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활 낮병동 프로그램이 뇌성마비아동의 대동작기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Day-Hospital Rehabilitation Program on Gross Motor Function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5, 2014년, pp.262 - 271  

김기전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재활치료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뇌성마비아동의 대동작기능이 재활 낮병동 프로그램을 통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경직성 뇌성마비아동 57명으로 최근 6개월 사이에 보톨리눔 독소나 수술적 병력이 없는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동작기능 측정(GMFM)와 대동작기능 분류체계(GMFCS)를 기능적 변화와 기능적 수순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낮병동 프로그램은 8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낮병동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치료 전 후 대동작기능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둘째, 연령별 운동발달은 1-2세, 3-4세 뇌성마비아동이 5-6세 뇌성마비아동보다 사후검정 결과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동작기능 분류체계(GMFCS) 수준l에 따른 대동작기능 측정(GMFM)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p<.05), 특히 경도와 중등도 뇌성마비아동이 중증도 뇌성마비아동보다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낮병동 프로그램은 뇌성마비아동의 대동작기능의 운동발달에 효과적이며, 경도, 중등도와 4세 이하의 뇌성마비아동에게 조기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effect of Day Hospital Rehabilitation programs on gross motor func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e subjects were 57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with no previous botulinum toxin injection or operation history within 6 months. The Gross Mot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 목적은 혼합적 방법 유형의 치료서비스로서 낮병동 프로그램이 뇌성마비아동에게 적용함으로써 뇌성마비아동 운동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연령별, 대동작기능 분류체계에 따른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대동작기능 변화를 통해 재활 낮병동 프로그램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기초로 하여 뇌성마비 아동의 조기 중재와 조기 치료를 위한 적절한 치료적 중재 방안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뇌성마비아동은 중추신경계 기능부전으로 비장애아동과 같은 정상 운동발달과정이나 규칙, 순서와는 상관없는 비정상적인 움직임과 자세 변화가 나타남으로 이들의 운동발달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뇌성마비아동의 연령별에 따른 운동발달의 변화와 적절한 중재를 통한 아동의 기능적 수준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 치료적 중재 방법을 국내 재활치료의 현실에 맞고 보호자 및 환자에게 맞는 혼합적 방법의 유형(Mixed-method designs)의 치료 서비스를 제시하고 나아가 환자의 일상생활에서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치료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더불어 재활치료의 프로그램으로써 낮병동 프로그램 적용은 뇌성마비아동의 가족과 보호자로 하여금 실생활과 함께 아동의 집중적인 치료를 할 수 있는 이로운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을 거라 생각되어진다.
  • 본 연구는 재활 낮병동 프로그램을 뇌성마비아동에게 적용함으로써 뇌성마비아동의 운동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연령별, 대동작기능 분류체계에 따른 대동작기능 변화를 통해 재활 낮병동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뇌성마비아동 57명을 대상으로 8주 동안 1일 2회, 주5일 동안 중추신경계 발달치료를 통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프로그램 적용한 치료 전·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94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24]. 이 평가는 아동이 항목을 어떻게 잘 수행하는가 보다는 얼마나 많이 완수하는가를 평가한다. 대동작기능 점수는 아이의 기능을 눕기와 뒤집기, 앉기, 네발기기와 무릎서기, 서기 그리고 걷기, 달리기, 뛰기의 5개 영역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각 항목 당 3점을 부여하며, 총 항목은 88개 항목으로 총점은 264점으로 되어있다[10].
  • 그러므로 본 연구 목적은 혼합적 방법 유형의 치료서비스로서 낮병동 프로그램이 뇌성마비아동에게 적용함으로써 뇌성마비아동 운동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연령별, 대동작기능 분류체계에 따른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대동작기능 변화를 통해 재활 낮병동 프로그램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기초로 하여 뇌성마비 아동의 조기 중재와 조기 치료를 위한 적절한 치료적 중재 방안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성마비아동의 운동발달능력을 측정하기가 어려운 이유는? 뇌성마비아동의 운동발달,즉 앉기 일어서기 또는 걷기와 같이 큰 동작들의 능력을 측정하는 것은 다른 신경발달 장애 아동처럼 쉽지 않은데,그 이유는 운동발달이 이루어져도 발달의 진행 변화가 늦을 수 있고 긴장도와 움직임의 조절 즉 운동신경의 발달이 늦어 발달이 지연되거나 늦어지는 것처럼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특히 뇌성마비아동은 중추신경계 기능 수행 능력의 저하로 인해 예측 가능한 운동발달 규칙이나 순서와는 관계없는 비정상적 움직임과 자세패턴을 나타냄으로[9],중추신경계 장애 아동은 성장에 따라 지나가야 할 발달의 한 부분에 정체되어 있거나 또는 여러 발달과정의 지연이 정상 운동발달을 경험하지 못하므로 중추신경계 통합기능이 지체됨으로 이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정상운동발달에 대한 인식이 요구되며 이들의 운동발달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중추신경계 발달치료를 통한 프로그램을 측정한 결과는? 첫째,낮병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전체적인 대동작기능은 치료 전 후 유의하게 향상되었고(p<.001),하위 영역 눕기와 뒤집기,앉기,네발기기와 무릎서기,서기는 치료 전보다 치료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특히 하위영역 중 앉기 영역에 다른 영역보다 변화량의 증가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뇌성마비아동의 연령대에 따른 대동작기능 치료 전·후 유의하게 향상되었고(p<.05),사후검증 결과 1-2세가 5-6세 뇌성마비아동보다 대동작기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3-4세는 5-6세보다 대동작기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하위 영역 중 네발기기와 무릎서기영역에서 치료 전보다 치료 후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셋째,대동작기능 분류체계에서 치료 전·후의 점수의 변화를 보았을 때 전체 대동작기능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p<.05),사후검증 결과 경도 뇌성마비아동이 중증도 뇌성마비아동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경도의 뇌성마비아동이 운동발달의 변화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하위영역에서 눕기와 뒤집기 영역에서 치료 전·후의 변화의 통계적 유의하게 나타났다(p<.05).
뇌성마비가 일으키는 문제점은? 뇌성마비(CerebralPalsy:이하 CP)는 영아기 혹은 태아기에 뇌의 손상으로 인해 움직임과 자세의 발달에 문제를 가진다[1].이러한 문제와 함께 감각손상,지각 손상,인지결함,의사소통문제,행동의 문제,경기,이차적인 근골격계 문제,활동의 제한 등의 문제를 가진다[2-4].장애를 가진 아동의 이러한 문제들은 일상생활 활동과 다양한 영역에서의 참여의 제한을 초래한다[5-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P. Rosenbaum, N, Paneth, and A. Leviton, A report: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cerebral palsy April 2006, Dev Med Child Neurol Suppl, Vol.109, pp.8-14, 2007. 

  2. K. Himmelmann, B. Hagberg. E. Beckung, G. Hagberg, and P. Uvebrant,"The changing panorama of cerebral palsy in sweden IX. prevalance and origin in the birth year period 1995-1998," Acta paediatrica Supplement, Vol.94, pp.287-294, 2005. 

  3. M. I. Shevell, L. Dagenais, and N. Hall, "Comorbidities in cerebral palsy and their relationship to neurologic subtype and GMFCS level. Neurology,"Vol.72, pp.2090-2096, 2009. 

  4. P. Rosenbaum,"Cerebral palsy: What parents and doctors want to know," BMJ, Vol.326, pp.970-974, 2003. 

  5. A. Cally, S. Williams, S. Reid, E. Blair, J. Valentine, S. Girdler, and C. Elliott, "Comorbidities in cerebra lpalsy and their relationship to neurologic subtype and GMDCS level,"Neurology, Vol.72, pp.2090-2096, 2012. 

  6. B. Engel-Yeger, T. Jarus, D. Anaby, and M. Law,"Difference in patterns of participation between youths with cerebral palsy and typically developing peers,"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63, No.1, pp.94-104, 2009. 

  7. J. Fauconnier, H. Dickinson, E. Beckung, M. Marcelli, V. McManus, S. Michelsen, J. Parkes, N. Parkinson, U. Thyen, C. Arnol, and A. Colver," Participation in life situations of 8-12 year ol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ross sectional European study," British Medical Journal, Vol.338, pp.14-58, 2009. 

  8. M. M. Vicki, C. Paul, and J. P. Ivan, "participation in everyday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in pre-teenage children living with cerebral palsy in South West Ireland," BMC Pediatrics, Vol.8, pp.50-63, 2008. 

  9. M. H. Woollacott, and P. Burtner,"Neural and musculoskeletal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stance balance control in typical children with cerebral palsy,"Acta paediatrica Supplement, Vol.416, pp.58-62, 1996. 

  10. D. J. Russell, P. L. Rosenbaum, C. Gowland, S. Hardy, M. Lane, N. Plews, H. McGavin, D. Candman, and S. Jarvis,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Manual(2nd ed), Hmilton, Ontario: McMaster Unversity. 1993 

  11. P. Rosenbaum, S. Walter, S. Hanna, R. Palisano, D. Russell, P. Raina, E. Wood, D. Bartlett, and B. Galuppi,"Prognosis for gross motor function in cerebral palsy,"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288, pp.1357-1363, 2002. 

  12. T. I. Yi, J. R. Jin, S. H. Kim, and K. H. Han, "Contributing Factors Analysis for the changes of the gross motor funcion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after physical therapy," Ann Rehabil Med, Vol.37, No. 5, pp.649-657, 2013. 

  13. R. J. Palisano, P. L. Rosenbaum, D. J. Russell, S. D. Walter, E. P. Wood, and B. E. Galuppi, "Developnment and reliability of a system to classify gross motor func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palsy,"Developn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Vol.39, No. 4, pp.214-223, 1997. 

  14. V. J. Mark and A. K. Robert,"Cost-benefits of medical rehabilitation," Arch Phys Med Rehabili, Vol.64, No. 3, pp.147-154, 1983. 

  15. M. A. Tucker and J. G. Davidson,"Day hospital rehabilitation effectiveness and cost in the elderly,"British Medical Journal, Vol.40, No. 1, pp.1209-1212, 1984. 

  16. D. Zeeli and B. Issacs,"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geriatric day hospitals," Postgrad Med J, Vol.64, No. 2, pp.683-686, 1988. 

  17. C. A. Stephenson and S. M. Glladman,"Parents and carer satisfaction in geriatric day hospital," Disabil, Vol.17, No. 5, pp.252-255, 1995. 

  18. 김재원, 뇌졸중환자 부양가족의 욕구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19. 김재선, 윤형철, 이후경, 성상경, 함웅, 이규항," 정신병 환자의 통합치료를 위한 낮병동 모델의 효과성 연구", 신경정신의학회지, 제37권, 제6호, pp.1099-1110, 1998. 

  20. 박창식, 송병호,"뇌졸중 환자의 낮병동 프로그램이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 12권, 제11호, pp.267-277, 2012. 

  21. R. J. Palisano, N. Almarsi, and L. Chiarello, "Family needs of parents of children and youth with cerebral palsy,"Child Care Health Dev, Vol.36, pp.85-92, 2009. 

  22. E. Wood and P. Rosenbaum,"The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for cerebral palsy: a study of reliability and stability over time," Dev Med Child Neurol, Vol.42, No. 5, pp.292-296, 2000. 

  23. R. J. Palisano, S. E. Hanna, and P. L. Rosenbaum,"Validation of a model of gross motor function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Phys Ther, Vol.80, No. 10, pp.974-985, 2000. 

  24. 이충휘, 황선관, 최흥식,"대동작 측정도구의 측정자간 신뢰도",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2권, 제1호, pp.1-13, 1995. 

  25. D. J. Russell, P. L. Rosenbaum, and D. T. Cadman,"Gross Motor Function Measure: A means to evaluate the effects of physical therapy," Deve Med Child Neurol, Vol.35, pp.341-352, 1989. 

  26. J. V. Grahan, C. Eustace, K. Brock, E. Swan, and S. Irwin-Carruthers,"The Bobath concept in contemporary clinical practice,"Top Stroke Rehabil, Vol.16, No. 1, pp.57-68, 2009. 

  27. B. Crothers and R. S. Paine, Natural History of Cerebral Palsy,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 1959. 

  28. N. Harres, M. Kassirer, T. Amichai, and E. Lahat," Changes overyears in gross motor function of 3-8 year ol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using 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GMFM-88),"IMAJ, Vol.6, pp.408-410, 2004. 

  29. J. Fawke,"Neurological outcomes following preterm birth,"Seminars in Fetal & Neonatal Medicine, Vol.12, pp.374-382, 2007. 

  30. 이병희, 고주연,"뇌성마비아동의 대근육운동발달 특성에 관한 연구,"특수교육재활과학지, 제48권, 제2호, pp.89-113,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