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해 울릉도 북부의 우산해곡 사면역 2개 정점 K1, K2에서 2006년 9월부터 2007년 9월까지 시계열 해류 자료를 획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정점 K1과 K2 모두 심층에서 해저면 유속강화가 관측되었으며, 이 심층 유속장은 20일 주기의 변동성이 강하여 조사해역의 심층 흐름은 지형의 영향을 받은 topographic Rossby wave 현상에 지배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정점 K1의 상층에서 2007년 2월 이후부터 관측된 강한 흐름은 인공위성 관측 해수면온도 자료와 유속 자료상 변화를 비교한 결과 관측 해역에 소용돌이의 통과에 의한 것으로 보이며, 이 기간 동안에 중층과 심층에서의 유속장은 상층 유속장과 상관성이 낮아 소용돌이가 심층의 유동까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정점 유향의 수직구조는 정점 K1 상층을 제외하고 수심이 깊어질수록 유향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유속장의 수직구조 특성은 심층 유동이 정확하게 등심선을 따르지 않고 하향의 수직 유속 성분이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우산해곡을 통해 일본분지에서 울릉분지로의 심층 해수 유입의 직접적인 증거는 관측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e year long time-series current data were obtained at two stations (K1 and K2) located in the Usan Trough in the area north of Ulleungdo in the East Sea from September 2006. The observed data reveal enhanced seafloor flows in both stations with variabilities of about 20 days which is possibly gov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산해곡은 동해 서부 해역의 해수 순환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지역의 가능성이 있으나 지금까지 직접적인 해류 관측은 없었고, 따라서 해수 유동이나 이와 관련된 물리역학도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우산해곡에서 1년간 관측된 유속 시계열 자료를 분석하여 해곡에서의 유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북서태평양의 연해인 동해의 내부는 무엇으로 구분되는가? 북서태평양의 연해인 동해는 반폐쇄성 해역으로 좁고 얕은 4개의 해협을 통해 주변 해역과 연결되며, 내부는 수심이 2000 m 이상으로 깊고 남서부의 울릉분지, 북동부의 일본분지 및 남동부의 야마토분지로 구분된다. 동해 심층에는 물성이 균질한 동해고유수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Uda, 1937) 해양조사가 활발해 짐에 따라 해저 부근에서 수괴 구분이 가능한 해수가 분포하는 것이 밝혀진 바 있다(Sudo, 1986).
심층 유동 국내 관측 연구의경우 대부분 무엇을 수행하는가? , 2001) 이후로 심층 유동에 관한 연구가 보다 활발하게 시도되었다. 국내 관측 연구의 경우 지리적인 접근성과 인접국 관할해역에 대한 관측의 현실성 때문에 대부분 울릉분지만을 중심으로 관측이 수행되고 있다(Kim et al., 2008).
동해 울릉도 북부의 우산해곡 사면역 2개 정점의 유속장은 어떤 결과를 보여주는가? 1. 정점 K1과 K2 모두 심층에서 해저면 유속강화 현상이 관측 되었으며 심층 유속장은 20일 주기의 변동성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심층 흐름과 변동성의 특성은 Senju et al.(2005)과 Kim et al.(2013)이 제시한 동해 심층 사면역에서의 저층 유속강화와 같은 현상으로 선형 TRW 현상일 가능성이 높다. 2. 정점 K1의 상층에서 2007년 2월부터 관측된 강한 흐름은 인공위성 관측 해수면온도 자료와 유속 자료상 변화를 비교한 결과 관측 해역에 소용돌이의 통과에 따른 상층 해황 변화에 기인한 것이다. 이 기간 동안 중층과 심층에서의 유속장은 상층 유속장과 상관성이 낮아 소용돌이가 심층의 유동까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정점 K1 상층을 제외하고 수심이 깊어질수록 유속이 시계방 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유속장의 수직구조 특성은 심층 유동이 정확하게 등심선을 따르지는 않고 침강하는 수직 유속 성분이 있음을 의미하고, 정점 K2에서는 깊어지는 지형을 따라 침강하며 일본분지로 향하는 흐름을 나타내고 있어 관측 해역의 수평 유속장이 반시계 방향의 순환계의 일부임을 보여주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ryden H.L., 1976. Horizontal advection of temperature for low-frequency motions. Deep-Sea Res. 23: 1165-1174. 

  2. Chang K.I., K. Kim, Y.B. Kim, W.J. Teague, J.C. Lee, and J.H. Lee, 2009. Deep flow and transport through the Ulleung Interplain Gap in the southwestern East/Japan Sea. Deep-Sea Res. I, 56: 61-72. 

  3. Hamilton P., 1984. Topographic and inertial waves on the continental rise of theMid-Atlantic Bight. J. Geophys. Res., 89(C1): 695-710. 

  4. Hogan P.J. and H.E. Hurlburt, 2000. Impact of upper ocean-topographical coupling and isopycnal outcropping in Japan/East Sea models with $1/8^{\circ}$ to $1/64^{\circ}$ resolution. J. Phys. Oceano., 30(10):2535-2561. 

  5. Kim K, K.R. Kim, D.H. Min, Y. Volkov, J.H. Yoon, and M. Takematsu, 2001. Warming and structural changes in the East (Japan) Sea : a clue to future changes in global oceans? Geophy. Res. Lett., 28(17): 3293-3266. 

  6. Kim K, K.I. Chang, D.J. Kang, Y.H. Kim, and J.H. Lee, 2008. Review of Recent Findings on the Water Masses and Circulation in the East Sea (Sea of Japan). J. Oceanogr., 64: 721-735. 

  7. Kim Y.B., K.I. Chang, J.H. Park, and J.J. Park, 2013. Variability of the Dokdo Abyssal Current observed in the Ulleung Interplain Gap of the East/Japan Sea. Acta Oceanol. Sin., 32(1): 12-23. 

  8. Park Y.G., K.H. Oh, K.I. Chang, and M.S. Suk, 2004. Intermediate level circulation of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East/Japan Sea estimated from autonomous isobaric profiling floats. Geophy. Res. Lett., 31: L13213, doi:10.1029/2004GL020424. 

  9. Rhines P., 1970. Edge-, bottom-, and Rossby waves in a rotating stratified fluid. Geophy. Fluid Dyn., 1: 273-302. 

  10. Sekma H., Y.H. Park, and F. Vivier., 2013. Time-Mean Flow as the Prevailing Contribution to the Poleward Heat Flux across the Southern Flank of the Antarctic Circumpolar Current: A Case Study in the Fawn Trough, Kerguelen Plateau. J. Phys. Oceanogr., 43: 583-601. 

  11. Senjyu T., H.R. Shin, J.H. Yoon, Z. Nagano, H.S. An, S.K. Byun, and C.K. Lee, 2005. Deep flow field in the Japan/East Sea as deduced from direct current measurements. Deep-Sea Res. II, 52: 1726-1741. 

  12. Sudo H., 1986. A note on the Japan Sea Proper Water. Prog. Oceanogr., 17: 313-336. 

  13. Teague W.J., K.L. Tracey, D.R. Watts, J.W. Book, K.I. Chang, P.J. Hogan, D.A. Mitchell, M.S. Suk, M. Wimbush, and J.H. Yoon, 2005. Observed deep circulation in the Ulleung Basin. Deep-Sea Res. II, 52: 1802-1826. 

  14. Torrence C., G.P. Compo, 1998. A practical guide to wavelet analysis. Bull. Amer. Meteor. Soc., 79: 61-78. 

  15. Uda M., 1934. The results of simultaneous oceanographical investigations in the Japan Sea and its adjacent waters in May and June, 1932. Japan Imp. Fish. Exp. St., 5, 57-190 (in Japanese). 

  16. Uehara K, and H. Miyake, 2000. Biweekly periodic deep flow variability on the slope inshore of the Kuril-Kamchatka Trench. J. Phys. Oceanogr, 30: 3249-3260. 

  17. Yun J.Y., L. Magaard, K. Kim, C.W. Shin, C.S. Kim, and S.K. Byun, 2004.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of the North Korean Cold Water leading to the near-bottom cold water intrusion in Korea Strait. Prog. Oceanogr., 60: 99-13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