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업 및 관계갈등의 차별적 효과: 갈등전이에 따른 관계갈등의 매개역할 및 팀 정체화의 조절역할
The Differential Effect of Task & Relationship Conflict: The Mediating Effect of Relationship Conflict based on the Conflict Transfere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eam-Identificat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5, 2014년, pp.2758 - 2768  

김학수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  이준호 (호서대학교 경영학부) ,  배범수 (합동군사대학교 합동교육부)

초록

과업 및 관계갈등의 차별적 효과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과업갈등이 혁신적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반면, 관계갈등이 혁신적 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과업갈등과 관계갈등 간의 밀접한 상호관련성을 고려해 본다면, 혁신적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과업갈등은 관계갈등으로 전이되면서, 혁신적 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과업갈등이 관계갈등으로 전이되는 것을 약화시키는 경영관리 방식이 필요하며, 개인이 보유한 사회 정체성이고, 팀에 대한 감정적 인지적 유대인 팀 정체화는 효과적인 갈등관리 방안일 수 있다. 본 연구는 213명의 종업원들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이러한 논리가 기업현장에서 실제로 성립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research on differential effects of task and relationship conflicts claims positive effects of task conflict on innovation performance and negative effects of relation conflict on innovation performance. Yet, given the intimate interconnectedness of task conflict and relation conflict, task conf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갈등 유형에 따른 순기능적/역기능적 효과성과 갈등 유형간의 전이 연구를 통합하여, 본 연구는 과업갈등과 적응성과간의 관계에서 관계갈등의 매개역할을 규명하고자 한다. 갈등과 성과간의 순기능적/역기능적 효과에 대한 논쟁[5]과 이에 대한 정교한 작동기제를 규명하는 매개효과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는 반면[7], 과업갈등과 성과간의 관계에서 관계갈등은 그 동안 간과되어온 중요한 프로세스 요인일 수 있기 때문이다.
  • 따라서 과업갈등의 순기능과 관계갈등의 역기능이라는 이분법적인 접근보다는 과업갈등의 순기능과 관계갈등으로의 전이에 따른 역기능을 동시에 고려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리고 본 연구는 과업갈등이 관계갈등으로 효과가 전이되는 데 있어, 이러한 전이 효과를 완화시키는 상황적 조절요인으로 팀 정체화를 제시하고, 이를 실증 분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팀 정체화가 높으면 과업갈등의 순기능이 역기능으로 바뀌는 것을 억제시킨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적응성과는 불확실하고 복잡한 환경을 전제로 새로운 환경, 상황적 요구에 부합하도록 자신을 변화시키는 행동을 의미하며, 적응성과는 창의적 문제해결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므로[23], 혁신을 강조하는 결과변수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과업갈등의 순기능적인 효과를 명확하게 규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적응성과를 결과변수로 보았다
  • 본 연구는 갈등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과업갈등의 순기능과 관계갈등의 역기능에 관심을 두었다. 또한 본 연구는 갈등의 전이효과인 과업갈등이 관계갈등으로 전이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과업갈등이 일정부분 역기능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았고, 전이효과를 약화시킬 수 있는 상황적 요인을 고려하였다
  • 과업 및 관계갈등의 차별적 효과, 과업갈등과 관계갈등간의 전이를 규명한 기존 연구들이 있는 반면, 관계갈등의 매개역할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미흡하다. 또한 본 연구는 과업갈등이 관계갈등으로 전이되는 것을 완화시켜주는 상황적 조절요인으로 팀 정체화를 실증 분석하였다는 것이다. 신뢰 등을 규명한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팀 정체화의 조절역할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미흡하다.
  • 본 연구는 갈등 유형간의 전이를 약화시키는 상황적 조절역할로 팀 정체화를 규명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들에서는 신뢰[34,35], 심리적 안전 풍토[3] 등이 제한적으로 규명되었다.
  • 본 연구는 갈등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과업갈등의 순기능과 관계갈등의 역기능에 관심을 두었다. 또한 본 연구는 갈등의 전이효과인 과업갈등이 관계갈등으로 전이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과업갈등이 일정부분 역기능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았고, 전이효과를 약화시킬 수 있는 상황적 요인을 고려하였다.
  • 본 연구는 과업갈등과 관계갈등간의 전이효과를 약화시키는 상황적 조절요인으로 팀 정체화를 규명하고자 한다. 과업갈등이 관계갈등으로 전이되면서, 과업갈등의 순기능적 효과는 역기능적 효과로 변할 수 있으므로, 전이를 약화시키는 경영관리 방안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 또한 과업갈등이 관계갈등으로 전이되면서, 과업갈등의 역기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경영자와 팀장은 과업갈등의 관계갈등으로 전이를 약화시키는 경영관리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경영관리 방안 중에서 팀 정체화를 강화시키는 것이 전이효과를 약화시킬 수 있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본 연구는 상황적 요인으로 효율이 아닌 혁신을 강조하는 경우, 과업갈등의 순기능이 발현될 것이라고 보았다. 왜냐하면, 과업에서의 불일치는 다양한 정보를 고려하도록 촉진하여 의사결정의 질을 향상시키고[15], 인지적 복잡성을 증가시켜 창의적 성과를 높이기 때문이다[16].
  •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이론적 시사점으로서, 본 연구는 적응성과라는 종속변수를 통하여, 과업갈등의 순기능과 관계갈등의 역기능을 규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과업갈등과 적응성과간의 관계에서 관계갈등의 매개역할을 규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첫째, 과업갈등과 적응성과간의 관계에서 관계갈등의 매개역할을 규명하고자 한다. 둘째, 과업갈등과 관계갈등간의 관계에서 팀 정체화의 조절역할을 실증 분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과업갈등은 적응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 가설 2: 관계갈등은 적응성과에 부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 가설 3: 과업갈등은 관계갈등에 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 가설 4: 과업갈등과 적응성과간의 관계에서 관계갈등은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 즉 과업갈등은 적응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동시에 관계갈등에 정적인 영향을 주면서 이를 거쳐 적응성과에 부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 가설 5: 과업갈등과 관계갈등간의 관계에서 팀 정체화는 부적인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업갈등과 관계갈등과의 관계는? 하지만 과업갈등은 순기능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역기능적인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갈등 유형간의 전이 연구를 보면, 과업갈등과 관계갈등은 상호 밀접한 관련이 있고[9], 관계갈등의 선행요인으로 과업갈등이 제시되었기 때문이다[3]. 즉 과업갈등은 순기능적 효과를 갖지만, 과업갈등이 관계갈등으로 전이되게 되면 관계갈등의 역기능적 효과에 의해 결국 과업갈등도 역기능적 효과가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팀 정체화란? 팀 정체화는 개인과 팀 간의 개인적, 인지적, 감정적, 행동적 결합으로 정의되며, 팀 내에서 자기 자신을 정의하고, 삶의 의미를 창출하는 욕구를 유발하는데[10], 팀에 대한 멤버십이 높을수록, 팀 구성원의 관계성을 증가시키므로[31], 과업갈등이 관계갈등으로 전이될 가능성을 낮아질 수 있다. 즉 팀 정체화가 높은 사람일수록, 과업갈등을 긍정적으로 대응하며, 향상된 팀 구성원의 관계성에 의하여 갈등을 대인적 거절, 비난 및 공격 행동으로 간주할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다.
변화․혁신의 시대에서 조직이 조직구성원에게 강조하는 적응성과란? 변화․혁신의 시대에서 조직은 조직구성원에게 적응성과를 강조하고 있다[22]. 적응성과는 불확실하고 복잡한 환경을 전제로 새로운 환경, 상황적 요구에 부합하도록 자신을 변화시키는 행동을 의미하며, 적응성과는 창의적 문제해결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므로[23], 혁신을 강조하는 결과변수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과업갈등의 순기능적인 효과를 명확하게 규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적응성과를 결과변수로 보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C. K. W. De Dreu and E. Van de Vliert, Using Conflict in Organizations, London: Sage, 1997. 

  2. K. A. Jehn, "A Multimethod Examination of the Benefits and Detriments of Intragroup Conflict",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40, pp. 256-282, 1995. DOI: http://dx.doi.org/10.2307/2393638 

  3. H. S. Kim and J. H. Lee, "A Study on the Moderating Role of Participative Safety Climate in Effect Relations between Task Conflict and Relationship Conflict in the Team",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19(6), pp. 115-132, 2012. 

  4. J. R. Hackman and C. G. Morris, "Group Tasks, Group Interaction Process, and Group Performance Effectiveness: A Review and Proposed Integration", In L. Berkowitz (Ed.),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8, NY: Academic Press, 1975. 

  5. F. R. C. De Wit, L. L. Greer, and K. A. Jehn, "The Paradox of Intragroup Conflict: A Meta-analysi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7(2), pp. 360-390, 2012. DOI: http://dx.doi.org/10.1037/a0024844 

  6. J. H. Lee, J. K. Lee and H. S. Kim, "The Moderating Role of Group-efficacy between Conflict and Innovative Performance in R&D Group", Journal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35(1), pp. 75-102, 2011. DOI: http://dx.doi.org/10.1111/j.1740-8784.2011.00266.x 

  7. J. H. Lee, H. S. Kim and J. Y. Kim,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a-team Conflict and Team Innovative Performance and the Mediating Role of Team Learning Behaviors in R&D Teams",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14(6), pp. 81-100, 2013. 

  8. M. S. Heo and M. J. Cheon,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Conflict between Employees, Authentic Attitude of Knowledge Creation, and Innovative Behaviors",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14(5), pp. 47-74, 2013. 

  9. T. L. Simons and R. S. Peterson, "Task Conflict and Relationship Conflict in Top Management Teams: The Pivotal Role of Intragroup Trus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5(1), pp. 102-111, 2000. DOI: http://dx.doi.org/10.1037/0021-9010.85.1.102 

  10. K. B. Henry, H. Arrow and B. Carini, "A Tripartite Model of Group Identification: Theory and Measurement", Small Group Research, 30, pp. 558-581, 1999. DOI: http://dx.doi.org/10.1177/104649649903000504 

  11. I. L. Janis, "Groupthink", In H. H. Blumberg, A. P. Hare, V. Kent and M. F. Davis (Eds.), Small Groups and Social Interaction, 2, NY: Wiley, 1983. 

  12. R. L. Pinkley, "Dimensions of Conflict Frame: Disputant Interpretations of Conflic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5, pp. 117-126, 1990. DOI: http://dx.doi.org/10.1037/0021-9010.75.2.117 

  13. K. J. Behfar, E. A. Mannix, R. S. Peterson and W. M. Trochim, "Conflict in Small Groups: The Meaning and Consequences of Process Conflict", Small Group Research, 42(2), pp. 127-176, 2011. DOI: http://dx.doi.org/10.1177/1046496410389194 

  14. A. C. Amason, "Distinguishing the Effects of Functional and Dysfunctional Conflict on Strategic Decision Making: Resolving a Paradox for Top Management Group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9, pp. 123-148, 1996. DOI: http://dx.doi.org/10.2307/256633 

  15. F. C. Brodbeck, R. Kerschreiter, A. Mojzisch, D. Frey and S. Schulz-Hardt, "The Dissemination of Critical, Unshared Information in Decision-making Groups: The Effects of Pre-discussion Dissent",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32(1), pp. 35-56, 2002. DOI: http://dx.doi.org/10.1002/ejsp.74 

  16. J. B. Quinn, Strategies for Change: Logical Incrementalism, Dow Jones, Irwin, Homewood IL, 1980. 

  17. K. A. Jehn, C. Chatwick and S. M. B. Thatcher, "To Agree or Not to Agree: The Effects of Value Congruence, Individual Demographic Dissimilarity, and Conflict on Workgroup Outcome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flict Management, 8(4), pp. 287-305, 1997. DOI: http://dx.doi.org/10.1108/eb022799 

  18. K. Lovelace, D. L. Shapiro and L. R. Weingart, "Maximizing Cross-functional New Product Teams' Innovativeness and Constraint Adherence: A Conflict Communications Perspectiv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4(4), pp. 779-793, 2001. DOI: http://dx.doi.org/10.2307/3069415 

  19. D. S. Shim, J. H. Choi, D. M. Yang, Y. H. Moon and Y. H. Heo, "The Influence of Task Conflict on Project Team Performance: The Moderating Effects of Team Efficacy", Korean Management Review, 38(6), pp. 1599-1623, 2009. 

  20. L. H. Pelled, K. M. Eisenhardt and K. R. Xin, "Exploring the Black Box: An Analysis of Work Group Diversity, Conflict, and Performance",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44(1), pp. 1-28, 1999. DOI: http://dx.doi.org/10.2307/2667029 

  21. A. Somech, H. S. Desivilya and H. Lidogoster, "Team Conflict Management and Team Effectiveness: The Effects of Task Interdependence and Team Identification",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30, pp. 359-378, 2009. DOI: http://dx.doi.org/10.1002/job.537 

  22. S. W. J. Kozlowski, D. J. Watola, J. M. Nowakowski, B. H. Kim and I. C. Botero, "Developing Adaptive Teams: A Theory of Dynamic Team Leadership", In E. Salas, G. F. Goodwin and C. S. Burke (Eds.), Team Effectiveness in Complex Organizations: Cross-disciplinary Perspectives and Approaches, NY: Psychology Press, 2008. 

  23. E. D. Pulakos, S. Arad, M. A. Donovan and K. E. Plamondon, "Adaptability in the Workplace: Development of a Taxonomy of Adaptive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5(4), pp. 612-624, 2000. DOI: http://dx.doi.org/10.1037/0021-9010.85.4.612 

  24. P. J. Carnevale and T. M. Probst, "Social Values and Social Conflict in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Categoriz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4(5), pp. 1300-1309, 1998. DOI: http://dx.doi.org/10.1037/0022-3514.74.5.1300 

  25. A. C. Amason and H. J. Sapienza, "The Effects of Top Management Team Size and Interaction Norms on Cognitive and Affective Conflict", Journal of Management, 23(4), pp. 495-516, 1997. DOI: http://dx.doi.org/10.1177/014920639702300401 

  26. D. H. Gruenfeld, M. C. Thomas-Hunt and P. H. Kim, "Cognitive Flexibility, Communication Strategy, and Integrative Complexity in Groups: Public versus Private Reactions to Majority and Minority Status",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34(2), pp. 202-226, 1998. DOI: http://dx.doi.org/10.1006/jesp.1997.1349 

  27. L. L. Greer, K. A. Jehn and E. A. Mannix, "Conflict Transformation: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Different Types of Intragroup Conflict and the Moderating Role of Conflict Resolution", Small Group Research, 39(3), pp. 278-302, 2008. DOI: http://dx.doi.org/10.1177/1046496408317793 

  28. R. A. Friedman, S. T. Tidd, S. C. Currall and J. C. Tsai, "What Goes around Comes around: The Impact of Personal Conflict Style on Work Conflict and Stres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flict Management, 11(1), pp. 32-55, 2000. DOI: http://dx.doi.org/10.1108/eb022834 

  29. A. C. Mooney, P. J. Holahan and A. C. Amason, "Don't Take It Personally: Exploring Cognitive Conflict as a Mediator of Affective Conflict",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44(5), pp. 733-758, 2007. DOI: http://dx.doi.org/10.1111/j.1467-6486.2006.00674.x 

  30. R. S. Burt, "Structural Holes versus Network Closure as Social Capital", In N. Lin, K. Cook and R. S. Burt (Eds.), Social Capital: Theory and Research, NY: Aldine de Gruyter, 2001. 

  31. S. T. Tidd, H. H. McIntyre and R. A. Friedman, "The Importance of Role Ambiguity and Trust in Conflict Perception: Unpacking the Task Conflict to Relationship Conflict Linkag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onflict Management, 15(4), pp. 364-380, 2004. DOI: http://dx.doi.org/10.1108/eb022918 

  32. M. Van Woerkom and M. L. Van Engen, "Learning from Conflicts? The Relations between Task and Relationship Conflicts, Team Learning and Team Performance", European Journal of Work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8(4), pp. 381-404, 2009. DOI: http://dx.doi.org/10.1080/13594320802569514 

  33. I. O. Choi, "The Effects of Task Conflict on Organizational Cohesiveness: Mediation Effect of Relationship Conflict and Modulation Effect of Trust", Daehan Journal of Management, 24(4), pp. 1961-1977, 2011. 

  34. K. Choi and B. Cho, "Competing Hypotheses Analyses of the Associations between Group Task Conflict and Group Relationship Conflic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32, pp. 1106-1126, 2011. DOI: http://dx.doi.org/10.1002/job.733 

  35. S. Parayitam and R. S. Dooley,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lict and Decision Outcome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flict Management, 18(1), pp. 42-73, 2007. DOI: http://dx.doi.org/10.1108/10444060710759318 

  36. H. Tajfel, "The Achievement of Group Differentiation", In H. Tajfel (Eds.), Differentiation between Social Groups: Studies in the Social Psychology of Intergroup Relations, London: Academic Press, 1978. 

  37. H. Tajfel and J. C. Turner, "The Social Identity Theory of Intergroup Behavior", In S. Worchel and W. G. Austin (Eds.), Psychology of Intergroup Relations, Chicago: Nelson-Hall, 1986. 

  38. B. S. Bae, J. K. Lee and H. S. Kim, "The Cross-level Moderating Role of Team Shared Mental Model between Job Expertise, Creativity Self-efficacy and Individual Adaptive Performance", Journal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36(4), pp. 1-28, 2012. 

  39. J. C. Anderson and D. W. Gerb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pp. 411-423, 1988. DOI: http://dx.doi.org/10.1037/0033-2909.103.3.411 

  40. J. F. Hair, W. C. Black, B. J. Babin, R. E. Anderson and R. L. Tatham, Multivariate Data Analysis (6th ed.), NJ: Prentice Hall, 2006. 

  41. R. P. Bagozzi and Y. Yi,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6(1), pp. 74-94, 1988. DOI: http://dx.doi.org/10.1007/BF02723327 

  42. C. Fornell and D. Larcker, "Evaluating Structural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pp. 39-50, 1981. DOI: http://dx.doi.org/10.2307/3151312 

  43. J. J. Sosik, S. S. Kahai and B. J. Avolio, "Leadership Style, Anonymity, and Creativity in Group Decision Support Systems: The Mediating Role of Optimal Flow",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33(4), pp. 227-256, 1999. DOI: http://dx.doi.org/10.1002/j.2162-6057.1999.tb01405.x 

  44. E. K. Kelloway, Using Lisrel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ousand Oaks, CA: Sage, 1998. 

  45.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pp. 1173-1182, 1986. DOI: http://dx.doi.org/10.1037/0022-3514.51.6.11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