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문별 사회간접자본(SOC)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An Analysis on Economic Effects of Sectoral SOC Investment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5 no.3, 2014년, pp.120 - 127  

김명수 (가톨릭대학교 경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복지부문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복지 예산은 증가하고 SOC투자에 대한 예산은 감소하는 추세이다. 그리고 도로 중심으로 투자되던 과거 SOC 투자패턴에서 철도 등 다른 부문의 투자를 늘리는 부문간 조정도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통해 부문별 SOC투자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해 보았다. 도로, 철도, 항만, 공항 등 부문별 생산유발, 부가가치유발, 고용유발효과를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먼저 건설단계에서 SOC 투자의 경제적 파급효과는 대부분 제조업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단계에서 생산유발효과는 철도부문 SOC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항만 및 도로부문의 SOC 투자는 부가가치 유발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로 SOC 투자의 고용유발 계수는 건설 및 운영단계에서 압도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먼저, 경제적 파급효과라는 측면에서는 SOC 투자는 지속되어야 하며 제고되어야 한다. 특히 고용문제를 생각한다면 도로를 중심으로 한 SOC투자는 필수적이다. 그리고 정부가 부가가치 유발 또는 생산유발 어디에 중점을 둘 것인지에 따라 SOC 부문간 투자조정은 달라질 것 같다. 생산유발효과를 극대화하려면 철도부문, 부가가치 유발을 높이려면 항만부문을, 고용 유발을 위해서는 도로부문 투자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urrently Welfare is emphasized and the trend of SOC investment shows downwards slopping. The pattern of SOC investment also changes focusing on railroad as environmental issues are critical. This study analyzes and compares the effects of sectoral SOC investments based on Input-Output Tables publ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통해 각 부문별 SOC 투자의 경제적 파급효과 정도를 점검해보고자 한다. 나아가 도로, 철도, 항만, 공항등 부문별 경제적 파급효과를 비교해 봄으로써 각 부문 투자 조정에 대해서도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SOC 부문별로 유발계수를 비교하여 어떠한 시설의 경제적 유발효과가 큰지 비교, 분석해 볼 예정이다. 파급효과를 위한 단순한 수치의 비교는 절대액이 큰 경우 크게 나타날 수밖에 없으므로, 부문간 유발계수를 비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SOC투자가 감소되고 있으며, 예산도 점차 줄어들고 있는 현실 속에서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여 SOC투자의 역할을 재조명 해보았다. 아울러 철도 중심으로 SOC 투자 패턴이 바뀌고 있는 부문별 SOC 투자의 조정 등에 대해서도 분석해보았다.
  •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통해 부문별 SOC투자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각 부문별 SOC 투자의 경제적 파급효과 정도를 점검해보고자 한다. 나아가 도로, 철도, 항만, 공항등 부문별 경제적 파급효과를 비교해 봄으로써 각 부문 투자 조정에 대해서도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 경기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을 감안하여 SOC투자 규모가 예상 보다 크게 줄어들지는 않았지만, 향후 복지지출 등의 소요증가로 SOC투자여건은 계속 어려워질 전망이다. 이에 반해, 편안하고 접근성이 좋은 SOC에 대한 국민 들의 기대수준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올해 예산에는 국민 체감도를 보다 높이기 위하여 투자 효율성을 제고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도로의 경우는 완공사업에 집중하도록 하며, 도시부 도로투자를 확대하였으며, 철도의 경우는 수도권 교통난 완화에 집중하도록 했다.
  • 이제 도로, 철도, 항만, 공항 각 부문별 파급효과를 비교해보자. 부가가치유발계수는 항만, 도로, 공항, 철도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 파급효과를 위한 단순한 수치의 비교는 절대액이 큰 경우 크게 나타날 수밖에 없으므로, 부문간 유발계수를 비교 하였다. 한국은행에서 제공한 산업연관표를 토대로 생산유발, 부가가치유발, 고용유발효과를 산출하여 각 부문별 경제적 파급효과를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부문별 SOC 투자의 배분에 대한 정부의 정책 결정 등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은행(2011)의 산업대분류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한국은행(2011)의 산업대분류는 14개 산업부문의 제조업, 건설업 등을 포함하여 28개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통상 적으로 제조업에 대한 유발효과는 이들 14개 산업부문 유발효과의 평균치를 사용하고 있다.
산업연관분석을 통해 부문별 SOC투자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무엇인가?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통해 부문별 SOC투자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해 보았다. 도로, 철도, 항만, 공항 등 부문별 생산유발, 부가가치유발, 고용유발효과를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먼저 건설단계에서 SOC 투자의 경제적 파급효과는 대부분 제조업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단계에서 생산유발효과는 철도부문 SOC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항만 및 도로부문의 SOC 투자는 부가가치 유발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로 SOC 투자의 고용유발 계수는 건설 및 운영단계에서 압도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사회간접자본이란 무엇인가? 사회간접자본(Socail Overhead Capital; 이하에서는 SOC 로 표기)은 생산에 직접 투입되지는 않으나, 국가경제 활동을 지원하는 기반시설을 의미한다. 주요 사회간접자본 시설로 도로, 철도, 공항, 항만 등이 있으며, 우리 정부는 경제 개발 초기부터 지금까지 국가경제 활성화 및 국민생활 편익 증진을 위해 사회간접자본에 꾸준한 투자를 해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ha, G.S., (2012). A SVAR-Based Analysis of the Effects of Public SOC Spending Shocks on the Korean Business Cycle, Research Institute of Industry and Economy. 

  2. Choi, D.S., Le-Hoai L., and Lee, Y.D.,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and GDP in Economic Development Process",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4(6), pp. 70-77. 

  3. Jung, J.H., (2011). Optimal Size of SOC Investment, National Assembly Budget Office. 

  4. Kim, J. and Kim, Y., (2014). "An Analysis of Probability Study of Overseas Construction Projects using Multiple-Regression",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5(2), pp. 95-103. 

  5. Kim, S.I., (2006). Building the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of SOC Budget Program,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6. Lee J.F., and Ha, T.Y., (2011). The Adequate Equity Estimation of Port SOC Investment, Korea Maritime Institute. 

  7. Ministry of Strategy & Finance (2012-2016). Fiscal Management Plan. 

  8. National Assembly Buget Office, National Finance of Korea (each year) 

  9. Park, H.J., (2009).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SOC Demand Function: On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s," Public Finance Stuy, 2(1), pp. 79-112. 

  10. Park, Y.S., (2013). Trend of SOC investment and Direction of Construction Investment for Productive Welfare, Construction Issues & Focus, Construction &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11. Park, Y.S., (2012). Policies of SOC Investment for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Construction Issues & Focus, Construction &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12. The Bank of Korea (2011). 2009 Input-Output Tables. 

  13. The Bank of Korea (2008). Explanation of Input-Output Analysis. 

  14.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and Korea Development Institute (2010). Analyzing Effects of Transpot SOC Investment and Strategies for Efficient Investment. 

  15. Ryu, Duck-Hyun (2005). "The Optiamal Level of Regional SOC Stock in Korea," Public Finance Forum. 

  16. Yoon, Y.S., (2009). Economic Contribution of Construction Industry based on Ripple Effects and Economic Effects of Green Construction Projects, Construction Issues & Focus, Construction &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17. Yoon, Y.S and Kim, M.S., (2000). "Reginal Economic Effects based on 3-region MRIO Model," Economic Study, 47(2), pp. 175-2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