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완형 마비말장애 화자의 말속도와 쉼 특성
Speech Rate and Pause Characteristics in Speaker with Flaccid Dysarthria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5, 2014년, pp.2930 - 2936  

홍새미 (서울아산병원 재활의학과) ,  변해원 (남부대학교 언어치료청각학과)

초록

본 연구는 이완형 마비말장애군 15명과 정상군 15명을 대상으로 표준화된 문단 읽기 과제인 "가을" (김향희, 1996) 검사를 통해 말속도와 쉼 특성을 측정하여 집단 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완형 마비말장애군의 전체 속도 및 조음속도는 정상군보다 유의미하게 느렸으며, 전체 쉼 시간 및 문장 내 쉼 시간 또한 정상군보다 유의미하게 길었고, 전체 쉼빈도 및 문장 내 쉼 빈도 역시 정상군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p<0.05). 그러나 문장 간 쉼 구간과 쉼 빈도는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이완형 마비말장애인의 말속도 지표를 제공하고, 말속도를 정상 범주로 조절하기 위해서는 조음 속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문장 내 쉼 구간 및 쉼 빈도를 감소시키는 중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peech rate and pause in patients with flaccid dysarthria. For this purpose, 15 patients with flaccid dysarthria and 15 normal speakers matched in gender and age participated as subjects. The overall speech rate, the articula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완형 마비말장애 화자를 대상으로 우리나라 마비말장애 진단에서 주로 사용하는 표준화된 문단 읽기 과제를 사용하여 말속도와 쉼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느린 말속도는 이완형 마비말장애를 진단하는 중요한 지표임에도 불구하고[13], 느린 말속도에 대한 객관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문단 읽기과제에서 이완형 마비말장애군의 말속도를 파악하고자, 전체 속도와 조음 속도, 전체 쉼과 문장 간, 그리고 문장 내 쉼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의 논의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둘째, 문단 읽기과제에서 이완형 마비말장애군과 정상군의 조음 속도에 차이가 있는가?
  • 셋째, 문단 읽기과제에서 이완형 마비말장애군과 정상군의 전체 쉼 구간, 문장 간 쉼 구간, 문장 내 쉼 구간에 차이가 있는가?
  • 첫째, 문단 읽기과제에서 이완형 마비말장애군과 정상군의 전체 속도에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비말장애의 7가지 하위 유형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마비말장애는 이완형(flaccid), 경직형(spastic), 실조형(ataxic), 과소운동형(hypokinetic), 과다운동형(hyperkinetic), 편측성 상위운동뉴런형(unilateral uppermotorneuron), 혼합형(mixed)과 같이 서로 다른 특징을 나타내는 7가지 하위유형으로 구분된다[2]. 하위 유형에 따른 말 특징은 다양하지만 공통된 특징은 모두 말명료도(speechintelligibility)가 저하되는 것이다.
마비말장애란 무엇인가? 마비말장애(dysarthria)란 중추신경계 혹은 말초신경계의 손상으로 인하여 말 산출 기제(speechmechanism) 의 근육조절이 저하되어 나타나는 말 운동장애(motor speechdisorder)의 한 유형이다[1]. 말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호흡기관, 발성기관, 공명기관, 조음기관 등의 말 하부기관들의 협력이 필요한데, 마비말장애 화자의 경우 하부기관들을 지배하는 신경학적 손상으로 인해서 근육이 마비되거나 약해지며, 속도가 저하되고 협응이 어려워지면서 구어 의사소통의 문제를 나타낸다.
이완형 마비말장애 화자의 불충분한 호흡조절 능력은 어떤 문제를 발생시키는가? 이는 이완형 마비말장애인의 호흡이 정상군에 비해 충분하지 않다는 선행연구를 지지하는 결과이다[1]. 일반적으로 이완형 마비말장애는 불충분한 호흡으로 인해 음도 및 강도가 단조로워지고,지속적인 기식성이 나타나며,한 숨에 산출할 수 있는 발화의 길이가 짧아지는 특성을 보인다[16]. 특히, 호흡과 관련된 늑간근 부근의 척수 신경이나 횡격막 신경의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다른 마비말장애 유형에 비해서 호흡 근력의 약화가 두드러진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Darley, F. L., Aronson, A. E., Brown, J. R., "Clusters of deviant speech dimensions in the dysarthria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Vol. 12, No. 3, pp. 462-496. 1969. DOI: http://dx.doi.org/10.1044/jshr.1203.462 

  2. Duffy, J. R., Motor speech disorders: Substrates, differential diagnosis, and management, St. Louis, MO: Mosby. 1995. 

  3. Hammen, V. L., Yorkston, K. M., "Speech and pause characteristics following speech rate reduction in hypokinetic dysarthria",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Vol. 29, No. 6, pp. 429-445. 1996. DOI: http://dx.doi.org/10.1016/0021-9924(95)00037-2 

  4. Yorkston, K. M., Hammen, V. L., Beukelman, K. R., Traynor, C. D., "The effect of rate control on the intelligibility and naturalness of dysarthric speech",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Vol. 55, No. 3, pp. 550-560. 1990. 

  5. Ko, Y., Kim, D. Y., Choi, Y., Kim, H., "Speech rate and pause characteristics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ol. 2, No. 4, pp. 173-184, 2010. 

  6. Kim, K., Shim, H., "The reading rate characteristics of adults with cerebral palsy",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Vol. 34, No. 4, pp. 49-72, 2001. 

  7. Yoon, M. S., "Speech rate and pause characteristics of adults with hearing impairment",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Vol. 9, No. 1, pp. 15-29, 2004. 

  8. Goldman-Eisler, F., Psycholinguistics: experiments in spontaneous speech, New York, NY: Academic Press. 1968. 

  9. Chio, H. J., "Oral reading rate and features of pauses of profoundly hearing-impaired and normally hearing children at school age", master's thesis of Ehwa University, Seoul, 2002. 

  10. Seo, I. H., Sung, C., "The prosodic characteristics of dysarthria with respect to speech rate and intonation slope",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Vol. 17, No. 3, pp. 390-402, 2012. 

  11. Yokrston, K. M., Beukelman, D. R., Bell, K. R., Clinical management of dysarthric speakers, San Diego, CA: College-Hill Press. 1988. 

  12. Shriberg, L. D., Kwiatkowski, J., "Phonological disordersIII: A procedure for assessing severity of involvement",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Vol. 47, No. 3, pp. 256-270. 1982. 

  13. Freed, D. B., Motor speech disorders: Diagnosis and treatment, New York, NY: Cengage Learning. 2011. 

  14. Kim S. J., "Comparing the intelligibility of spastic and flaccid types", Korean Journal of Speech Sciences, Vol. 48, pp. 1-17. 2003. 

  15. Park, J. H.,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errors during reading passage of spastic and flaccid dysarthria", master's thesis of Ehwa University, Seoul, 2009. 

  16. Kim, H,. Neurologic speech language disorders, Seoul: Sigma press. 2012. 

  17. McRae, P. A., Tjaden, K., Schoonings, B., "Acoustic and perceptual consequences of articulatory rate change in Parkinson disease",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Vol. 45, No. 1, pp. 35-50. 2002. DOI: http://dx.doi.org/10.1044/1092-4388(2002/003) 

  18. Solomon, N., Hixon, T., "Speech breathing in Parkinson's disease",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Vol. 36, pp. 294-310. 199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