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녹지 네트워크 강화를 위한 가로녹지 조성계획 연구
A Study on Planning of Roadside Green for Enhancing Urban Green Network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8 no.2, 2014년, pp.128 - 141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조경학과) ,  곽정인 ((재)환경생태연구재단) ,  박석철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허지연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초록

본 연구는 송파구의 도시녹지 네트워크 강화와 도시녹지 확충을 위한 가로녹지 개선계획 수립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송파구 네트워크 가로를 선정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송파구 관내 공원, 녹지축 현황을 분석하고, 가로변녹지 현황, 보도폭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가로변에 위치한 19개 공원과 녹지축 연계가 가능한 13개 가로를 도출하였다. 가로변 녹지는 자연녹지 및 조성녹지와 연계된 가로가 56,546m이었고, 보도폭은 추가적인 띠녹지 확보 및 보식 가능한 보도폭 5m 이상의 가로가 8,600m이었다. 이를 종합하여 도시녹지 네트워크 가로로 올림픽로, 송파대로, 남부순환로, 위례성길을 선정하였다. 네트워크 가로의 가로녹지 조성 현황을 분석하여 가로녹지 조성 및 가로수 식재량 증진 방안을 도출하였다. 가로녹지 개선은 관목 위주 가로녹지의 녹지구조 다양화, 가로변 녹지를 활용한 가로녹지 보완을 제시하였다. 가로수 식재량 증진은 가로녹지 개선계획을 바탕으로 수목 보완 식재를 통해 식재량 증진이 가능한 가로를 대상으로 하였다. 송파구 네트워크 가로 중 아교목 보식(1주) 가능 구간은 전체 길이 34,206m중 63.6%이었다. 녹지 네트워크 가로별 식재량 증진계획에 따른 주수변화를 산정한 결과 4,708주의 추가식재를 통해 전체 9,518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stablished a plan to establish the roadside green for enhancing the urban green network and enhancing of urban greenery in Songpa-gu. As for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streets, that of the parks, the green axes, sidewalk in Songpa-gu were analyzed. This study derived 19 parks by the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가로수 및 가로녹지가 도시녹지 네트워크의 요소로서의 기능과 도심 내 새로운 녹지를 확보할 수 있는 잠재성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의 가로수 및 가로 녹지와 관련된 연구는 일부 지자체를 중심으로 가로수 현황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으며(Han, 1995; Shin and Lee, 2004; Kim, 2008; Byon, 2009), 가로수 및 가로녹지가 갖는 문제점 해결에 집중하고 있어 도심 내 연결녹지, 그린웨이로서 네트워크 기능에 중점을 둔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1970년대 도시개발로 인해 파편화된 녹지가 분포하는 서울시 송파구를 대상으로 가로수 및 가로녹지의 개선을 통해 송파구 관내 주요 녹지의 연결을 통한 도시녹지의 생태적 네트워크 강화와 도심 내 녹량 증진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세부 계획내용은 광폭의 도로를 일부 축소하여 중앙분리녹지를 조성하고 오금로에서 발생하는 지하수를 활용하여 오금로와 연계되는 실개천 조성을 계획하였다. 또한 자전거도로를 도로측을 이동하고 보도와의 경계녹지를 조성하고자 하였으며 가로수 사이의 아교목 보식 및 가로녹지의 화관목보식을 통해 녹지량 증진뿐만 아니라 도시 미관을 개선하고자 하였다(Figure 10).
  • 본 연구에서는 고문헌, 원지형, 기존 연구결과, 공원녹지 분포현황 등의 자료를 바탕으로(Seoul, 2004) 광역적인 차원에서의 산림과 하천을 연결하는 주녹지축과 과도한 개발로 인해 단절되고 파편화된 생활권 녹지를 연결하는 지선녹지축 등 송파구 녹지축 현황을 파악하였다. 송파구의 녹지축은 한강과 탄천, 성내천 등이 송파구 외곽으로 하천축을 형성하였고 하천이 없는 남측으로는 외곽산림축이 형성되어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eckett. K.P., P. Freer-Smith and G. Taylor(2000) Effective tree species for local air-quality management. J. Arboric. 26: 12-19. 

  2. Byon, H.O.(2009) Design of Street Greenery for the Landscape Specialization and Increase of Green Volume on Street in Seoul.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129pp.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 Cho, W.(1998) Planting design in green open space, urban area: Planting evaluation of buffer green space in housing complex. Korean J. Environ. Ecol. 12(1): 78-9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Han, B.H. and K.J. Lee(1996)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physiological growth condition and improvement of street trees in Seoul. Korean J. Environ. Ecol. 10(1): 39-4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Han, B.H., J.I. Kwak and H.S. Kim(2013) Influence factors of street environment for provision and management of street green. Korean J. Environ. Ecol. 27(2): 253-26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Han, B.H.(1995) A Study on Analysis of the Physiological Growth Condition and Improvement of Street Trees in Seoul.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126pp.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7. James, D.M. and R.H. James(1995) Park, Recreation, Open Space and Greenway Guidelines. The National Recreation and Park Association, 164pp. 

  8. Kim, B.S. and W.S. Shin(2007) The recognition of commercial business men and employers and pedestrian on the existence effect of roadside green spaces in local city - Chungju city to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6(2): 159-16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E.L.(2005) A Study on the Evaluation Ecological Properties for the Urban Neighborhood Park - In the case of Songpa-gu, Seoul -.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82pp.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0. Kim, H.W.(2008) The present conditions and remedial measures of street trees on major road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Industral Technology Honam University 14: 161-17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J.I.(1997) Study on the Methods of Planning and Management Enhancing the Liveliness of Urban Parks: Focusing on the Accommodation Diversity and the Adaptation for Change.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97pp.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2. Kim, S.B. and H.D. Kim(2006) Influences of urban trees on the control of the temperatur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0(3) 25-3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Y.Y.(2004) A Study on Planting Method for the Specification of Buffer Green Space - In the case of Songpa-gu in Seoul -.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Urban Science University of Seoul, 159pp.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4. Lee, D.S.(2009) A Study on Planning Standards of Walking and Bicycle in the Green Modes.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Urban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HyupSung University, 114pp.(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Lee, K.J.(1996) A study on the analysis of present status of urban roadside trees and the problem of the improvement for roadside trees in Korea - Focused on Seoul and Inchen -. Journal of the Urban problems 31(331): 74-78. (in Korean) 

  16. Lee, S.J. and J.S. Lee(2012) A study on the lighting distribution on road space by modeling roadside tree types.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21(4): 391-39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Moon, C.H.(2001)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urban parks in Seoul through the analysis of decisive factors about degree of users' satisfac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9(1): 97-1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Niall, G.K.(2003) The art of greenway design: Precedents, Practices and Projects. International Symposium on a Holistic Approach to Green­way Design for People and Other Living Things. 

  19. Seoul(2004) The Basic Plan for the Effective Connection of Parks and Green. Seoul, 301pp. (in Korean) 

  20. Shin, H.Y and K.E. Lee(2004)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and the improvement plan of street trees in Chuncheon city. J. For. Sci., Kangwon Nat'l Univ. 20: 144-16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Songpa-gu(2008)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by Street Trees Basic Plan in Songpa-gu. Songpa-gu, 107pp. (in Korean) 

  22. Songpa-gu(2012) Statistical Yearbook. Songpa-gu, 346pp. (in Korean) 

  23. Sung, H.C, S.H. Min and D.M. Mun(2002) A Study on the Planting & Management of Roadside Tree in Kyonggi-Do. Gyeonggi Reaserch Institute, 296pp. (in Korean) 

  24. Sung, H.C. and S.H. Min(2003) An analytical study on the air purification effect of urban openspace - Focusing on urban roadside trees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1(2): 48-5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The European Greenways Association(2000) Good Practice Guide. European Commission, 91pp. 

  26. Yang, S.W., H.J, Jung, J.Y. Choi and K.H. Kim(2007) A study on the planning system for urban greenway networking.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3(6): 209-2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http://www.mospa.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