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제주도 한라산국립공원 영실.성판악 지역 굴거리나무림 식생구조 연구
A Study on Vegetation Structure of Daphniphyllum macropodum of Yeong-sil and Seong-panak in Hallasan (Mt.) National Park, Jeju-do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8 no.2, 2014년, pp.197 - 204  

이승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김종엽 ((재)환경생태연구재단) ,  유소연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제주도 한라산국립공원 굴거리나무 식생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러기 위해 영실 성판악지역을 중심으로 26개의 조사구($(20m{\times}20m)$)를 설정하고 조사하였다. 위 지역의 식생군집은 TWINSPAN을 이용한 Classification 분석과 DCA Ordination 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총 3개 군집으로 나타났다. 군집 I은 소나무-서어나무 군집, 군집 II는 서어나무-졸참나무 군집, 군집 III은 개서어나무 군집이었다. 이러한 식생구조 분석 결과, 모든 군집의 하층에서는 굴거리나무가 출현하였다. 추후 굴거리나무는 아교목층 및 관목층에서 주요종이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이러한 군집분류결과는 해발고 차이와 동반출현종에 의한 영향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동반출현종은 굴거리나무 생육환경과 유사한 환경에서 자라는 종이다. 동반출현종으로는 아교목층에서 때죽나무, 졸참나무 등이었고, 관목층에서는 꽝꽝나무, 주목 등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structure of Daphniphyllum macropodum community in the Yeong-sil and Seong-panack. To do so, 26plots ($(20m{\times}20m)$) were set up and surveyed. Plant communities were classified with 3 group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las...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한라산 영실 · 성판악지역의 굴거리나무림과 종간 관계성 및 식생구조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한라산국립공원 영실 · 성판악지역의 식생 분포 및 구조를 파악하고 아교목 성상인 굴거리나무의 생태적 특성 및 교목층과 관목층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2012년 9월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 종다양도지수를 비교하기 위해 다른 지역의 굴거리나무림 연구조사결과를 확인해보았다. 섬 지역의 굴거리나무 자생지(Park, 2012)에서는 종다양도(H')가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라산에 서식하고 있는 식물은? 한라산은 해발고 1,950m이다. 해발고에 따라 여러 기후대의 식물들이 분포하고 있는데, 해발 약 900∼1,400m 일대 식생은 서어나무, 개서어나무, 졸참나무, 물참나무군락 등으로 구성된 낙엽활엽수림이다. 그 중 영실지구는 해발 약 1,200∼1,300m 일대 소나무군락이 넓은 면적으로 차지하고 있다. 소나무군락의 하부 식생으로는 당단풍나무, 때죽나무, 산딸나무, 굴거리나무 등이 있다(KNPS, 2011).
한라산의 해발고는? , 2006). 한라산은 해발고 1,950m이다. 해발고에 따라 여러 기후대의 식물들이 분포하고 있는데, 해발 약 900∼1,400m 일대 식생은 서어나무, 개서어나무, 졸참나무, 물참나무군락 등으로 구성된 낙엽활엽수림이다.
제주도의 나무 자생지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제주도는 다양한 기후대가 분포하여 독특한 식생대가 형성되어 있는 섬이다. 저지대에는 종가시나무와 비자나무, 동백나무, 너도밤나무 등으로 구성된 상록활엽수림이 분포하고, 고지대에는 서어나무, 개서어나무, 졸참나무, 왕벚나무 자생지와 같은 낙엽활엽수림과 구상나무와 같은 침엽수림이 출현한다. 특히 해발 약 200m 이하 지역에서는 곶자왈 등의 상록수활엽수림이 남아 있으며, 주로 서귀포 지역의 해발 약 600m 이하의 하천 사면과 그 주변에 상록활엽수림이 분포하고 있다. 제주도는 한라산은 제주도의 중심으로 해발고에 따른 식생대의 수직적 발달이 뚜렷하여 출현 식물 종수가 1,990종에 이를 정도로 생물학적·생태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rower, J.E. and J.K. Zar(199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194pp. 

  2. Choi, S.H, K.K Oh, H.S, Cho and H.M. Kang(2011)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Daphniphyllum macropodum Miq. community in Naejangsan National Park. Korean J. Environ. Ecol. 25(2): 175-18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ox, G.W.(1976) Laboratory Manual of General Ecology. Wn.C. Brown Co., 232pp. 

  4. Curtis, J.T. and R.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5. Hamilton, A.C.(1975) A quantitative analysis of altitudinal zonation in Uanda forests. Vegetatio 30: 99-106. 

  6. Hill, M.O.(1979a) DECORANA-a FORTRAN Program for 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l University, Ithaca, New York, 52pp. 

  7. Hill, M.O.(1979b) TWINSPAN- 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 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l University, Ithaca, New York, 99pp. 

  8. Jung, J.Y.(2008) Eco-physiological Analysis of Seedling Depending on Light Environment in a Group of Daphniphyllum macropodum in Naejang National Park. Master's Thesis, Landscape Plant Resources Education, Wonkwang University, Korea, 51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C.S, Y.J. Kang, M.O. Mun and K.P. Song(2006) Flora of Mt. Halla Ⅸ. Institute of Ecology and Culture for Mt. Halla, 327pp. (in Korean) 

  10. Kim, J.Y.(2012) The structure of the plant community in Seonamsagol (Vally), Jogyesan (Mt.) Provincial Park, Suncheon City. Korean J. Environ. Ecol. 26(4): 593-60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NPS(2011) http://nature.jeju.go.kr/ecology (in Korean) 

  12. Koo, K.A, W.K. Park and W.S. Kong(2000) Growth of Daphniphyllum macropodum and climatic factors at Mt. Naejang, Korea.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14(1): 65-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J.H, S.G. So, K.W. Seo, M.Y. Kim and H.K. Song(2010) Vegetation and soil properties of warm 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Hongdo, Korea. Korean J. Environ. Ecol. 24(1): 54-6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Lee, K.J, C.H. Ryu and S.H. Choi(1993) The structure of plant community on Orimok, Yongsil and Donnaeko area in Mt. Halla. Korean J. Environ. Ecol. 21(4): 25-4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Lee, K.W. and K.K. Shim(1994) A study on the community structure of vegetation landscape in Naejangsan National Park (I).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1(2): 50-6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ee, S.C, S.H. Choi, H.M. Kang, H.S. Cho and J.W. Cho(2010) The change and structure of altitudinal vegetation on the east side of Hallasan National Park. Korean J. Environ. Ecol. 24(1): 26-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Lim, Y.H and K.K. Oh(1999)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Daphniphyllum macropodum population in the Naejangsan National Park. Korean J. Environ. Ecol. 13(1): 17-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Park, J.K.(2012) Habitat Environment and Morphological Variance of Daphniphyllum macropodum Natural Populations in South Korea. Master's Thesis, Forest Resources,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75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Pielou, E.C.(1975)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165pp. 

  20. Sorensen, T.A.(1948) A method of establishing groups of equal amplitude in plant sociology based on similarity of species content, and its application to analyses of the vegetation on Danish commons. Biologiske Skrifter 5(4): 1-34. 

  21. Ter Braak, C.J.F. and I.C. Prentice(1988) A theory of gradient analysis. Advanceds in Ecological Research 18: 271-317. 

  22. Whittaker, R.H.(1956) Vegetation of the Great Smoky Mountains ecological monographs 26(1): 1-80.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