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구강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이 마비말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구강 구조 및 기능과 조음교대운동속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Orofacial Training Video Program using Smart Device on Oral Cavity Structure and Function, Diadochokinetic Rate in 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arthria 원문보기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12 no.2, 2017년, pp.391 - 400  

문종훈 (가천대학교 보건대학원 작업치료학 전공) ,  원영식 (신성대학교 작업치료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구강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이 마비말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구강 구조 및 기능과 조음교대운동속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마비말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 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 참가한 모든 대상자들은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7명씩 무작위 할당되었다. 두 그룹의 대상자들은 4주 동안 모두 동일하게 보편적인 재활치료를 받았다. 실험군은 스마트 기기를을 활용한 구강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을 보호자의 감독 하에 추가적으로 30분씩 더 수행하였다. 구강 구조와 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조음기관 구조 및 기능선별검사의 하위항목인 구강 구조와 기능을 평가하였다. 조음교대운동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교대운동속도와 연속운동속도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그룹 내 비교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은 구강 구조 및 기능, 교대운동속도, 연속운동속도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두 그룹 간 변화량 비교에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구강기능과 교대운동속도의 /퍼/와 /터/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구강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은 마비말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구강 기능과 조음기관 기능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중재방법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effect of orofacial training video program using smart device on oral cavity structure and function, diadochokinetic rate in 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arthria. Present study participated in fourteen 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arthria. All subje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마비말장애를 가진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구강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18]. 그러므로 본 연구는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구강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이 마비말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구강 구조 및 기능과 조음교 대운동속도 1)(diadochokinetic rate)에 미치는 효과를 알고자 하였다.
  • 이전의 연구에서는 삼킴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구강 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의 효과를 증명하였으나, 마비말장애를 가진 뇌졸중 환자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였다[18].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구강 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이 마비말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구강 구조 및 기능과 조음교대운동속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중재 전과 후로 두 그룹은 구강 구조와 기능, 조음교대운동속도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 이전의 연구들은 마비말장애를 가진 뇌졸중 환자에게 구강안면 훈련을 통한 조음기관 기능의 효과를 보고한 연구는 미흡하였다[20]. 이에 본 연구는 구강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이 마비말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의 조음기관 기능 향상을 증명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손쉽게 들고 다니며 사용이 편리한 스마트 기기의 장점을 이용하여 병실에서 보호자 감독 하에 구강안면 훈련을 수행하였다.
  • 이전의 연구에서는 삼킴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구강 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의 효과를 증명하였으나, 마비말장애를 가진 뇌졸중 환자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였다[18].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구강 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이 마비말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구강 구조 및 기능과 조음교대운동속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중재 전과 후로 두 그룹은 구강 구조와 기능, 조음교대운동속도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이란 무엇인가? 뇌졸중(stroke)은 뇌기능의 부분 또는 전체에서 급속히 나타난 장애가 오랜 기간 지속되는 뇌혈관 질환이다[1]. 뇌졸중의 증상은 운동장애(motor disorder), 감각장애(motor disorder), 인지장애(cognitive disorder), 삼킴장애(dysphagia), 언어장애(aphasia), 마비말장애(dysarthria) 등이 있다[2].
뇌졸중의 증상은 무엇인가? 뇌졸중(stroke)은 뇌기능의 부분 또는 전체에서 급속히 나타난 장애가 오랜 기간 지속되는 뇌혈관 질환이다[1]. 뇌졸중의 증상은 운동장애(motor disorder), 감각장애(motor disorder), 인지장애(cognitive disorder), 삼킴장애(dysphagia), 언어장애(aphasia), 마비말장애(dysarthria) 등이 있다[2]. 이 중 뇌졸중 후 마비말장애는 20-30%로 보고되었다[3].
뇌졸중으로 인한 마비말장애의 치료에는 어떤 운동들이 적용되고 있는가? 뇌졸중으로 인한 마비말장애는 호흡(respiration), 발성(phonation), 공명(resonance), 조음(articulation)동안 구어 산출에 관여하는 근육의 조절과 협응의 기능 장애가 나타난다[2-4]. 이러한 마비말장애에 대한 치료는 조음기관(articulator)의 이완, 강화 훈련 등의 운동들이 적용되고 있다[6].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조음 명료도 개선을 위하여 턱, 입술, 혀 등과 같은 조음기관에 대한 촉진 및 운동을 실시하였을 때, 유의한 향상이 있다고 보고하였다[7-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J, Moon, H, Kim, J, Seo, and D, Hong, "Effects of swallowing training of high viscosity bolus on swallow function based on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examination in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11, no. 9, 2016, pp. 909-916. 

  2. F. Darley, A. Aronson, and J. Brown, "Clusters of deviant speech dimensions in the Dysarthrias," J.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vol. 12, no. 3, 1969, pp. 462-496. 

  3. Warlow, C. P., Dennis, M. S., van Gijn, J., Hankey, G. J., Sandercock, P. A., Bamford, J. M., and Wardlaw, J. M., Stroke: a practical guide to management. Oxford: Blackwell Scientific, 2001 

  4. Bowen, A., Hesketh, A., Patchick, E., Young, A., Davies, L., Vail, A., and Ralph, M. A. L, "Effectiveness of enhanced communication therapy in the first four months after stroke for aphasia and dysarthria: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MJ, vol. 16, no. 26, 2012, pp. 4407-4415. 

  5. R. King, "Quality of life after stroke," Stroke, vol. 27, no. 9, 1996, pp. 1467-1472. 

  6. M. Catherine, M. Margaret, and A. Carolyn, "Non-speech oro-motor exercise use in acquired Dysarthria management: regimes and rationales," Int. J. of Language & Communication Disorders, vol. 45, no. 6, 2010, pp. 617-629. 

  7. G. Schulz, W. Dingwall, and C. Ludlow, "Speech and Oral Motor Learning in Individuals With Cerebeller Atrophy," J.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vol. 42, no. 5, 1999, pp. 1157-1175. 

  8. H. M. Clark, D. A. Robin, and G. McCullah, "Motor Control in Children and Adults During a Non-Speech Oral Task," J.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vol. 44, no. 5, 2001, pp. 1015-1025. 

  9. E. Hwang, The Clinical teaching of Language disorders. Seoul: Hongicjae, 1987. 

  10. R, Park and H, Kwon, "The Effects of Program by PNF on the Articulator Function of Stroke Patients,"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9, no. 3, 2014, pp. 303-310. 

  11. U, Kim, "An Image Denoising Algorithm for the Mobile Phone Cameras,"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9, no. 5, 2014, pp. 601-607. 

  12. S, Yim, Y, Kim, and J, Park, "Cheon, S. H. and Lee, Y. J. (2014). Analysis on needs based survey of parents and speech-language pathologists for smartphone program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 19, no. 4, 2014, pp. 486-500. 

  13. H, Lim and H, Park, "Development and research trends of application as the smart education media for ASD," J.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Autism, vol. 12, no. 1, 2012, pp. 93-117. 

  14. Dechene, L. Tousignant, M. Boissy, P. Macoir, J. Heroux, S. Hamel, M. Briere, S. and Pages, S., "Simulated in-home teletreatment for anomia," Int. J. of Telerehabilitation, vol. 3, no. 2, 2011, pp. 3-10. 

  15. L. Cherney and S. Vuuren, "Telerehabilitation, virtual therapists and acquired neurologic speech and language disorders," Seminars in Speech and Language, vol. 33, no. 3, 2012, pp. 243-257. 

  16. Constantinescu, G. Theodoros, D. Russell, T. Ward, E. Wilson, S. and Wooton, R., "Assessing disordered speech and voice in Parkinson's disease: a telerehabilitation application," International J.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vol. 45, no. 6, 2010, pp. 630-644. 

  17. R, Park, S, Kim, S, and Choi, "The Effect of Upper Extremity Exercise Program for Hemiplegic Stroke Patients,"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004, vol. 16, no. 4, 2004, pp. 626-635. 

  18. J, Moon and Y Won, "Effects of orofacial exercises training program using smart phone on swallowing function and tongue strength in 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11, no. 10, 2016, pp. 995-1002. 

  19. M, Kang, C, Kwon, H, Kim, and N, Cho, "Effect of orofacial exercise on the swallowing function of stroke patients," The J.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 21, no. 1, 2013, pp. 57-69. 

  20. Sellars, C., Hughes, T., and Langhorne, P., "Speech and language therapy for dysarthria due to non-progressive brain damage," The Cochrane Library, 2005. 

  21. J, Shin, O, Kim, B, Lee, and Y, Lee, "A preliminary study of developing korean oro-motor mechanism screening examination (KOMSE) in normal adults," Speech Sciences, vol. 15, no. 4, 2008, pp. 171-188. 

  22. Gadesmann, M. and Miller, N, "Reliability of speech diadochokinetic test measurement," International J. of language & communication disorders, vol. 43, no. 1, 2008, pp. 41-54. 

  23. R, Kim, H, Chun, and H, Kang, "Change of respiratory function following rehabilitation in acute hemiplegic stroke patients," J.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 33, no. 1, 2009, pp. 21-28. 

  24. Palmer, P. and Enderby, P. "Methods of speech therapy treatment for stable dysarthria: a review," Advances in Speech Language Pathology, vol. 9, no. 2, 2007, pp. 140-153. 

  25. Catherine, M., Margaret, M., and Carolyn, A, "Non-speech oro-motor exercise use in acquired dysarthria management: regimes and rationales," Int. J. of Language & Communication Disorders, vol. 45, no. 6, 2010, pp. 617-629. 

  26. M. McHenry, J. Minton, R. Wilson, and Y. Post, "Intelligibility and nonspeech orofacial strength and force control following traumatic brain injury," J.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vol. 37 no.6, 1994, pp. 1271-83. 

  27. J, Kim and Y, Shin. Articulatory and phonological disorders. Seoul: Sigmapress, 2007. 

  28. S. Kim and U. Jo, "Study of accent-based music speech protocol development for improving voice problems in stroke patients with mixed dysarthria," NeuroRehabilitation, vol. 32, no. 1, 2013, pp. 185-190. 

  29. H, Chang and D, Kim, "Acoustic Properties of Korean Plosives Produced by Chinese Speakers," Linguistic Research, vol. 26, no. 3, 2009, pp. 91-1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