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다시점 디스플레이 기반 시각 피로 측정 및 경감 기술 원문보기

정보와 통신 : 한국통신학회지 = Information & communications magazine, v.31 no.2, 2014년, pp.61 - 69  

김영민 (전자부품연구원) ,  홍성희 (전자부품연구원) ,  강훈종 (전자부품연구원)

초록

본고에서는 초다시점 디스플레이 기반 시각 피로에 대한 연구 동향 및 초다시점 디스플레이 의 최근 기술에 대해 기술한다. 초다시점 디스플레이는 1990년대 후반 일본에서 처음 제안한 이후 일본 및 한국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초다시점 디스플레이는 관찰자의 동공에 두 시점 이상의 영상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기존의 다시점 디스플레이에 비해 보다 자연스러운 영상을 관찰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시점 영상 사이의 간격이 넓은 다시점 디스플레이와는 달리 시각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최근 초다시점 디스플레이 기반 시각 피로에 대한 임상적 실험을 통해 이에 대한 실험적 근거를 살펴보고 연구 동향을 알아본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초다시점 디스플레이 방식은 기존의 다시점 디스플레이 방식에 비해 보다 자연스러운 영상을 관찰자에게 제공하여 시각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왔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임상적 연구 결과 및 실험 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초다시점 디스플레이의 원리 및 최근 제안한 방식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와 관련한 시각 피로에 대한 연구 결과 및 연구 동향을 소개한다.
  • 본고에서는 초다시점 디스플레이의 원리와 시각 피로에 대한 연구 결과를 소개하였고, 국내외 기술 동향을 살펴보았다. 초다시점 디스플레이는 시점 간 간격이 매우 조밀한 디스플레이 방식이기 때문에 완벽한 구현을 위해서는 상당히 정밀한 광학 설계와 초고해상도의 디스플레이 패널 혹은 다수의 투사 광학계를 집적시켜서 제작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실에서 사물의 형태나 공간상의 깊이를 인지하는 깊이 단서는 어떻게 구분될 수 있는가? 그 이유는 완벽한 3차원 영상을 재현하는데 필요한 필수적인 깊이 단서(depth cue)가 적절하게 섞여있지 않기 때문이다. 현실에서 사물의 형태나 공간상의 깊이를 인지하는 깊이 단서는 크게 심리적인 단서(physiological cue)와 생리적인 단서(physiological cue)로 나눌 수 있다[1]. 심리적인 단서는 실제로 깊이 단서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주로 영상 처리를 통해 깊이 단서를 인식하게 하는 방법으로 인간의 경험적 학습 능력에 의해서 습득이 된 경우이며, 원근법(linear perspective), 음영(shade and shadows), 중첩(overlapping), 결 구배(texture gradient) 등이 있다.
양안식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완벽한 3차원 영상을 표시한다고 보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현재 상용화된 3차원 디스플레이 기술은 대부분 양안식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stereoscopy, 안경식)에서 기인한 것으로 이는 종국적으로는 눈의 피로를 유발할 수 있는 여지가 있어 완벽한 3차원 영상을 표시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 이유는 완벽한 3차원 영상을 재현하는데 필요한 필수적인 깊이 단서(depth cue)가 적절하게 섞여있지 않기 때문이다. 현실에서 사물의 형태나 공간상의 깊이를 인지하는 깊이 단서는 크게 심리적인 단서(physiological cue)와 생리적인 단서(physiological cue)로 나눌 수 있다[1].
시각 피로 연구에 있어 가장 어려운 점은 무엇인가? 시각 피로 연구에 있어 가장 어려운 점은 눈의 피로를 객관적 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과 계량할 수 있는 수단이 없다는 점이다. 의학/생리학 분야에서도 피로는 객관적으로 계량이 불가능한 척도이며 단지 그 정도는 피험자의 경험이나 주관적인 응답으로만 가늠이 가능하거나 피로로 인한 신체 기능 이상이 객관적으로 관찰이 가능할 때에만 그 정도를 관찰할 수 있을 정도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M. Lambooij, W. IJsselsteijn, M. Fortuin and I. Heynderickx, "Visual discomfort and visual fatigue of stereoscopic displays: A review," J. Imaging Sci. Technol., vol. 53, pp. 030201-1-030201-14, 2009. 

  2. B. Lee, J.-H. Park, and S.-W. Min, "Threedimensional display and information processing based on integral imaging," in Digital Holography and Three-Dimensional Display, T.-C. Poon, Ed. New York: Springer, ch. 12, 2006. 

  3. S. Reichelt, R. Haussler, G. Futterer and N. Leister, "Depth cues in human visual perception and their realization in 3D displays," Proc. SPIE 7690, pp. 76900B, 2010. 

  4. Y. Kajiki, H. Yoshikawa and T. Honda, "Threedimensional display with focused light array," Proc. SPIE 2652, pp.2652-15, 1996. 

  5. D. M. Hoffman, A. R.Girshick, K. Akeley and M. S. Banks, "Vergence-accommodation conflicts hinder visual performance and cause visual fatigue," J. Vis., vol. 8, pp. 1-30, 2008. 

  6. Y. Takaki and N. Nago, "Multi-projection of lenticular displays to construct a 256-view super multi-view display," Opt. Express, vol. 18, pp. 8824-8835, 2010. 

  7. Y. Takaki, Y. Urano, S. Kashiwada, H. Ando and K. Nakamura, "Super multi-view windshield display for long-distance image information presentation," Opt. Express, vol. 19, pp. 704-716, 2011. 

  8. Y. Takaki, K. Tanaka and J. Nakamura, "Super multi-view display with a lower resolution flatpanel display," Opt. Express, vol. 19, pp. 4129-4139,2011. 

  9. R.S. Kennedy, N.E. Lane, K.S. Berbaum and M.G. Lilienthal, "Simulator sickness questionnaire: an enhanced method for quantifying simulator sickness," Int. J. Aviat. Psychol., vol. 3, pp. 203-220, 1993. 

  10. T. Inoue and H. Ohzu, "Accommodation responses to stereoscopic three-dimensional display," Appl. Opt., vol. 36, pp. 4509-4515, 1997. 

  11. S. Yano, S. Ide, T. Mitsuhashi and H. Thwaites, "A study of visual fatigue and visual comfort for 3D HDTV/HDTV images," Displays, vol. 23, pp. 191- 201, 2002. 

  12. Y. Okada, K. Ukai, J. S. Wolffsohn, B. Gilbartin, A. Iijima and T. Bando, "Target spatial frequency determines the response to conflicting defocus and convergence-driven accommodative stimuli," Vision Res., vol 46, pp. 475-484, 2006. 

  13. S.-K. Kim, D.-W. Kim, Y. M. Kwon and J. Y. Son, "Evaluation of the monocular depth cue in 3D displays," Opt. Express, vol. 16, pp. 21415-21422, 2008. 

  14. J. Kim, H. K. Yang, Y. Kim, B. Lee and J.-M. Hwang, "Distance stereotest using a 3D monitor for adult subjects," Am. J. Ophthalmol., vol. 151, pp. 1081-1086, 2011. 

  15. J. Kuze and K. Ukai, "Subjective evaluation of visual fatigue caused by motion images," Displays, vol. 29, pp. 159-166, 2008. 

  16. M. Ogata, K. Ukai and T. Kawai, "Visual fatigue in congenital nystagmus caused by viewing images of color sequential projectors," J. Display Technol., vol. 1, pp. 314-320, 2005. 

  17. K. Murata, S. Araki, N. Kawakami, Y. Saito and E. Hino, "Central nervous system effects and visual fatigue in VDT workers,"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vol. 63, pp. 109-113, 1991. 

  18. J. Hakkinen, M. Polonen, J. Takatalo and G. Nyman, "Simulator sickness in virtual display gaming: a comparison of stereoscopic and non-stereoscopic situations," in Proceedings of the 8th conference on Human-computer interaction with mobile devices and services, (ACM, New York, NY), pp. 227- 230, 2006. 

  19. A. Zhang, Z. Zhao and Y. Wang, "Estimating VDT visual fatigue based on the features of ECG waveform," in Proceedings of the 2009 International Workshop on Information Security and Application (IWISA 2009), F. Gao and X. Zhu, ed. (Academy Publisher, Oulu), pp. 446-449, 2009. 

  20. B. T. Jap, S. Lal, P. Fischer and E. Bekiaris, "Using EEG spectral components to assess algorithms for detecting fatigue,"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vol. 36, pp. 2352-2359, 2009. 

  21. S. Yamamoto and S. Matsuoka, "Topographic EEG study of visual display terminal (VDT) performance with special reference to frontal midline theta waves," Brain Topography, vol. 2, pp. 257-267, 1990. 

  22. K. Murata, S. Araki, K. Yokoyama, K. Yamashita, T. Okumatsu and S. Sakou, "Accumulation of VDT work-related visual fatigue assessed by visual evoked potential, near point distance and critical flicker fusion," Industrial Health, vol. 34, pp. 61-69, 1996. 

  23. Y. Kim, J.-H. Jung, K. Hong, G. Park and B. Lee, "Accommodation response in viewing integral imaging," SID Int. symp. Digest Tech. Papers, pp. 530-532, 2010. 

  24. Y. Kim, K. Hong, J. Kim, H. K. Yang, J.-M. Hwang and B. Lee, "Accommodation response measurement according to angular resolution density in threedimensional display," presented at the Advances in Display Technologies, SPIE Photonics West, CA, 2011. 

  25. Y. J. Jung, D. Kim, H. Sohn, S.-I. Lee, H.- W. Park and Y. M. Ro, "Subjective and objective measurements of visual fatigue induced by excessive disparities in stereoscopic images," Proc. SPIE 8648, pp. 86480M, 2013. 

  26. D. Kim, Y. J. Jung, E. Kim, Y. M. Ro and H. W. Park, "Human brain response to visual fatigue caused by stereoscopic depth perception," Published in Digital Signal Processing, 17th International Conference, pp. 1-5, 2011. 

  27. S. Fujimoto, M. Nomura, M. Niki, H. Motoba, K. Ieishi, T. Mori, H. Ikefuji and S. Ito, "Evaluation of stress reactions during upper gastrointestinal endoscopy in elderly patients: assessment of mental stress using chromogranin A," J. Med. Invest, vol. 54, pp. 140-145, 2007. 

  28. M. Miyao, S. S. Hacisalihzade, J. S. Allen and L. W. Stark, "Effects of VDT resolution on visual fatigue and readability: an eye movement approach," Ergonomics, vol. 32, pp. 603-614, 1989. 

  29. H. T. Nguyen, D. M. Isaacowitz and P. A. D. Rubin, "Age- and fatigue-related markers of human faces: an eye-tracking study," Ophthalmology, vol. 116, pp. 355-360, 2009. 

  30. A. L. Sheppard and L. N. Davies, "Clinical evaluation of the Grand Seiko auto ref/keratometer WAM- 5500," Ophthalmic Physiol. Opt., vol. 30, pp. 143- 151, 2010. 

  31. Y. Kim, J. Kim, K. Hong, H. K. Yang, J.-H. Jung, H. Choi, S.-W. Min, J.-M. Seo, J.-M. Hwang and B. Lee, "Accommodative response of integral imaging in near distance," Journal of Display Technology, vol. 8, pp. 70-78, 2012. 

  32. J.-H. Jung, J. Kim, S.-g. Park, S. Y. Choi, D. Nam and B. Lee, "Accommodation response of super multi-view display using directional light in monocular condition,"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Display Workshop, vol. 19, pp. 631- 634, 2012. 

  33. H. Mizushina, J. Nakamura, Y. Takaki and H. Ando, "Vergence and accommodation responses to super multi-view display," Proc. 3DSA2013, p2-1, 201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