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가 취약계층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한 우울·자살예방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 of Depression and Suicide Prevention Program for Vulnerable Community-Dwelling Elderly Wome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5, 2014년, pp.2882 - 2892  

유재순 (충북대학교 간호학과) ,  김현숙 (한국교통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연현진 (별뜰사회복귀시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재가 취약계층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한 우울 자살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여 지역사회에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보급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우울 자살예방 프로그램은 인지행동 이론에 기초하고, 선행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자들에 의해 개발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는 시계열설계를 이용한 실험연구설계로 12명의 재가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검증하였다. 우울 자살예방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중재 직전에 비해 중재 직후에는 대상자의 우울, 자살생각, 무망감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중재 직전에 비해 중재 4주 후에는 우울, 자살생각, 무망감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이상 결과에 근거하여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센터 또는 복지관의 종사자들이 본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할 것을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to prevent depression and suicidality in vulnerable community-dwelling elderly women, then to furthermore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n a community setting. The researchers designed the depression and suicide prevention program b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울·자살예방 프로그램이 취약계층 여성 노인의 우울, 자살생각, 무망감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중재 4주전, 중재직전, 중재직후, 중재 4주후에 자료수집이 진행된 단일군 시계열 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최근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된 노인의 우울과 자살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지역사회정신건강증진 전략의 일환으로 우울·자살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취약계층 재가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한 우울·자살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취약계층 재가 여성 노인들을 대상으로 인지행동이론과 회상요법에 근거한 우울·자살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취약계층 재가 여성 노인들을 대상으로 인지행동이론에 기초하고 선행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자들에 의해 개발된 우울·자살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계열설계를 이용한 실험연구설계로 12명의 재가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1: 우울·자살예방 프로그램 중재 전후의 시기(중재 4주전, 중재 직전, 중재 직후, 중재 4주후)에 따라 대상자의 우울 수준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2: 우울·자살예방 프로그램 중재 전후의 시기(중재 4주전, 중재 직전, 중재 직후, 중재 4주후)에 따라 자살생각 수준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3: 우울·자살예방 프로그램 중재 전후의 시기(중재 4주전, 중재 직전, 중재 직후, 중재 4주후)에 따라 대상자의 무망감 수준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연구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alpha와 K-R20으로 측정하였으며 각 통계량의 유의수준은 p<.05에서 가설을 채택하였다.
  • 제1가설: ‘우울·자살예방 프로그램 중재 전후의 시기별(중재 4주전, 중재 직전, 중재 직후, 중재 4주후)대상자의 우울 수준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제2가설: ‘우울·자살예방 프로그램 중재 전후의 시기별(중재 4주전, 중재 직전, 중재 직후, 중재 4주후)대상자의 자살생각 수준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제3가설: '우울·자살예방 프로그램 중재 전후의 시기별(중재 4주전, 중재 직전, 중재 직후, 중재 4주후)대상자의 무망감 수준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기각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향후 노인에서 우울 환자는 지속적으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는 이유는? 5%로 연구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보고되어있고, 외국의 경우도 자료수집 장소에 따라 지역사회 거주자의 15%, 외래환자의 20%, 입원환자의 40%, 그리고 수용시설거주자의 50%이었다는 결과도 보고되어있다[1]. 우리나라의 급속한 고령화를 고려한다면 향후 노인에서 우울 환자는 지속적으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노인 우울이 사회적 관심 문제로 대두된 것은? 노인 우울이 사회적 관심 문제로 대두된 것은 우울이 자살을 예측하는 단일요인으로 가장 결정적 요인이기 때문이다[4,5]. 자살기도를 한 경우에 그렇지 않는 일반인보다 평생 동안 주요우울장애를 경험할 위험이 자살기도를 1회 한 경우에는 6.
노인들이 주로 활동하는 지역사회에서 우울관리 및 자살 예방 개입을 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보건복지부는 생애주기별 정신건강증진사업 등 자살예방을 위한 사업들을 추진하고 있으나, 이러한 사업들은 병원이나 정신건강증진센터 등과 연계한 우울증 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접근을 위주로 운영되고 있다. 노인의 우울증은 타 연령군에서의 우울증과는 달리 비전형적인 증상, 즉 우울감을 적게 호소하고, 신체기능 저하 및 신체적 불편감 호소, 인지 기능 저하가 두드러지게 나타나 노인들은 이를 우울증상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있고, 이로 인해 진단율과 치료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정신건강문제, 정신건강의학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팽배한 노인들에게 의료적 접근은 노인 자살을 예방함에 있어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12]. 따라서 노인들이 주로 활동하는 지역사회에서 우울관리 및 자살 예방 개입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J. H. Park, K. W. Kim, A review of the epidemiology of depression in Korea,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54(4), pp. 362-369, 2011. DOI: http://dx.doi.org/10.5124/jkma.2011.54.4.362 

  2. G. H. Suh, J. K. Kim, B, K, Yeon, et al,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dementia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9, pp. 809-824. 2000. 

  3. J. H. Park, J. J. Lee, S. B. Lee, et al, Prevalence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minor depressive disorder in an elderly Korean population: results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n Health and Aging (KLoSHA),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25, pp. 234-240, 2010. DOI: http://dx.doi.org/10.1016/j.jad.2010.02.109 

  4. H. S. Kim, A study on epistemology of Korean elders suicidal thought,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2(1), pp. 159-172, 2002. 

  5. H. J. Jeon, Depression and suicide,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54(4), pp. 370-375, 2011. DOI: http://dx.doi.org/10.5124/jkma.2011.54.4.370 

  6. M. J. Cho, S. M. Chang, B. J. Hahm,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major mental disorders among Korean adults: a 2006 National Epidemiologic Surve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8, pp. 143-152, 2009. 

  7. Y. S. Chang. Current state of suicide rate and policy issu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Issue & Focus, 165, pp. 1-8, 2012. 

  8. Statistics Korea, 2012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cited 2013 Sep 25],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2/index.board?bmoderead&bSeq&aSeq308559&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Targettitle&sTxt (accessed Jan, 2, 2014) 

  9. Carleton RN, Thibodeau MA, Teale MJN et al.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A Review with a theoretical and empirical examination of item content and factor structure. PLoS ONE, 8(3), e58067, 2013. doi:10.1371/journal.pone.0058067 DOI: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058067 

  10. S. S. Kwon, Y. K. Chung, H. J. Kwon, Comparison of depression level of poor elderly and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3(1), pp. 30-38, 2002. 

  11. S. S. Kim, M. K. Kim, H. S. Kim, Verification study of Elderly suicide prevention program effectiveness. Report of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12. K. S. Lim, H. S. Kim, Effect of life respect programs for the elderly on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der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55, pp. 201-222, 2012. 

  13. M. H. Kim, S. D. Chung, G. Y. Le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reventive mental health prograrm for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in community-focused o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user,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44(3), pp. 318-345, 2001. 

  14. Y. H. Ahn, A community-based integrated preventive program of depression and its effectiveness in caring for vulnerabl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4(2), pp. 287-298, 2003. 

  15. C. G. Kim, S. M. Park, Gender difference in risk factors for depression in community-dwelling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1), pp. 136-147, 2012. 

  16. Wikipedia,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vailable From:http://en.wikipedia.org/wiki/Cognitive_behavioral_therapy (accessed Dec. 10, 2013) 

  17. H. S. Yoo, H. W. Lee, M. A. Do, The Effect of cognitive-behavioral group counseling on self-esteem in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Mental Health & Social Work, 40(2), pp. 117-137, 2012. 

  18. Rudd, M. D. Brie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BCBT) for suicidality in military populations. Military Psychology, 24(6), pp. 592-603, 2012. DOI: http://dx.doi.org/10.1080/08995605.2012.736325 

  19. I. S. Yeo, C. K. Kim, Effects of the life review-narrative group therapy program on decreasing depression and death anxiety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4(5), pp. 113-128, 2006. 

  20. Sheikh, J. I., Yesavage, J. A.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ersion. Clinical Gerontology, 30, pp. 319-325, 1986. 

  21. B. S. Ki.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5(2), pp. 298-302, 1996. 

  22. Beck, A.T., Kovacs, M.,, Weissman, A. Assessment of suicidal intention: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7(2), pp. 343-352, 1979. DOI: http://dx.doi.org/10.1037/0022-006X.47.2.343 

  23. M. S. Shin, K. B. Park, K. J. Oh, Z. S. Kim, A study of suicidal idea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e structural relation among depression, hopelessness, and suicidal ideation.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9(1), pp1-19. 1990. 

  24. Beck, A. T., Weissman, A., Lester. D., Trexler, L. The Measurement of Pessimism: The Hopelessness Scal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2, pp. 861-865. 1974. DOI: http://dx.doi.org/10.1037/h0037562 

  25. H. S. Seo,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on adolescent's suicide think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egu University, Daegu, 2006. 

  26. M. H. Kim, S. D. Chung, G. Y. Le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reventive mental health program for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in community, Journal of Social Welfare, 44, pp. 318-345, 2001 

  27. K. H. Jo, Effect of a nurse presence program on suicide prevention for elders with a chronic disease,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37(7), pp. 1027-1038, 2007. 

  28. H. A. Chung, A literature review a program of intervention of patient geriatric depression, Journal of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pp 59-67, 200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