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terial cellulose (BC) has played important role as new functional material for food industry and industrial products based on its unique properties. The interest in BC from static cultures has increased steadily in recent years because of its potential for use in medicine and cosmetics. In this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현재 세균 셀룰로오스의 건조중량 증가요인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있으나 두께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균 셀룰로오스 생산성이 높은 균주를 선정한 후, 정치배양에서 셀룰로오스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배양변수들을 one variable at a time (OVT) 방법에 의하여 최적화함으로써 고부가가치 세균 셀룰로오스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획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셀룰로오스란 무엇인가? 셀룰로오스는 지구상에서 가장 풍부하게 존재하는 천연 폴리머로서, D-글루코오스가 β-1,4 결합에 의하여 중합된 사슬 상의 다당류이다. 또한 고등식물의 세포벽 골격을 형성하는 주요 성분이자 식물체의 절반을 차지하는 재생 가능한 물질이다(Delmer와 Amor, 1987). 셀룰로오스는 제지, 펄프, 방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으로 이용되고 있는데, 주로 식물유래 셀룰로오스가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Delmer, 1987).
세균 셀룰로오스가 고부가가치 신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반면에 세균 셀룰로오스는 불순물이 존재하지 않는 순수한 셀룰로오스 상태로 합성되므로 환경친화적인 방법으로 고순도로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Ross 등, 1991). 세균 셀룰로오스는 식물 셀룰로오스의 1/100~1/500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나노 구조체로 구성되어 있어 높은 결정화도와 흡습성을 가지며, 고강도 및 고탄력 등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Jonas와 Karah, 1998; Sutherland, 1998). 이러한 독특한 성질은 세균 셀룰로오스를 고부가가치 신소재로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도록 하며, 현재 고효율 스피커 진동판, 방탄조끼, 페이퍼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Cannon과 Anderson, 1991).
Acetobacter 속 균주를 정치배양할 때, 셀룰로오스는 기-액 계면에 막(membrane)의 형태로 생성되는데 이로 인한 효과는 무엇인가? Acetobacter 속 균주를 정치배양할 경우, 셀룰로오스는 기-액 계면에 막(membrane)의 형태로 생성된다. 따라서 셀룰로오스의 생물학적 기능은 세포를 호기적 환경으로 이동시켜 생육을 원활하게 하고, 자외선을 차단함으로써 세포를 보호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Williams와 Cannon, 198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annon, R. E., Anderson, S. M., 1991, Biogenesis of bacterial cellulose, Crit. Rev. Microbiol., 17, 435-447. 

  2. Chawla, P. R., Bajaj, I. B., Survase, S. A., Singhal, R. S.. 2009, Microbial cellulose: fermentative production and applications, Food Technol. Biotechnol., 47, 107-124. 

  3. Czaja, W. K., Young, D. J., Kawecki, M., Brown, Jr. R. M., 2007, The future prospects of microbial cellulose in biomedical applications, Biomacromol., 8, 1-12. 

  4. Delmer, D. P., 1987, Cellulose biosynthesis, Ann. Rev. Plant Physiol., 38, 259-290. 

  5. Delmer, D. P., Amor, Y., 1987, Cellulose biosynthesis, Plant Cell, 7, 987-1000. 

  6. Dudman, W. F., 1959, Cellulose production by Acetobacter acetigenum in defined medium, J. Gen. Microbiol., 21, 327-337. 

  7. Embuscado, M. E., BeMiller, N., Marks, J. S.. 1996, Isolation and partial characterization of cellulose produced by Acetobacter xylinum, Food Hydrocoll., 10, 75-82. 

  8. Fu, L., Zhang, J., Yang, G., 2013, Present status and applications of bacterial cellulose-based materials for skin tissue repair, Carbohydrate Polym., 92, 1432-1442. 

  9. Hestrin, S., Schramm, M., 1954, Synthesis of cellulose by Acetobacter xylinum, Biochem. J., 58, 345-352. 

  10. Ishihara, M., Matsunaga, M., Hayashi, N., Ti{ler, V., 2002, Utilization of D-xylose as carbon source for production of bacterial cellulose, Enzyme Microb. Technol., 31, 986-991. 

  11. Jornas, R., Farah, L. F., 1998, Production and application of microbial cellulose, Polym. Degrad. Stab., 59, 101-106. 

  12. Kim, J. D., Jung, H. I., Jeong, J. H., Park, K. H., Jeon, Y. D., Hwang, D. Y., Lee, C. Y., Son, H. J., 2009, Production and structural analysis of cellulose by Acetobacter sp. V6 using static culture, Kor. J. Microbiol., 45, 275-280. 

  13. Matsuoka, M., Tsuchida, T., Matsushita, K., Adachi, O., Yoshinaga, F., 1996, A synthetic medium for bacterial cellulose production by Acetobacter xylinum subsp. sucrofermentans, Biosci. Biotech. Biochem., 60, 575-579. 

  14. Naritomi, T., Kouda, T., Yano, H., Yoshinaga, F., 1998, Effect of ethanol on bacterial cellulose production from fructose in continuous culture, J. Ferment. Bioeng., 85, 598-603. 

  15. Oikawa T., Ohtoti, T., Ameyama, M., 1995, Production of cellulose from D-mannitol by Acetobacter xylinum KU-1, Biosci. Biotech. Biochem., 59, 331-332. 

  16. Park, S. T., Song, T. S., Kim, Y. M., 1999, Effect of gluconic acid on the production of cellulose in Acetobacter xylinum BRC5. J. Microbiol. Biotechnol., 9, 683-686. 

  17. Ramana, K. V., Tomar, A., Singh, L., 2000, Effect of various carbon and nitrogen sources on cellulose synthesis by Acetobacter xylinum, World J. Microbiol. Biotechnol., 16, 245-248. 

  18. Ross, P., Mayer, R., Benziman, M., 1991, Cellulose biosynthesis and function in bacteria, Microbiol. Rev., 55, 35-58. 

  19. Son, H. J., Lee, O. M., Kim, Y. G., Park, Y. K., Lee, S. J., 2000, Characteristics of cellulose production by Acetobacter sp. A9 in static culture, Kor. J. Biotechnol. Bioeng., 15, 573-577. 

  20. Sutherland, I.W., 1998, Novel and estabilished applications of microbial polysaccharides, Tibtech., 16, 41-46. 

  21. Toda, K., Asakura, T., Fukaya, M., Entani, E., Kawamura, Y., 1997, Cellulose production by acetic acidresistant Acetobacter xylinum, J. Ferment. Bioeng., 84, 228-231. 

  22. Valla, S., Kjosbakken, J., 1982, Cellulose negative mutants of Acetobacter xylinum, J. Gen. Microbiol., 128, 1401-1408. 

  23. Williams, W.S., Cannon, R. E., 1989, Alternative environmental roles for cellulose produced by Acetobacter xylinum, Appl. Environ. Microbiol,. 55, 2448-245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