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리튬/공기 이차전지용 카본미소구체/Fe3O4 나노복합체
Carbon Sphere/Fe3O4 Nanocomposite for Li/air Batteries 원문보기

전기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lectrochemical Society, v.17 no.2, 2014년, pp.124 - 129  

박창성 (경기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박용준 (경기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리튬/공기 이차전지의 공기전극에 사용될 수 있는 카본미소구체/$Fe_3O_4$ 나노복합체의 합성과 전기화학적 특성에 대해 보고하고 있다. 산화물 촉매 중 하나인 $Fe_3O_4$의 부족한 전도성을 보완하기 위해 카본미소구체와 복합화를 시도하였고 그 결과 카본미소구체 표면에 수 nm 크기의 $Fe_3O_4$를 균일하게 분산시켜 복합화 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미세하게 분산된 산화물 촉매와 카본과의 결합은 촉매의 비표면적을 넓히고 카본과 촉매와의 접촉면을 넓혀 전도성을 높임으로서 높은 촉매 활성을 기대할 수 있다. 카본미소구체/$Fe_3O_4$ 나노복합체를 이용하여 만든 전극은 카본미소구체를 사용한 전극에 비해 낮은 과전압과 상대적으로 안정한 사이클 특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article, we report the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arbon sphere/$Fe_3O_4$ nanocomposite for Li/air batteries. $Fe_3O_4$ nanoparticles are dispersed homogeneously on the surface of carbon spheres in an attempt to enhance the low conductivity of oxide catalys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3-20) 본 연구에서는 새롭게 철계 산화물인 Fe3O4를 새로운 촉매 물질로 도입하여 그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또한 이를 카본미소구체와 복합화하여 촉매의 비표면적을 넓히고 부족한 전기전도성을 보완하여 반응활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전에 많이 연구되어 온 촉매들 중 귀금속 계열 촉매는 촉매로서의 활성은 우수하나 가격이 너무 비싸고 충전과정에서 반응생성물뿐 아니라 전해질까지 분해시키는 문제가 있다고 알려져 왔다.
  • 본 연구에서는 리튬/공기 이차전지의 공기극에 사용될 수 있는 카본미소구체/Fe3O4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여 그 전기화학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공기전극은 일반적으로 반응생성물이 생성되는 반응사이트(site)로 작용하는 카본과 반응을 활성화시키는 촉매, 바인더로 구성되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리튬/공기 이차전지의 공기극에 사용하기 위해 Fe3O4를 산화물 촉매로 사용하여 카본과 복합화시킨 카본미소구체/Fe3O4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복합체는 구형의 카본미소구체 표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형성되어 있는 Fe3O4 나노입자를 보여주고 있으며 XRD를 통해 Fe3O4 결정상이 잘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19-23) Fe3O4는 낮은 가격에 합성하기도 편리하며 본 실험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카본과 쉽게 복합화를 시킬 수 있어 산화물의 부족한 전기전도성을 보완하기 용이하다. 본 연구에서는 카본미소구체/Fe3O4 나노복합체의 합성 과정과 리튬/공기 이차전지의 공기전극으로서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고찰하여 그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리튬이차전지의 사용 분야는? 오늘날 리튬이차전지는 휴대용 전자기기로부터 HEV, PHEV와 같은 이동수단이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분야에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리튬 이차전지가 가지고 있는 단위무게 또는 단위 부피당 에너지는 여러 응용분야에서 요구되는 양을 충분히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리튬이차전지의 에너지 공급에 있어 한계를 가지는 이유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수십년간 많은 연구자들이 양극, 음극, 전해질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해 왔으며 우수한 결과를 제시해 왔다. 하지만 리튬이차전지의 경우 용량이 활물질의 양에 의해 결정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여러 수요처가 원하는 수준의 에너지를 공급하기에는 한계점에 다다르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기존의 리튬 이차전지와는 다른, 새로운 전기화학적인 충방전 시스템을 가진 이차전지에 대한 연구가 최근 들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새로운 전기화학적인 충방전 시스템을 가진 이차전지 중 하나인 리튬/공기 이차전지의 특징은? 이에 기존의 리튬 이차전지와는 다른, 새로운 전기화학적인 충방전 시스템을 가진 이차전지에 대한 연구가 최근 들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리튬/공기 이차전지는 그 중 하나로서 양극물질 대신 공기중의 산소를 활물질로 사용하기 때문에 그만큼 단위무게당 에너지를 많이 얻을 수 있다.1-6) 리튬/공기 이차전지는 이론적으로는 음극에 사용되는 리튬 금속이 모두 산소와 반응하여 Li2O2와 같은 산화물을 형성할 때까지 용량을 얻을 수 있지만, 실제로는 반응과정에서 생성되는 고상의 반응물들이 공기전극의 표면을 덮어 전해질, 산소와의 반응을 막게 되면 방전과정이 멈추게 된다. 충전은 이들 고상의 반응생성물을 분해해야 하는 과정인데 공기전극의 촉매 특성에 좌우되며 얼마나 반응생성물을 효율적으로 분해할 수 있느냐에 따라 리튬/공기 이차전지의 과전압과 사이클 특성이 결정된다.7-12) 따라서 방전용량, 과전압, 사이클 특성과 같은 이차전지의 중요 물성은 공기전극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되고 우수한 공기전극을 개발 하는 것이 리튬/공기 이차전지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핵심 포인트라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 Kraytsberg and Y. E. Eli, J. Power Sources 196, 886(2011) 

  2. R. Black, B. Adams, and L. F. Nazar, Adv. Energy Mater. 2, 801(2012) 

  3. P. G. Bruce, S. A. Freunberger, L. J. Hardwick, and J. M. Tarascon, Nat. Mater. 11, 19(2012) 

  4. R. R. Mitchell, B. M. Callant, G. V. Thompson, and Y. Shao-Horn, Energy Environ Sci. 4, 2952(2011) 

  5. A. Zahoor, M. Christy, Y. J. Hwang, and K. S. Nahm, J. Electrochem. Sci. Technol. 3, 14(2012) 

  6. H. D. Lim, K. Y. Park, H. Song, E. Y. Jang, H. Gwon, J. Kim, Y. H. Kim, M. D. Lima, R. V. Robles, X. Lepro, R. H. Baughman, and K. S. Kang, Adv. Mater. 9, 1348(2013) 

  7. T. H. Yoon and Y. J. Park, J. Power Sources. 244, 344(2013) 

  8. J. S. Lee, S. T. Kim, R. Cao, N. S. Choi, M. Liu, K. T. Lee, and J. Cho, Adv. Energy Mater. 1, 34(2011) 

  9. H. G. Jung, J. Hassoun, J. B. Park, Y. K. Sun, and B. Scrosati, Nature Chemistry. 4, 579(2012) 

  10. W. H. Ryu, T. H. Yoon, S. H. Song, S. Jeon, Y. J. Park, and I. D. Kim, Nano Lett. 13, 4190(2013) 

  11. C. S. Park, K. S. Kim, and Y. J. Park, J. Power Sources. 244, 72(2013) 

  12. D. S. Kim and Y. J. Park, J. Alloys Compd. 575, 319(2013) 

  13. C. S. Park, J. H. Kim, and Y. J. Park, J. Electroceram. 31, 224(2013) 

  14. H. D. Lim, H. L. Song, H. J. Gwon, K. Y. Park, J. S. Kim, Y. J. Bae, H. S. Kim, S. K. Jung, T. W. Kim, Y. H. Kim, X. Lepro, R. O. Robles, R. H. Baughman, and K. S. Kang, Energy Environ Sci. 6, 3570(2013) 

  15. D. Su, H. S. Kim, W. S. Kim, and G. Wang, J. Power Sources. 244, 488(2013) 

  16. C. Zhan, J. Lu, A. Jeremy Kropf, T. Wu, A. N. Jansen, Y. K. Sun, X. Qiu, and K. Amine, Nature Communications. 4, 2383(2013) 

  17. K. N. Jung, A. Riaz, S. B. Lee, T. H. Lim, S. J. Park, R. H. Song, S. E. Yoon, K. H. Shin, and J. W. Lee, J. Power Sources. 244, 328(2013) 

  18. H. D. Lim, H. J. Gwon, H. G. Kim, S. W. Kim, T. H. Yoon, J. W. Choi, S. M. Oh, and K. S. Kang, Electrochimica Acta. 90, 63(2013) 

  19. K. S. Kim and Y. J. Park, Solid State Ionics. 225, 513(2012) 

  20. K. S. Lee, S. T. Myung, H. J. Bang, K. Amine, D. W. Kim, and Y. K. Sun, J. Power Sources. 189, 494(2009) 

  21. Y. M. Kang, S. M. Lee, M. S. Sung, G. J. Jeong, J. S. Kim, and S. S. Kim. Electrochimica Acta. 52, 450(2006) 

  22. N. Venugopal, D. J. Lee, Y. J. Lee, and Y. K. Sun, J. Mater. Chem. A, 1, 13464(2013) 

  23. A. Debart, A. J. Paterson, J. Bao, and P. G. Bruce, Angew. Chem. 47, 4521(2008) 

  24. B. D. McCloskey, A. Speidel, R. Scheffler, D. C. Miller, V. Viswanathan, J. S. Hummelshoj, J. K. Norskov and B. M. Gallant, R. R. Mitchell, D. G. Kwabi, J. Zhou, L. Zuin, C. V. Thompson, Y. Shao-Horn, J. Phys. Chem. C. 116, 20800(2012). 

  25. M. O. Thotiyl, S. A. Freunberger, Z. Peng, Y. Chen, Z. Liu and P. G. Bruce, Nature Mater. 12, 1050(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