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세조류 추출물 및 MAAs 함유 자외선차단제의 자외선차단지수(SPF) 및 자외선 A 차단지수(PFA) 평가
Evaluation of Sun Protection Factor (SPF) and Protection Factor of UVA (PFA) of the Sunscreen Containing Microalgal Extracts and MAA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5, 2014년, pp.3312 - 3318  

모상현 (바이오에프디엔씨 항노화연구소) ,  서승석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특성연구부) ,  조문진 (바이오에프디엔씨 항노화연구소) ,  송미영 (바이오에프디엔씨 항노화연구소) ,  황진익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특성연구부) ,  박미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특성연구부) ,  이택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특성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천연물 유래 자외선차단제 개발을 위해 미세조류 추출물 및 mycosporine-like amino acids(MAAs)의 활용가능성을 연구하였다. Chlamycomonas hedleyi 추출물과 추출물 분획물인 MAAs가 각각 7% 포함된 자외선차단크림을 제조하고 인체 적용시험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자외선차단지수(SPF) 및 자외선 A차단지수(PFA)를 평가하였다. Ch. hedleyi 추출물과 MAAs 함유 자외선 차단 크림의 자외선 차단지수는 각각 9.07 및 9.42로 나타났으며, 자외선 A차단지수는 각각 2.43과 2.41로 측정되었다. 자외선 A차단지수가 모두 2 상으로 측정되어 두가지 자외선 차단크림의 자외선 A차단등급은 [PA+]으로 분류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미세조류 추출물 및 MAAs 함유 자외선차단제가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막지 못하지만, 무기자외선 차단제가 혼합되면 만족할만한 자외선 차단효과를 보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the sunscreen development from natural resources, a possible usage of microalgal extracts or mycosporine-like amino acids (MAAs) was investigated. Sunscreens containing 7% of microalgal extracts or MAAs derived from microalgae, Chlamydomonas hedleyi, were prepared and they were applied to huma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미세조류 추출물과 MAAs 함유 자외선차단제의 인체적용시험은 피엔케이 피부임상연구센타(주)에 의뢰하여 실시하였다. 시험자 모집, 최소 홍반량 측정, 제품의 자외선 차단효과 평가, 데이터 분석 및 결과보고서 작성 순서로 진행하였으며, 2013년 6월 24일에 시작하여 7월 5일에 종료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미세조류 추출물과 추출물 유래 mycosporine-like amino acids(MAAs)를 함유하는 분획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크림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제품의 자외선차단지수(sun protection factors, SPF)및 자외선 A차단 등급을 인체적용시험을 통해 평가하여 자외선차단제로써의 활용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능성 화장품이란? 기능성 화장품이란 단순한 피부보습,피부보호 기능뿐만 아니라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는 미백 화장품,피부의 주름개선에 도움을 주는 주름개선 화장품 및 피부를 곱게 태워주거나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데 도움을 주는 자외선 차단 화장품을 일컫는다.2001년 우리나라에 기능성화장품이 도입된 이래,종류 및 시장규모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1].
자외선 차단제의 기능성 성분은 빛을 어떻게 막느냐에 따라 무엇으로 나뉩니까? 자외선 차단제의 기능성 성분은 광에너지를 흡수하는 자외선 흡수제와 반사시키는 자외선 산란제로 크게 나누어지며,이들은 또한 화학적 특성에 따라 유기 자외선차단제 및 무기 자외선차단제로 구분되기도 한다[1].자외선 산란제는 전통적으로 이산화티탄(TiO2)와 산화아연 (ZnO)등이 사용되며,자외선 흡수제로는 파라아미노안식향산(PABA)및 벤조페논(benzophenone)등이 사용되어 왔으나,각각 발암성 및 환경호르몬 의심물질로 분류되면서 사용에 제약을 받고 있다[8].
Chlamycomonas hedleyi 추출물과 추출물 분획물인 MAAs가 7%씩 들어간 자외선 차단 크림의 SPF와 PFA는? Ch. hedleyi 추출물과 MAAs 함유 자외선 차단 크림의 자외선 차단지수는 각각 9.07 및 9.42로 나타났으며, 자외선 A차단지수는 각각 2.43과 2.41로 측정되었다. 자외선 A차단지수가 모두 2 상으로 측정되어 두가지 자외선 차단크림의 자외선 A차단등급은 [PA+]으로 분류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 Y. Kang. "R&D trends of functional cosmetics". KIC news, 13(4), 1-10, 2010. 

  2. I. Y. Oh, S. Y. Kim, J. M. Suk, S. W. Jung, J. O. Park, K. H. Yoo, K. Li, B. J. Kim and M. N. Kim. "Sun protection factor (SPF) assessment of the sunscreen composed of natural substance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9(2), 141-148, 2013. 

  3. J. K. Lee, J. S. Sin, J. H. Kim, J. H. Eom, H. S. Kim and K. L. Park. "Evaluation of phototoxicity for cosmetics and alternative method".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1(3), 245-251, 2006. 

  4. J. K. Lee, J. H. Kim, K. T. Nam and S. H. Lee. "Molecular events associated with apoptosis and proliferation induced by ultraviolet-B radiation in the skin of hairless mice. J. Dermatol". Sci., 32, 171-179, 2003 DOI: http://dx.doi.org/10.1016/S0923-1811(03)00094-X 

  5. L. Daya-Grosjean and A. Saraisn. "The role of UV induced lesions in skin carcinogenesis: an overview of oncogene and tumor suppresor gene modifications in xeroderm pigmentosum skin tumors". Mutation Res., 571, 43-56, 2005. DOI: http://dx.doi.org/10.1016/j.mrfmmm.2004.11.013 

  6. V. O. Melnikova and H. N. Ananthaswamy. "Cellular and molecular events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skin cancer". Mutation Res., 571, 91-106, 2005. DOI: http://dx.doi.org/10.1016/j.mrfmmm.2004.11.015 

  7. S. E. Ullrich. "Mechanism underlying UV-induced immune suppression". Mutation Res., 571, 185-205, 2005. DOI: http://dx.doi.org/10.1016/j.mrfmmm.2004.06.059 

  8. J. M. Shick, W. C. Dunlap. "Mycosporine-like amino acids and related gadusols: Biosynthesis, Accumulation, and UV-Protective Functions in Aquatic Organisms". Annu. Rev. Physiol. 64, 223-262, 2002. DOI: http://dx.doi.org/10.1146/annurev.physiol.64.081501.155802 

  9. W. F. Vincent and S. Roy. "Solar ultraviolet-B radiation and aquatic primary production: damage, protection and recovery". Environ. Rev. 1, 1-12, 1993. DOI: http://dx.doi.org/10.1139/a93-001 

  10. J. Jagger. "physiological effects of near-ultraviolet radiation on bacteria". Photochem. Photobiol. Rev. 7, 1-75, 1983. DOI: http://dx.doi.org/10.1007/978-1-4684-4505-3_1 

  11. R. P. Sinha and D-P. Hader. "Photobiology and ecophysiology of rice field cyanobacteria". Photochem. Photobiol. 64, 887-896, 1996. DOI: http://dx.doi.org/10.1111/j.1751-1097.1996.tb01852.x 

  12. R. P. Sinha, M. Klisch, A. Groniger, D-P. Hader. "Responses of aquatic algae and cyanobacteria to solar UV-B". Plant Ecol. 154, 221-236, 2001. DOI: http://dx.doi.org/10.1023/A:1012986500543 

  13. R. P. Sinha, P. Richter, J. Faddoul, M. Braun, D.-P. Hader, Effects of UV and visible light on cyanobacteria at the cellular level, Photochem. Photobiol. Sci. 1 (2002) 553-559. DOI: http://dx.doi.org/10.1039/B203955A 

  14. S. P. Singh, M. Klisch, R. P. Sinha and D-P. Hader. "Genome mining of mycosporine-like amino acid (MAA) synthesizing and non synthesizing cyanobacteria: a bioinformatics study". Genomics, 95, 120-128, 2010. DOI: http://dx.doi.org/10.1016/j.ygeno.2009.10.002 

  15. E. M. Middleton and A. H. Teramura. "The role of flavonol glycosides and carotenoids in protecting soybean from ultraviolet-B damage". Plant Physiol. 103, 741-752, 1993. DOI: http://dx.doi.org/ 10.1104/ pp. 103. 3. 741 

  16. S. P. Singh, S. Kumari, R. P. Rastogi, K. L. Singh and R. P. Sinha. "Mycosporine-like amino acids (MAAs): chemical structure, biosynthesis and significance as UV-absorbing/screening compounds". Ind. J. Exp. Biol. 46, 7-17, 2008. 

  17. C. S. Cockell and J. Knowland. "Ultraviolet radiation screening compounds". Biol. Rev. Camb. Philos. Soc. 74, 311-345, 1999. DOI: http://dx.doi.org/10.1017/S0006323199005356 

  18. A. Oren and N. Gunde-Cimerman. "Mycosporines and mycosporine-like amino acids: UV protectants or multipurpose secondary metabolites?". FEMS Microbiol. Lett. 269, 1-10, 2007. DOI: http://dx.doi.org/10.1111/j.1574-6968.2007.00650.x 

  19. H. Nakamura, J. Kobayashi and Y. Hirata. "Separation of mycosporine like amino acids in marine organisms using reversed-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J. Chromatogr. 250, 113-118, 1982. DOI: http://dx.doi.org/10.1016/S0021-9673 

  20. A. Oren. "Mycosporine-like amino acids as osmotic solutes in a community of halophilic cyanobacteria". Geomicrobiol. J. 14, 231-240. 1997. DOI: http://dx.doi.org/10.1080/01490459709378046 

  21. I. Yakovleva, R. Bhagooli, A. Takemura and M. Hidaka. "Differential susceptibility to oxidative stress of two scleractinian corals: antioxidant functioning of mycosporine-glycine". Comp. Biochem. Physiol. B 139, 721-730, 2004. DOI: http://dx.doi.org/10.1016/j.cbpc.2004.08.016 

  22. F. de la Coba, J. Aguilera, F. L. Figueroa, M. V. deGaalvez and E. Herrera. "Antioxidant activity ofmycosporine-like amino acids isolated from three redmacroalgae and one marine lichen". J. Appl. Phycol. 21,161-169, 2009.DOI: http://dx.doi.org/10.1007/s10811-008-9345-1 

  23. E. P. Balskus and C. T. Walsh. "The genetic and molecular basis for sunscreen biosynthesis in cyanobacteria". Science. 329, 1653-1656, 2010. DOI: http://dx.doi.org/10.1126/science.11936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