G.J.(2010) Patterns of Ephemeroptera taxa loss in Appalachian headwater streams (Kentucky, USA). Hydrobiologia 641: 185-201. 

  30. Quinn, J.M., G.L. Steele, C.W. Hickey and M.L. Vickers(1994) Upper thermal tolerance of twelve New zealand stream invertebrate species. New Zealand Journal of Marine and Freshwater Research 28: 391-397. 

  31. Savic, A., V. Randelovic, M. Dordevic, B. Karadzic, M. Dokic, and J. Krpo-Cetkovic(2013)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structure of caddisfly (Trichoptera) assemblage in the Nisava River (Central Balkan Peninsula). Knowledge and Management of Aquatic Ecosystems DOI: 10.1051/kmae/2013051. 

  32. Shannon, C.E. and W. Wiever(1949) The mate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233pp. 

  33. Shin, S.M., I.K. Choi, E.W. Seo, J.E. Lee(2013)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in the urban and nature stream.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2(12): 1551-1559. 

  34. Urban, M.C., K. David, S.D. Burchsted, W. Price and S. Lowry(2006) Stream communities across a rural-urban landscape gradient. Diversity and Distributions 12: 337-350. 

  35. Won, D.H., S.J. Kwon and Y.C. Jun(2005) Aquatic Insect of Korea. Korea Ecosystem Service, 415pp. 

  36. Won, D.H., Y.C. Jun, S.J. Kwon, S.J. H., K.G. Ahn and J.K. Lee(2006) Development of Korean saprobic index using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its application to biological stream environment assess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2: 768-7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7. Yoshimura, M.(2008) Longitudinal patterns of benthic invertebrates along a stream in the temperate forest in Japan: in relation to humans and tributaries, Insect Conservation and Diversity 1: 95-107. 

  38. Yun, I.B.(1995) Aquatic insects I of Korea. Junghaengsa press, 262p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