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원녹지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추가녹지 조성 우선순위 선정
Selection of the Priority Order for Additional Green Spaces for Urban Park and Green Network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4 no.6 = no.119, 2007년, pp.10 - 21  

사공정희 (텍사스 A&M 주립대학교 조경도시계획학과) ,  나정화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조현주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classify areas demanding to be transformed to green spaces and evaluate their grades for urban park and green networ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below; 1. The results of the classified green spaces in the research areas fall into three types includ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John et 以(1995)은 휴양적, 생태적 측면을 포괄하는 경관생태적 접근을 통한 녹지네트워크 계획 연구를 수행한 바 있으며, Christopher and Brown(1995)은 미국의 Huron-Clinton 대도시 공원네트워크를 조성함에 있어서 추가녹지 조성을 위한 전략지역의 공간확보 방안을연구한 바도 있다. 또한 녹지네트워크 구축에 질적 . 양적 확대 필요성 및 정책적 방향제시에 주안점을 둔 연구도 많이 수행되어 왔다(Harris, 1984; Forman and Godron, 1986; Little, 1990; Brown et al.
  •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달서구를 사례지로 선정하여녹지단절구역 분류 및 추가녹지 조성의 우선순위를 파악한 후, 이를 토대로 사례지의 전체적인 녹지네트워크구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가장 큰 목적이 있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달서구를 사례지로 선정하여 사례지내 분포하고 있는 기존의 공원녹지현황을파악해 보고 특히 공원녹지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녹지단절구역 분류, 추가녹지 조성위치 파악 및 우선순위선정 방법론 제안 및 이를 토대로 녹지네트워크 구축을위한 사례지 적용에 가장 큰 목적을 두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권상준, 심경구, 김유일(1994) 도시근린공원의 도달거리와 포착력에 관한 계량모형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2(1): 149-177 

  2. 나정화, 사공정희(2002) 녹지연계망 조성을 위한 거점분석. 한국조경학회지 29(6): 37-49 

  3. 노태욱(2001) 도시공원 . 녹지의 현황과 과제. 도시정보 227: 4-18 

  4. 대구광역시 달서구(2002) 달서구통계연보 2001 

  5. 대구광역시(1996) 대구토지구획정리백서 

  6. 대구광역시(2000a) 공원 . 유원지현황 

  7. 대구광역시(2000b) 대구광역시 통계연보 

  8. 대구광역시(2001) 공원 . 유원지현황 

  9. 대구광역시(2002) 대구광역시 도시경관 기본계획 

  10. 대구광역시(2003) 대구광역시 통계연보 

  11. 박미호, 이병우(2002) 우리나라 중소도시의 녹지보전과 녹화 추진 방안, 한국조경학회지 30(2): 23-38 

  12. 박재길, 김의식, 김상조 문홍길(2001) 도시성장관리를 위한 개발밀도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보고서 

  13. 박찬규(1990) 도시 오픈스페이스 체계의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사공정희(2004) 대도시의 경관생태적 녹지연계망 구축 방안.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성현찬, 신지영(2005) 도시공원의 접근성향상 방안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3(2): 83-91 

  16. 성현찬(1998) 경기도 도시공원의 시민접근성 비교와 향상방안. 경기연구 3: 63-94 

  17. 안동만, 최형석, 김인호, 조형준(1991) 도시 오픈스페이스의 접근성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8(4): 17-28 

  18. 이동근, 성현찬, 윤소원(1998) 도시녹지공간의 양적 목표치 설정방법에 관한 연구 -수원시를 사례로-. 한국조경학회지 25(4): 158-170 

  19. 이희열(1998) 낙동강유역의 인구. 낙동강연구논총 1: 219-237 

  20. 홍광표(1985) 오픈스페이스 체계 수립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 조경학회지 13(1), 100-102 

  21. 홍성권(1990) 신도시의 공원녹지계획. 한국조경학회지 18(1) : 86-88 

  22. Brown, L., C. Flavin, and S. Postel (1991) Vision of a sustainable world, In L. Brown, ed, The Worldwatch Reader on Global Environmental Issues, New York: Norton. pp. 299-316 

  23. Christopher, P. M. and R. D. Brown(1995) A landscape ecological model for wildlife enhancement of stormwater management practices in urban greenway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33: 227-246 

  24. Forman, R. T. T. and M. Godron(1986) Landscape Ecology.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25. Harris, L. D.(1984) The Fragmented Forest.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6. John, L., G. Meir, and F. John(1995) Greenway planning: developing a landscape ecological network approach,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33: 179-193 

  27. Kaerkes, W. M,(1987) Zur Oekologischen Bedeutung urbaner Freiflaechen. Ph. D. Dissertation. Bochurn University 

  28. Little, C. (1990) Greenways for America,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9. Turner, T(1995) Greenways, blueways, skyways and other ways to a better London.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33: 269-2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