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해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물리적 특성 및 분류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 of the Ulleung Warm Eddy in the East Sea (Japan Sea)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24 no.2, 2019년, pp.298 - 317  

신홍렬 (공주대학교 대기과학과) ,  김인권 (공주대학교 대기과학과) ,  김대혁 (공주대학교 대기과학과) ,  김철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순환.기후연구센터) ,  강분순 (국립해양조사원 해양과학조사연구실) ,  이은일 (국립해양조사원 해양과학조사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물리적 특성 및 동한난류와의 관계를 울릉분지 주변 해역에서 1993년부터 2017년까지의 CMEMS (Copernicus Marine Environment Monitoring Service) 위성 고도계 자료 및 국립수산과학원(NIFS)의 CTD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가 동한난류와 연결되어 있는 분포는 전체 소용돌이 숫자의 81%를 차지하며,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가 동한난류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있는 형태는 7%에 불과하다.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는 동한난류로부터 형성될 당시에는 그 내부에 고온, 고염의 대마난류의 해수특성을 보유하지만, 월동을 하는 경우에는 내부구조가 크게 변한다. 겨울에는 해수면 냉각에 의한 수직 대류에 의해 소용돌이의 내부에 $10^{\circ}C$, 34.2 psu의 표층 균질층이 만들어지며, 초봄에 최대 약 250 m 수심까지 깊어진다. 여름에는 소용돌이는 수심 100 m 이내의 상층에 성층구조, 하층에는 겨울철에 만들어진 균질층이 남아있는 구조로 변화한다. 1993년부터 25년 동안 62개의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가 생성되었다. 매년 평균 2.5개의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가 발생하였고, 평균 수명은 259일(약 8.6개월) 이었다.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평균 크기는 동서방향으로 약 97 km, 남북방향으로 약 109 km 이다. 위성 고도계 자료를 사용한 경우의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평균 크기가 CTD 수온 단면 자료를 사용한 경우보다 1~25 km 작게 산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Ulleung Warm Eddy (UWE)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East Korea Warm Current (EKWC) were analyzed using the CMEMS (Copernicus Marine Environment Monitoring Service) satellite altimetry data and the CTD data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NIFS) ne...

주제어

표/그림 (20)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추후의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는 동한난류와 접속되어 있는 제 1유형과 2유형의 상태에서 동한난류로부터 고온·고염의 해수 및 운동에너지를 공급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다만 각각의 유형들이 울릉도 주변 해역에서 단독으로 나타나기 보다는 2∼3개의 소용돌이가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즉, 제 1유형으로 2개의 소용돌이가 동시에 나타나거나, 제 1유형과 2유형의 소용돌이가 동시에(Fig.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란 무엇인가? , 2013). 즉,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는 35°N∼39°N, 129°E∼133°E의 범위(Fig. 1과 Fig. 4에서 검정색 선의 상자) 내에서 동한난류의 첫 번째 사행으로부터 형성된 소용돌이로 정의하였고, 이 범위 내에서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물리적인 특성(동한난류와의 관계, 구조 변화, 수명, 생성 및 소멸 시기, 크기)을 분석하였다.
여러 종류의 소용돌이가 공존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18B) 나타나는 경우도 많다. 여러 유형의 소용돌이가 공존하는 것은 동한난류의 복잡한 사행과 다양한 형태의 소용돌이들이 생성과 병합 및 이동을 반복하면서 복잡하게 혼재하기 때문으로 보이며, 상세한 것은 추후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n, H., K.S. Shim and H.-R. Shin, 1994. On the warm eddie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East Sea (the Japan sea). J. Korean Society. Oceanogr., 29(2): 152-163. 

  2. Arruda, W., D. Nof and J.J. O'Brien, 2004. Does the Ulleung eddy owe its existence to beta and nonlinearities? Deep Sea Res. I, 51: 2073-2090. 

  3. Chaigneau, A., 2005. Eddy characteristics in the eastern South Pacitic. J. Geophys. Res., 110: C06005, doi:10.1029/2004JC002815. 

  4. Chaigneau, A., A. Gizolme and C. Crados, 2008. Mesoscale eddies off Peru in altimeter records: Identificatioin algorithms and eddy spatio-temporal patterns. Prog., Oceanogr., 79(2-4): 106-119. 

  5. Chaigneau, A., G. Eldin and B. Deqitte, 2009. Eddy activity in the four major upwelling systems from satellite altimetry (1992-2007). Prog. Oceanogr., 83: 117-123. 

  6. Chelton, D.B., M.G. Schlax. R.M. Samelson and R.A. de Szo, 2007. Global observations of large oceanic eddies. Geophys. Res. Lett., 34: L15606, doi:10.1029/2007GL030812. 

  7. Chelton, D.B., M.G. Schlax, R.M. Samelson and T.A. de Szoeke, 2011. Global observations of nonlinear mesoscale eddies. Pro. Oceanogr., 91:167-216, doi:10.1016/j.pocean.2911.01.002. 

  8. Choi, B.J., D.S. Byun and K.H. Kang, 2012. Satellite-altimeter-derived East Sea surface currents: estimation, description and variability pattern. J. Korea. Soc. Oceanogr., 17: 225-242. 

  9. Ichiye, T. and K. Takano, 1988. Mesoscale eddies in the Japan Sea. La Mer, 26: 69-76. 

  10. Isern-Fontanet, J., E. Garcia-Ladona and J. Font, 2003. Identification of marine eddies from altimetric maps. J. Atmos. Oceanic Technol., 20: 772-778. 

  11. Isern-Fontanet, J., J. Font, E. Garcia-Ladona, M. Emelianov, C. Millot and I. Taupier-Letage, 2004. Spatial structure of anticyclonic eddies in the Algerian basin (Mediterranean Sea) analyzed using the Okubo-Weiss parameter. Deep-Sea Res. II, 51: 3009-3028. 

  12. Isern-Fontanet, J., E. Garcia-Ladona and J. Font, 2006. Vortices of the Mediterranean Sea: An Altimeteric Perspective. J. Physic. Oceanogr., 36: 87-103. 

  13. Isoda, Y. and S.I. Saitoh, 1993. The Northward Intruding Eddy along the East Coast of Korea. J. Oceanogr., 49: 443-458. 

  14. Katoh, O., 1994. Structure of the Tsushima Current in the southwestern Japan Sea. J. Oceanogr., 50: 317-338. 

  15. Kim, J.M., 2019. Influence of Dok Cold Eddy movement ont the East Korea Warm Current fluctuation. M.S. Thesis, Kunsan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Kusan, 108 pp. 

  16. Lee, D.K. and P. Niiler, 2005. The energetic surface circulation patterns of the Japan/East Sea. Deep-Sea Res. II, 52 : 1547-1563. 

  17. Lee, D.K. and P. Niiler, 2010a. Surface circulation in the southwestern Japan/East Sea as observed from drifters and sea surface height. Deep-Sea Res. I, 57: 1222-1232. 

  18. Lee, D.K. and P. Niiler, 2010b. Eddies in the southwestern East/Japan Sea. Deep-Sea Res. I, 57: 1233-1242. 

  19. Lee, G.H., 2010. Surface circulation in the East Sea from surface drifters and altimetry. M.S. Thesis, Kunsan National University, Gunsan, 106 pp. 

  20. Lee, G.J., 2013. Mesoscale eddies in the East/Japan Sea derived from low-resolution gridded altimeter data : Detection algorithms and chatacteristics of statistical eddy properties.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Seoul, 71 pp. 

  21. Lie, H.J., S.K. Byun, I. Bang and C.H. Cho, 1995. Physical Structure of eddies in the southwestern East Sea. J. Korean Society. Oceanogr., 30(3): 170-183. 

  22. Matsuoka, D., F. Araki, Y. Inoue and H. Sasaki, 2016. A New Approach to Oean Eddy Detection, Tracking, and Ebent Visualization. Procedia Computer Science, 80: 1601-1611. 

  23. Mitchell, D.A., W.J. Taegue, M. Wimbush, D.R. Watts and G.G. Sutyrin, 2005. The Dok Cold Eddy. J. Physic. Oceanogr., 35: 273-288. 

  24. Morrow, R., F. Birol, D. Griffin and J. Sudre, 2004. Divergent pathways of cyclonic and anti-cyclonic ocean eddies. Geophys. Res. Lett., 31: L24311, doi:10.1029/2004GL020974. 

  25. Nencioli, F., C. Dong, T. Dickey, L. Washburn and McWilliams, 2010. A vector geometry-based eddy detection algorithm and its application to a high resolution numerical model product and high-frequency radar surface velocities in the Southern California Bight. J. Atmos. Oceanic Technol., 27(3): 564-579. 

  26. Park, J.J. and K. Kim, 2013. Deep currents obtained from Argo float trajectories in the Japan/East Sea. The Sea, Deep-Sea Res. II, 85: 169-181. 

  27. Park, K.-A., J.-E. Park, B.-J. Choi, D.-S. Byun and E.-I. Lee, 2013. An oceanic current map of the East Sea. The Sea, 18: 234-265. 

  28. Sadarjeon, I.A. and F.H. Post, 2000. Detection, quantification, and tracking of vortices using streamline geometry. Comput. Graphics, 24: 333-341. 

  29. Saraceno, M., P.T. Strub and P.M. Kosro, 2008. Estimates of sea surface height and near-surface alongshore coastal currents from combinations of altimeters and tide gauges. J.Geophys. Res., 113: C11013, doi:10.1029/2008JC004756. 

  30. Shin, H.R., C.-W. Shin, C. Kim, C.-K. Byun and S.C. Hwang, 2005. Movement and structural variation of warm eddy WE92 for three years in the Western East/Japan Sea. Deep-Sea Res. II, 52: 1742-1762. 

  31. Shin, H.-R., S.-K. Byun, C. Kim, S.C. Hwang and C.-W. Shin, 1995.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e of a warm eddy observed to the northwest of Ulleungdo in 1992. J. Korean Society. Oceanogr., 30: 39-5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2. Shin, H.-R., Y. Nagata and J. Yoshida, 1992. Detailed structure and water-type distribution of the warm-core ring 86B, September 1987. Deep-Sea Res. Part A, 39: S115-S130. 

  33. Tomosada, A., 1986. Generation and decay of Kuroshio warm corea rings. Deep-Sea Res., 33: 1475-1486. 

  34. Yasuda, I., K. Okuda and J. Li, 1992. Evolution of a Kuroshio warm-core ring variability of the hydrographic structure. Deep-Sea Res., 39(S1): S131-S16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