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화재 시 고강도 콘크리트는 보통강도 콘크리트보다 강도의 감소가 빠르게 나타날 뿐만 아니라 단면손실을 발생시키는 스폴링(spalling)에 취약하다. 본 연구에서는 PET섬유가 혼입된 고강도 세그먼트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ISO834 화재곡선과 RABT 화재곡선 하에서 화재저항성을 평가하였다. 화재저항성을 시험한 결과, PET섬유가 혼입되지 않았을 경우에 ISO834 화재곡선과 RABT 화재곡선 하에서 콘크리트의 단면손실은 약 8 cm, 9.5 cm로 측정되었다. ISO834 화재곡선 하에서 PET섬유가 0.1% 혼입되었을 경우에는 단면손실이 발생하지 않았으나, RABT 화재곡선 하에서는 PET섬유가 0.1% 혼입되었을 경우에는 6.5 cm의 단면손실이 발생하였다. RABT 화재곡선 하에서는 PET섬유가 0.2% 혼입되었을 경우에 단면손실이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세그먼트 콘크리트는 PET섬유의 혼입량이 0.1%일 때 ISO834 화재곡선 하에서 내화성능을 확보하였으며 RABT 화재곡선 하에서는 PET섬유의 혼입량이 0.2%일 때 내화성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단면손실이 발생하지 않았더라도 가열면으로부터 4 cm까지의 손상된 표면의 보수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igh strength concrete is not only vulnerable to the occurrence of spalling which generates the loss of cross-section in concrete structures but produces faster degradation in its mechanical properties than normal strength concrete in the event of fire. This study aims to evaluate fire resistance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보통 1 kg/m3 보다 작을 경우는 내화효과가 저하되고, 3 kg/m3 보다 클 경우는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workability)의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houry, 2008). PET섬유의 사용범위 역시 PP섬유와 유사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1~3 kg/m3 범위의 PET섬유 혼입량에 따른 고강도 세그먼트의 내화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RABT 화재곡선과 ISO834 화재곡선 하에서 PET섬유의 혼입량에 따른 고강도 터널 세그먼트라이닝의 화재저항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내화시험을 수행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재 시 고강도 콘크리트의 단점은 무엇인가? 화재 시 고강도 콘크리트는 보통강도 콘크리트보다 강도의 감소가 빠르게 나타날 뿐만 아니라 단면손실을 발생시키는 스폴링(spalling)에 취약하다. 본 연구에서는 PET섬유가 혼입된 고강도 세그먼트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ISO834 화재곡선과 RABT 화재곡선 하에서 화재저항성을 평가하였다.
쉴드터널 세그먼트의 역할은 무엇인가? 쉴드터널 세그먼트는 쉴드TBM의 추진을 위한 반력 지지 구조물로서의 역할과 공사 중의 안정성 확보는 물론이고 영구적인 구조체로서의 역할을 한다. 세그먼트는 구조물로서의 기능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쉴드터널의 직접공사비에서 가중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폭렬이란 어떤 경우에 발생하며 무엇을 의미하는가? 화재 시 고강도 콘크리트는 강도의 감소뿐만 아니라 단면손실을 발생시키는 스폴링(spalling)의 발생에서도 취약하다. 콘크리트 경화체 조직이 치밀한 고강도 콘크리트는 화재에 의한 급격한 온도상승에 따라 내부의 수증기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화재 가열 면으로부터 수 센티미터 내에서 수증기압의 증가에 따라 콘크리트 표면이 터져나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것이 바로 폭렬(explosive spalling)이며, 스폴링에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eard, A., Carvel, R. (2004), THE HANDBOOK OF TUNNEL FIRE SAFETY, Thormos Telford, pp. 113-121. 

  2. Beer, G. (2010), "Technology innovation in underground construction", CRC Press, pp. 299-314. 

  3. Eurocode 2 (2004), Design of concrete structures, Part 1-2: General rules-Structural Fire Design, EN 1992-1-2: 2004, December, Brussels, pp. 32-34. 

  4. Hertz, K.D. (2003), "Limits of spalling of fire-exposed concrete", Fire Saf. J., Vol. 38, pp. 103-116. 

  5. ITA (2004), Guidelines for structural fire resistance for road tunnels, Working Group No. 6 Maintenance and Repair, pp. 5-9. 

  6. Japan Research Society of New Technology for Shield Tunnelling (2001), New Technology for Shield Tunnelling, Doboku books[in japanese]; シ?ルドトンネルの新技術硏究會(2001), "シ?ルドトンネルの新技術", 土木工學社. 

  7. Khoury, G.A. (1992),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at high temperatures: a reassessment" Magazine of Concrete Research, Vol. 44(161), December, pp. 291-309. 

  8. Khoury, G.A., (2000). "Effect of fire on concrete and concrete structures" Prog. Struct. Engng Mater. Vol. 2, pp. 429-447. 

  9. Khoury, G.A., Majorana, C.E., Pesavento, F., Schrefler, B.A. (2002), "Modelling of heated concrete", Magazine of Concrete Research, Vol. 54, No. 2, pp. 77-101. 

  10. Khoury, G.A. (2008), "Passive fire protection of concrete structures", Structures & Buildings, Vol. 6, SB3, pp. 35-45. 

  11. Kim, S.B., Nam, J.W., Yi, N.H., Kim, J.J.H., Choi, H.S. (2008), "Flexural behavior of hwangtoh concrete beams with recycled PET fiber."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0, No. 5, pp. 619-626. 

  12. Kodur, V.K.R., Phan, L. (2007), "Critical factors governing the fire performance of high strength concrete systems." Fire Saf. J., Vol. 42, pp. 482-488. 

  13. Lee, G.P., Park, Y.T., Choi, S.W., Bae, G.J., Chang, S.H., Kang, T.S., Lee, J.S. (2012), "An experimental study on mechanical behavior of shield segment with high-strength concrete and high-tension bar",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Vol. 14, No. 3, pp. 215-230. 

  14. Phan, L.T. (1996), Fire Performance of High-Strength Concrete: A Report of the State-of-the-Art, NISTIR 5934,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pp. 54-56. 

  15. Won, J.P., Park, C.G., Choi, M.J. (2008), "Bond and flexural properties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with recycled poly ethylene terephthalate wast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8, No. 3A, pp. 401-4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