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주국립공원 내 암곡습지 유역권 식생분포 특성 연구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getation of 'Amgok' Wetland, Gyeongju National Park,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7 no.3, 2013년, pp.381 - 395  

김지석 (부산대학교 바이오환경에너지학과) ,  최송현 (부산대학교 조경학과) ,  홍석환 (부산대학교 조경학과) ,  강현미 (부산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배중남 (상지대학교 관광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1년 4월부터 11월까지 총 6회에 걸쳐 경주국립공원 토함산지구 내 암곡습지 유역권의 현존식생 및 출현식물을 조사하였다. 출현식생 분석결과 습지를 제외한 유역권 대부분이 과거 식생에 대한 인위적 훼손이 일어났던 지역이었다. 그럼에도 습지:배후의 비율이 약 1:10으로 습지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출현 식물종 조사결과 65과 163속 184종 1아종 39변종 8품종으로 총 23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출현식생 특성상 중간습원의 형태를 띠고 있었으며 귀화식물은 총 17분류군이 확인되었는데, 습지지역에서는 2종만이 출현하였다. 본 대상지는 유역권에 비해 습지면적이 상대적으로 넓고 유역권의 인위적 교란에도 불구하고 습지가 건강하게 유지되고 있는 지역이었다. 단습지주변에 일부 버드나무와 신나무목본식물의 유입이 일어나고 있어 지속적 관심이 요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surveyed 6 times for the actual vegetation type and flora of Amgok wetland (Intermediate moor area, Alnus japonica community area) and it's watershed area in Tohamsan district, Gyeongju National Park from Apr. to Nov. in 2011. As a result of the actual vegetation type, most veget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0년에 확인된 경주국립공원 토함산지구 암곡습지의 식물생육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습지지역을 포함하여 습지 유지를 위한 유역권 내 습지와 배후지역을 구분하여 권역을 설정하고 권역별 세부 현존식생도를 작성하고 분포특성을 살펴보았으며 각 식생유형별 출현 식물상을 조사하였다. 이 때 식물상은 각 식생권역을 구분한 후 이들 지역에 따라 조사하여 권역별 식물분포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권역은 습지와 습지 유지를 위한 배후지역을 구분하고 이를 다시 목본식생지와 초본식생지로 구분하였다.
  • , 2012) 습지 유지를 위한 기반인 습지를 중심으로 한 유역권 전체를 조사하여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0년에 산지습지로 인정되어 국립공원 내 내륙습지로 관리되고 있는 경주국립공원의 암곡습지를 대상으로 습지 및 습지형성의 기반이 되는 유역권 전체에 대한 정밀 식생분포현황과 습지 및 배후권역에 생육하는 식물목록의 모니터링을 통해 습지 가치 파악, 훼손 정도의 평가를 통해 향후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립공원이란? 국립공원은 우리나라 자연생태계나 자연 및 문화경관을 대표할 만한 지역으로 국가에서 지정하여 관리하는 공원이다. 우리나라는 1967년 지리산을 시작으로 2013년 현재까지 21개 국립공원이 지정・관리되고 있다.
국립공원관리공단 자원보전처에서 토함산 습지에 대한 1차조사의 한계는? 2008년 국가관리체계로 전환하여 관리하고 있는 경주국립공원에서 2010년 처음으로 확인된 산지습지의 경우, 국립공원관리공단 자원보전처에서 토함산 습지에 대한 1차조사를 실시하여 약 100여종의 식물이 습지 지역에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KNPS Gyeongju National Park Office, 2011). 하지만 암곡습지에 대한 구체적인 식물분포 현황에 대한 연구와 산지습지로서의 특성, 가치는 연구가 전무한 상태이다.
우리나라가 지정,관리하는 국립공원 수는? 국립공원은 우리나라 자연생태계나 자연 및 문화경관을 대표할 만한 지역으로 국가에서 지정하여 관리하는 공원이다. 우리나라는 1967년 지리산을 시작으로 2013년 현재까지 21개 국립공원이 지정・관리되고 있다. 경주국립공원은 지리산국립공원에 이어 두 번째인 1968년 12월 31일에 지정된 공원으로(KNPS Gyeongju National Park, 2010)석굴암과 불국사 등 9개소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는 등 천 년 역사의 우수한 사찰 문화를 인정받은 우리나라 유일의 사적형 국립공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Hong, S.H., J.W. Cho, J.S. Kim, S.D. Lee and S.H. Choi(2012) Characteristics of the Carpinus laxiflora Community in the Gyeongju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6): 934-9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Kim, J.H.(1998) Syntaxonomy and Syndynamics of the Vegetation of Moojechi Moor in the Ulsan. Master thesis, Keimyung University, 38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Kim, J.H., Y.H. Kim, C.Y. Yoon and J.H. Kim(2008) The Flora of Mt. Biseul in Daegu.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2(5): 481-5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Kim, J.W. and S.U. Han(2005) Moor Vegetation of Mt. Shinbul in Yangsan. Korean Journal of Ecology 28(2): 85-9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Kim, J.W., J.H. Kim, J.C. Jegal, Y.K. Lee, K.R. Choi, K.H. Ahn and S.U. Han(2005) Vegetation of Mujechi Moor in Ulsan: Actual Vegetation Map and Alnus japonica Population. Korean Journal of Ecology 28(2): 99-10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oh, J.K.(1997) Studies on several environmental factors in Moojechi moors on Mt. Jongjok, Ulsan city. Journal of Basic Science 1(1): 49-6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orea National Park Service(KNPS) Gyeongju National Park Office(2011) Resource Monitoring in Gyeongju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Service(KNPS) Gyeongju National Park Office, 391pp. (in Korean) 

  8. Korea National Park Service(KNPS) Gyeongju National Park(2010) http://www.knps.or.kr/ 

  9. Korea National Park Service(KNPS)(2012)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ning in Gyeongju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Service(KNPS), 358pp. (in Korean) 

  10. Lee, C.S., H.S. Paek, Y.H. You and S.K. Hong(1998) A Study on Vegetation Succession in Abandoned Paddy Fields. Journal Nature Science Institute, Seoul Women's University 10: 29-4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Lee, G.C. and J.C. Nam(2008) Management program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forest wetlands located at Sinbul Mountain.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10(2): 1-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Lee, M.K.(2007) Persent Status and Conservation Strategy of the Mountainous Wetlands in Ulsan City and Gyeongsangnamdo Province. Major in Biology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51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S.D., S.H. Kim and J.S. Kim(2012) Analysis actual conditions of arid progress and prevention management of Hwaeom Wetland in Yangsansi.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4): 498-51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Lee, T.B.(1980) Flora of Korea. Hyangmonsa, 990pp. (in Korean) 

  15. Lee, W.T.(1996)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Books, 629pp. (in Korean) 

  16. Lee, Y.N. and Y.C. Oh(1974) Korea Naturalized Plants(1). Journal of the Life Sciences 12: 25-31. (in Korean) 

  17. Lee, Y.N.(1998) Flora of Korea. Kto-hak Pub. Co., 1,247pp. (in Korean) 

  18. Mitsch, W.J. and J.W. Day Jr.(2006) Restoration of wetlands in the Mississippi-Ohio-Missouri(MOM) river basin: Experience and needed research. Ecological Engineering 26: 55-69. 

  19. Miyawaki, A., S. Okuda. and R. Mochizuki(1978) Handbook of Japanese vegetation Shibundo co., LTD. Publishers, 850pp. 

  20. Nobukazu, N., H. Mutsumi and N. Kunito(1996) Vegetation of mominoki forest park. Memoirs of the Faculty of Integrated Arts and Sciences, Hiroshima University. IV, Science reports : studies of fundamental and environmental sciences 22: 31-45.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21. Park, S.H, J.H. Shin, Y.M. Lee, J.H. Lim and J.S. Mun(2002) Distribution of Naturalized Alien Plants in Korea.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Korea, 184pp. (in Korean) 

  22. Park, S.H.(1995) Coloured Naturalized Plants in Korea. Ilchokak, 371pp. (in Korean) 

  23. Park, S.H.(2001) Coloured Naturalized Plants in Korea - Possession -. Ilchokak, 178pp. (in Korean) 

  24. Park, S.J., B.R. An, S.Y. Jang and S.J. Park(2011) Original artide: Diversity of Moojechineup`s flora. Korean Society of Plant Taxonomists 41(4): 370-38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Ryang W.S., D.S. Kim and S.H. Park(2004) Weeds of Korea III - Monocotyledoneae, Pteriophyta -. Ijeonnongeopjawondoseo, 1098pp. (in Korean) 

  26. Ryou, S.H.(2004) Studies on vegetation and successive dynamics of moors in Motane Zone, Korea. Department of Biology, Graduated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4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Yi, G.C. and J.C. Nam(2008) Management Program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Forest Wetlands located at Sinbul Mountain. Korean Wetlands Society 10(2): 1-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Yim, Y.J. and E.S. Jeon(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Society of Plant Biologists 23(3-4): 69-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9. Yim, Y.J., G.H. Park and J.K. Shim(1982) Geographical Significance of Raunkiaer's Life Form Spectra in South Korea. Technology and Science Laboratory Institute 9: 5-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 You, J.H., K.H. Park, S.G. Jung, K.T. Kim and W.S. Lee(2009) Flora and Restoration Plan of Sandeul Wetland in Mt. Jaeyak, Miryang-si, Korea.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Technology 12(1): 13-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1. http://www.nature.go.kr/kpni,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