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라북도의 10년간(2001~2010) 암 발생률 추이 및 암등록 자료의 질 관리 지표 분석
An Analysis of Ten Year Trends of Cancer Incidence and Quality Control of Cancer Registration Data in Jeollabuk-do, Korea: 2001~2010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39 no.1, 2014년, pp.46 - 58  

이병기 (원광보건대학교 의무행정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 지역암등록본부로부터 2001년부터 2010년까지 10년간 수집된 암등록 자료를 토대로 전라북도 지역의 성별, 연령군별, 호발암별 암발생률 비교 분석과 변동 추이를 살펴보았으며, 또한 국제암연구소에서 제시하는 평가 지표를 기반으로 암등록자료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였다. 전라북도 지역의 암발생률 통계 및 암등록 자료의 질 관리 지표는 전북지역암센터의 지역암등록본부로부터 수집되었다. 모든 암들에 대한 성별조발생율(CR)과 연령표준화발생률(ASR)의 10년간 추이를 살펴보았으며, 남녀 5대 호발암에 대한 ASR의 10년간 추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전라북도 지역암등록본부의 암등록 자료에 대한 년도별, 성별, 호발암별 질적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충실도와 타당도를 분석하였다. 충실도 평가를 위해 사용된 지표는 사망/발생비(MI%)와 연령별 발생률 곡선이며, 타당도 평가를 위해 사용된 지표는 연령 미상률(UNK%), 현미경적 확진율(MV%) 그리고 사망진단서에서만 확인가능한 환자의 분율(DCO%)이다. 암 발생률의 10년간 변동 추이는 joinpoint 회귀분석 도구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기간에 대한 연평균 암발생 변화율(AAPC)을 측정하였다. 10년간 전라북도 지역에서의 남성 호발암 순위는 위암이 22.2%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폐암 16.6%, 대장암 12.8%, 간암 12.3%, 전립샘암 6.2% 순으로 나타났다. 여성에서는 갑상샘암이 17.8%로 가장 높았고, 위암 14.7%, 유방암 11.6%, 대장암 11.5%, 폐암 7.7% 순으로 나타났다. 10년 동안 모든 암들에 대한 연령표준화발생률(ASR)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36.5% 증가하였다. 성별에 따른 ASR 증가율을 살펴보면 남성에서는 13.7%, 여성에서는 68% 증가하였다. 성별 호발암의 연간 변동 추이를 살펴보면 남성의 위암, 폐암, 간암 발생률은 각각 연평균 1.8%, 0.8%, 3.2%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대장암과 전립샘암은 각각 4.9%, 15.1%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여성에서는 5대 호발암중 유일하게 위암이 연평균 0.6%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유방암, 대장암, 폐암은 각각 연평균 5.6%, 2.7%, 2.2% 증가 추세를 보였고, 특히 갑상샘암은 연평균 29.6%의 급격한 증가 추세를 보였다. 암등록 자료의 질적 수준 평가에서 충실도 평가 지표인 MI%는 남성에서 2001년 39.4%에서 2010년 32.4%로 낮아졌고, 여성의 경우 2001년 32.2%에서 2010년 23.5%로 낮아져 적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타당도 평가 지표인 UNK%는 전라북도 지역에서 10년간 남녀 모두 0%로 나타났으며, DCO%는 남성에서 2001년 5.6%에서 2010년 1.3%로 낮아졌고, 여성에서는 2001년 6.1%에서 2010년 1.8%로 낮아져 암등록 자료의 정확성이 향상되었다. MV%는 남성의 경우 2001년 76.3%에서 2010년 88.5%로 증가하였고, 여성의 경우 2001년 78.4%에서 2010년 90.8%로 증가하여, 남녀 모두에서 암진단의 정확성이 높아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라북도의 10년간 암발생률 추이를 분석한 결과 남성보다 여성에서 암발생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남성에서는 대장암과 전립샘암이, 여성에서는 갑상샘암과 유방암이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라북도 지역암등록본부의 암등록 자료의 질관리 수준이 향상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도시지역 또는 전라북도와 유사한 다른 지역과의 지역별, 연령별 호발암 및 암발생률 추이를 심층적이고 다각도로 비교 분석하여 향후 국가 차원의 암관리 대책 마련과 암 조기검진사업 추진 등의 보건 정책을 수립하는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aimed to analyze the trends of cancer incidence and evaluate the quality control of cancer registration data in Jeollabuk-do from 2001 to 2010. Methods: Incidence data of all cancers and indices of quality of cancer registration data in Jeollabuk-do for the 10-year perio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10년까지 10년간의 전라북도 지역의 암 발생률의 추이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전라북도 지역암등록본부로부터 수집된 암등록 자료를 사용하여 성별, 연령군별, 호발암별 암발생률을 비교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2001년부터 2010년까지 10년간 전라북도의 암발생 변동 추이와 암등록 자료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였다. 전라북도에서는 10년간 전체 암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암 발생 증가율은 남자보다 여자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 지역암등록본부로부터 2001년부터 2010년까지 10년간 수집된 암등록 자료를 토대로 전라북도 지역의 성별, 연령군별, 호 발암별 암발생률 비교 분석과 변동 추이를 살펴보았으며, 또한 국제암연구소에서 제시하는 평가지표를 기반으로 암등록자료의 질적 수준을 평가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문가들이 생각하는 암이 증가하는 요인은? 현대 의학의 눈부신 발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사망원인 1위 질환인 암은 우리나라 뿐 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해마다 꾸준히 증가하고 있 으며, 인간의 건강한 삶을 지속적으로 위협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암이 증가하는 요인으로 인구의 고령화, 진단 기술의 발달, 검진의 활성화, 서구화된 식생활, 운동부족 등을 주원인으로 보고 있다[1,2]. 반면에 국가 암관리사업의 효과, 자궁경부암 및 유방암 조기검진, 치료제의 발달, 금연캠페인에 따른 흡연율 감소 등은 일부 암의 발생률 및 사망률을 낮추는데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에서 암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하고 있는 노력은? 암의 정복을 위해서는 치료법의 개발 못지않게 암의 정확한 발생률, 생존률, 유병률 통계 등 개별적으로 암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도 1980년에 국립의료원 내‘한국중앙암등록본부’를 설치하여 국가암등록사업을 시작하였으며, 2003년 정부에서 제정한 암관리법을 토대로 암등록통계사업의 시행 근거를 마련하였고, 2004년에 중앙암등록본부와 지역암등록본부를 지정하여 전국 단위의 인구 기반 암등록사업을 수행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였다. 2005년부터는 매년 국가 암등록 통계를 산출하여‘국가암등록사업 연례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4,5].
암의 발생률 및 사망률을 낮추는데 기여하고 있는 것은? 전문가들은 암이 증가하는 요인으로 인구의 고령화, 진단 기술의 발달, 검진의 활성화, 서구화된 식생활, 운동부족 등을 주원인으로 보고 있다[1,2]. 반면에 국가 암관리사업의 효과, 자궁경부암 및 유방암 조기검진, 치료제의 발달, 금연캠페인에 따른 흡연율 감소 등은 일부 암의 발생률 및 사망률을 낮추는데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Jemal A, Bray F, Center M, Ferlay J, Ward E, Forman D. Global cancer statistics. CA Cancer J Clin 2011;61(2):69-90 

  2. Boyle P, Levin B, eds. World Cancer Report 2008. Lyon,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2008 [cited 2013 March 17]. Available from: URL:http://www.iarc.fr/en/publications/pdfs-o nline/wcr/2008/wcr_2008.pdf 

  3. Siegel R, Naishadham D, Jemal A. Cancer statistics, 2013. CA Cancer J Clin 2013;63(1): 11-30 

  4. Th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National Cancer Center. Annual report of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 201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cited 2013 February 15]. Available from: URL:http://ncc.re.kr/manage /manage03_033_list.jsp (Korean) 

  5. Th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National Cancer Center. Annual report of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 201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cited 2013 February 15]. Available from: URL:http://ncc.re.kr/manage/ manage03_033_list.jsp (Korean) 

  6. Ahn YO, Cancer Registration in Korea: The Present and Furtherance. J Prev Med Public Health 2007;40(4):265-272 (Korean) 

  7. Shin HR, Global Activity of Cancer Registries and Cancer Control and Cancer Incidence Statistics in Korea, J Prev Med Public Health 2008;41(2):84-91 (Korean) 

  8. Jensen OM, Storm HH. Cancer registration: principles and methods. France,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Lyon, 1991, pp.108-125 

  9. Fritz A, Percy C, Jack A, et al.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for Oncology. 3rd edition.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0. 

  10. Parkin DM, Bray F. Evaluation of data quality in the cancer registry: principles and methods. Part I: comparability, validity and timeliness. Eur J Cancer 2009;45(5): 747-755 

  11. Parkin DM, Bray F. Evaluation of data quality in the cancer registry: Principles and methods Part II. Completeness. Eur J Cancer 2009;45(5):756-764 

  12. Kim HJ, Fay MP, Feuer EJ, Midthune DN. Permutation tests for joinpoint regression with applications to cancer rates. Stat Med 2000;19(3):335-351 

  13. Joinpoint Regression Program, Version 3.5.2. Bethesda, MD: Statistical Research and Applications Branch,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1 

  14. Surveillance Research Program, National Cancer Institute. SEER*Stat Software, version 7.1.0. Bethesda, MD; 2012 

  15. Howlader N, Noone AM, Krapcho M, Garshell J, Neyman N, Altekruse SF, Kosary CL, Yu M, Ruhl J, Tatalovich Z, Cho H, Mariotto A, Lewis DR, Chen HS, Feuer EJ, Cronin KA (eds). SEER Cancer Statistics Review, 1975-2010, National Cancer Institute. Bethesda, MD; 2013 [cited 2013 February 15]. Available from: http://seer.cancer.gov/csr/1975_2010/ 

  16. GLOBOCAN 2012: Estimated Cancer Incidence, Mortality and Prevalence Worldwide in 2012 [Internet]. Lyon: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2013 [cited 2013 February 15]. Available from: http://globocan.iarc.fr 

  17. Siesling S, Dijick JAAM, Visser O, Coebergh JWW. Trends in incidence of and mortality from cancer in The Nethelands in the period 1989-1998. Eur J Cancer 2003;39(17):2521-2530 

  18. Hakulinen T, Hakama M. Predictions of epidemiology and the evaluation of cancer control measures and the setting of policy priorities. Soc Sci Med 1991;33(12): 1379-1383 

  19. Bray F, Ren JS, Masuyer E, Ferlay J. Global estimates of cancer prevalence for 27 sites in the adult population in 2008. Int. J. Cancer 2013;132(5):1133-1145 

  20. Park UJ, Nam HS, Kim KH, Park CS, Kwon IS, Kim JA, Lee TY. A Study on Ten Years Trend of Cancer Incidence and Evaluation of Quality of Cancer Registration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Chungcheongnam-Do, Korea: 2000-2009.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4(3):1223-1244 (Korean) 

  21. Chun JD, Ryu SY, Han MA, Park J. Comparisons of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s among the Elderly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2013;38(3):182-182 (Korean) 

  22. Pellegriti G, Frasca F, Regalbuto C, Squatrito S, Vigneri R. Worldwide Increasing Incidence of Thyroid Cancer: Update on Epidemiology and Risk Factors. Journal of Cancer Epidemiology, vol. 2013, Article ID 965212, http://dx.doi.org/10.1155/2013/965212 

  23. Davies L, Welch H. Increasing Incidence of Thyroid Cancer in the United States, 1973-2002. JAMA 2006;295(18):2164-2167 

  24. Belgian Cancer Registry. Cancer Incidence in Belgium, 2008, Brussels 2011 [cited 2013 March 17]. Available from: http://www.kankerregister.org/media/docs/StK_publicatie.pdf 

  25. Chen WQ, Liang D, Zhang SW, Zheng RS, He YT. Pancreatic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Patterns in China, 2009. Asian Pac J Cancer Prev 2013;14(12):7321-73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