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주국립공원 토함산습지 주변 지역의 현존식생과 식물군락구조
Actual Vegetation and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Tohamsan (Mt.) Wetland Area of the Surroundings in Gyeongju National Park,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8 no.1, 2014년, pp.33 - 44  

이상철 (부산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강현미 (부산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최송현 (부산대학교 조경학과) ,  홍석환 (부산대학교 조경학과) ,  이수동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조경학과) ,  조우 (상지대학교 관광학부) ,  김지석 (부산대학교 바이오환경에너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토함산습지 주변의 산림식생구조에 대해 알아보고자 토함산습지 주변을 지형적 관점에서 유역권을 설정하고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다. 현존식생도를 바탕으로 대표되는 8개 군락, 즉, 소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신갈나무-졸참나무군락, 굴참나무-신갈나무-졸참나무군락, 층층나무군락, 버드나무군락에 대해 식생구조를 조사 분석하였다. 토함산 습지는 해발고 490m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유역권의 면적은 약 $236,272m^2$이었다. 토함산 습지 유역권내 산림의 현존식생유형은 총 16개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전체면적 중 신갈나무림이 $78,209.2m^2$로 전체 면적의 33.10%를 차지하고 있었다. 8개 군락의 구조를 알아보기 위해 조사구($10m{\times}10m$) 32개소를 설치하여 조사 분석 하였고, 각 군락별로 식생구조를 밝혔다. 본 조사지역의 산림식생 임령은 30~50년으로 추정되었으며, 토양산도(pH)는 4.89, 유기물함량은 4.46%로 조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nd investigate a vegetation structure around Tohamsan (Mt.) Wetland. Actual vegetation map was made on the basis of watershed around that. Vegetation structure survey was carried out for 8 representative communities of actual vegetation w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급증하는 관광객 및 등산객들에 의한 인위적 훼손과 산불과 집중호우 등의 자연 재해로 인해 훼손되어지는 경주국립공원 내 산림지역 중 비교적 대표성 및 자연성이 양호한 토함산습지를 중심으로 습지 및 습지형성의 기반이 되는 유역권을 설정하고, 식생현황 및 구조를 파악하여 토함산습지 주변부 계곡일대의 식물군락의 가치 파악 및 관리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주국립공원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날짜는 언제인가? , 2012). 경주국립공원은 우리나라에서 유일한 사적형 공원으로 지리산에 이어 두 번째로 1968년 12월 31일 지정되었다(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3). 국립공원지정 이후 사적형 국립공원의 특성을 고려하여 경주시에서 관리하여왔으나 2008년부터 국가관리체계로 전환되어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관리하고 있다.
지리산국립공원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날짜는 언제인가? 우리나라 국립공원은 지리산국립공원(1967년 12월 29일 지정)을 시작으로 무등산국립공원(2012년 3월 4일 지정)까지 총 21개의 국립공원이 지정되어 있으며(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3), 대부분의 국립공원은 육상 및 해상환경 중심의 자연자원을 바탕으로 지정되어 있다(Kang et al., 2012).
토함산의 면적은 얼마인가? 1m로 일명 동악이라고 불린다. 불교의 성지로 신라 다섯 명산 중의 하나로 경주에서 가장 높은 산이며 면적은 80.3㎢이다(Kim, 2007). 또한 토함산 일대는 경주를 대표하는 산림으로 2011년 1월부터 국립공원 내륙습지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는 토함산습지, 암곡습지(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Brower, J.E. and J.H. Zar(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194pp. 

  2. Choi, J.Y.(2002) A Study on the preservation of a National Park Mt. Namsan's plan in Kyongju. Journal of the Korea Construction and Environment Association 1(4): 157-16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urtis, J.T. and R.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4. Gyeongju City(2005) The Management Plan in Gyeongju National Park. Gyeongju City, 443pp. (in Korean) 

  5. Harcomb, P.A. and R.H. Marks(1978) Tree diameter distribution and replacement processes in southeast Texas forests. For. Sci, 24(2): 153-166. 

  6. Jeong, J.H., K.S. Koo, C.H. Lee and C.S. Kim(2002)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forest soils by regions. Jour. Kor. For. Soc. 91(6): 694-70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Jung, B.G., J.W. Choi, E.S. Yun, J.H. Yoon and Y.H. Kim(2001) Monitoring on chemical properties of bench marked upland soils in Korea. Kor. Jour. Soil Sci. Fert. 34(5): 326-332. 

  8. Kang, H.M., S.H. Choi, S.D. Lee, H.S. Cho and J.S. Kim(2012) Vegetation structure of the Bulguksa Buddhist temple forest in the Gyeongju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6(5): 787-80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ang, K.R., D.P. Kim and J.B. Beak(2012) Comparative study on monetary estimates of natural environment and cultural relics in Gyeongju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6(2): 273-28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FCM(2005) A Study on Establishing Protected Area and Magerial Boundary of the Baekdu-daegan. KFCM, pp. 78-79. (in Korean) 

  11. Kim, J.S., S.H. Choi, S.H. Hong, H.M. Kang and J.N. Bae(2013)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getation of 'Amgok' wetland, Gyeongju National Park, Korea. Kor. J. Env. Eco. 27(3): 381-39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J.W. and S.U. Han(2005) Moor vegetation of Mt. Shinbul in Yangsan. Korean Journal of Ecology 28(2): 85-9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J.W., J.H. Kim, J.C. Jegal, Y.K. Lee, K.R. Choi, K.H. Ahn and S.U. Han(2005) Vegetation of Mujechi Moor in Ulsan: Actual vegetation map and Alnus japonica population. Korean Journal of Ecology 28(2): 99-10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S.W.(2007) Forest Vegetation Vlassification around Mt. Nam and Mt. Toham in Gyeongju City. M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 Korea, 55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NPS Gyeongju National Park(2009) Resource Monitoring in Gyeongju National Park: 1st year. KNPS, 387pp. (in Korean) 

  16. KNPS Gyeongju National Park(2010) Resource Monitoring in Gyeongju National Park: 2nd year. KNPS, 293pp. (in Korean) 

  17. KNPS Gyeongju National Park(2011) Resource Monitoring in Gyeongju National Park: 3rd year. KNPS, 391pp. (in Korean) 

  18. KNPS Gyeongju National Park(2012) Resource Monitoring in Gyeongju National Park: 4th year. KNPS, 251pp. (in Korean) 

  19. Korea Forest Service(2007) Report of Wetlands Research. Korea Forest Service, 493pp. (in Korea) 

  20.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2008) Investigation on Natural Resource of the Gyeongju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649pp. (in Korea) 

  21. Korea National Park Service(2013) http://knps.or.kr/ 

  22. Ku, C.Y. and J.C. Seo(2007) Extraction of the potential mountainous wetlands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and satellite image. Jour. Kor, Geo. Ass. 14(1): 53-6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Lee, G.C. and J.C. Nam(2008) Management program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forest wetlands located at Sinbul Mountain.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10(2): 1-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Lee, M.K.(2009) A Study on Vegetation Characteristic of Forest Wetlands - A Case Study of the National Forest in Jeollabukdo -.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 Graduate School, 144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Lee, S.D., S.H. Kim and J.S. Kim(2012) Analysis actual conditions of arid progress and prevention management of Hwaeom Wetland in Yangsansi.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4): 498-51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Lee, S.J.(2002) A Study on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basin Establishment of Wonjuchon. Master's Thesis, Yonsei Univ. Graduate School, 8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Lee, S.W. and G.S. Park(2001) Experimental assessment of forest soil sensitivity to acidification - Application of prediction models for acid neutralization responses -. Jour. Kor. For. Soc. 90(1): 133-1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Lee, S.W.(1981) Studies on forest soils in Korea(II). Jour. Kor. For. Soc. 54: 25-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9. Lim, W.H.(2002) The ecological vegetation management plan of Mt. Nam-san in Kyoungju. The Journal of Kyongju Research 11: 13-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 Lim, W.H., K.H. Kang and D.C. Kim(2000) A study on the plants community structure analysis of the Namsan in Kyongju. Jour. Con. Env. Res. Ins. 3: 1-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1. Monk, C.D., G.I. Child and S.A. Nicholson(1969) Species diversity of a stratified Oak-Hickory community. Ecology 50(3): 468-470. 

  32. Nam, S.J.(2011) Geomorphic Characteristics of Hill Wetlands in Sungnam Region.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 64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3. National Science Museum(1997) Study on the biota of the Kyoungju National Park in Korea. National Science Museum, 144pp. (in Korea) 

  34. Park, I.H.(1985) A Study on Forest Structure and Biomass in Baegwoonsan Natural Ecosystem.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Master, Seoul National Univ., 46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5. Rhyu, T.C. and J.H. Kim(1994) Growth Decline of Pitch Pine Caused by Soil Acidification in Seoul Metropolitan Area. Kor. J. Ecol. 17(3): 287-29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6.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2000) Soil and Plant Analysi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2pp. (in Korean) 

  37. Yi, S.T.(2008) Research on Legislation Concerning the Integrated River Basin Management. Korea Legislation Research Institute, 159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8. Yi, Y.K. and S.H. Choi(2000) Vegetation structure analysis of urban forest - The case of Namsan in Kyungju -. Jour. of Kor. Ins. of Landscape Architecture 28(3): 13-2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9. Yi, Y.K.(2008) Evaluation of use satisfaction for Tohamsan and Namsan National Park in Kyongju -Focused on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Jour. Kor. Env. Imp. Ass. 17(3): 153-16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0. Yoon, J.W., Y.S. Kim, H.T. Shin, G.S. Kim, J.W. Sung, S.H. Lee, K.H. Park and M.H. Yi(2013) Vascular Flora of Gyeongju National Park - Focused on Mt. Nam, Mt. Toham, Mt. Danseok - Kor. J. Env. Eco. 27(2): 170-19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1. You, J.H., K.H. Park, S.G. Jung, K.T. Kim and W.S. Lee(2009) Flora and Restoration Plan of Sandeul Wetland in Mt. Jaeyak, Miryang-si, Korea. Korea Society of Environtal Technology 12(1): 13-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2. You, J.H., S.J. Mun and W.S. Lee(2011) Management plant and vescular plant of the Hwarang District in Gyeongju National Park. Jour. Kor. Env. Res. Tech. 14(5): 17-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